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고
투서
기부
출자
공헌
기여
칼럼
뉴스
"
기고
"(으)로 총 371건 검색되었습니다.
혹시 나도 ‘의자 중독’?
2014.11.24
아메리칸’ 11월호에는 ‘의자는 살인무기(Killer Chairs)’라는 제목의 칼럼이 실렸다.
기고
가는 메이요클리닉의 내분비학자 제임스 레바인(James Levine)으로, 알고 보니 의자에 오래 앉아있는 게 건강엔 치명적이라는 주장을 하는 대표적인 과학자다. 레바인 교수는 “미국인들은 하루 평균 13시간을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한계라고. 미국 로체스터기술연구소 검출기센터 도널드 피거 박사는 ‘네이처’에
기고
한 글에서 지난 7월 학술지 ‘천문학&천체물리학’에 실린 독일 막스플랑크천문학연구소 시웨이 우 박사팀의 연구결과를 소개하며 별 질량 상한선 연구현황을 소개했다. 우 박사팀은 우리은하에서 별의 ... ...
‘안젤리나 효과’는 계속 된다
2014.09.21
8일자에 발표했다. 영국 내 21개 의학센터에서 받은 토대로 분석한 결과, 안젤리나 졸리의
기고
문이 발표된 5월 당시 유방암 유전자 분석과 유방절제수술을 받은 여성의 숫자는 기존 대비 2.5배로 급증했다. 그리고 5개월이 흐른 2013년 10월까지도 늘어난 숫자는 줄어들지 않았다. 2012년의 10월 대비 2배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외부 영향을 최소화 하려고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사사이 박사가 2013년 ‘네이처’에
기고
한 리뷰 논문의 제목도 ‘신체조직구성의 자기조직화에서 세포시스템의 동력학’으로 물리학의 개념이 상당히 반영돼 있다. 즉 물분자가 모여 눈결정이 형성되는 것처럼 세포가 모여 자발적으로 특정한 ... ...
“당신이 마신 물-와인에도 방사능… 과도한 공포심 버려야”
2014.09.11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 보고서의 결함을 조목조목 밝혔다. 뉴욕타임스
기고
문을 통해 “지구온난화의 주범은 인간”이라고 서슴없이 주장하는가 하면 “지구온난화가 오히려 토네이도를 약화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초강력 토네이도나 허리케인은 지구온난화의 증거 아닌가. ... ...
잘 되면 제 탓, 못 되면 엄마 탓?
2014.08.25
만연에 한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 - CDC 제공 스키너 교수는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기고
한 글에서 오늘날 서구사회에 만연한 비만과 당뇨병 등 대사질환을 생활습관이나 식단변화로만 설명하기는 어렵다고 언급하면서 과거 DDT나 다이옥신, 비스페놀A 같은 화학물질에 과다하게 노출된 경험이 ... ...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수학 싫어하는 이유는…”
2014.08.19
과학에 관한 TV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신문에도 수학에 관한 내용들로 왕성한
기고
활동을 하고 있다. 파엔자 교수는 “학생들은 수학이 실생활과 동떨어진 학문이라고 느끼기 마련인데, 그렇지 않다는 사실을 부모나 교사가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며 “학생들이 수학을 싫어하는 건 몹시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절단하는 수술이 즐겨 인용되고 있다. 그런데 캐나다 캘거리대 사무엘 위비 교수의
기고
문을 보면 꼭 그렇지도 않을 것 같다. 위비 교수는 글에서 약이 듣지 않은 뇌전증의 경우 외과적 수술이 유력한 해결책일 수 있다며 환자는 물론이고 의사들도 수술을 꺼리는 태도를 바꿀 필요가 있다고 ... ...
존 벨, 아인슈타인과 보어가 발견하지 못했던 것을 발견한 물리학자
2014.07.14
6월 26일자에는 벨의 정리 50주년을 맞아 호주 그리피스대 하워드 와이즈만 교수의
기고
문이 실렸다. 그런데 쿠마르가 ‘양자혁명’에 주장한 것과는 달리 벨의 정리에 대한 입증이 여전히 진행 중이라는 것. 즉 1982년 아스페의 실험을 비롯해 지금까지 행해진 어떤 실험도 ‘빠져나갈 구멍 없는 ... ...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
2014.06.23
정말 고통을 느낄 수 있나?(Can fish really feel pain?)’라는 제목의 37쪽에 이르는 긴 논문을
기고
하기도 했다. 솔직히 필자는 논문을 읽지는 못했지만(브라운 교수의 논문도 17쪽 짜리다!), 요지는 물고기의 뇌에는 신피질이 없기 때문에 의식도 없다는 것. 즉 물고기는 뇌에 인지적 복합성이 자리 잡을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