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고
투서
기부
출자
공헌
기여
칼럼
뉴스
"
기고
"(으)로 총 371건 검색되었습니다.
단식의 과학
2014.06.16
인상을 준 ‘단식의 과학’을 소개하는 것도 큰 낭비는 아닐 거라는 ‘믿음’에 잡지
기고
문과 책, 리뷰 논문의 내용을 요약해본다. ●몸은 진화적으로 단식에 적응된 상태? 먼저 맷슨 박사는 진화의 측면에서 단식의 유효성을 얘기하는데 꽤 설득력이 있다. 사실 인류는 대부분의 기간 동안 ... ...
1000년 뒤엔 ‘플라스틱 돌멩이’가 지질학 증거?
과학동아
l
2014.06.15
1995년 노벨화학상을 받은 네덜란드의 화학자 폴 크뤼천 박사가 2002년 ‘네이처’에
기고
한 인류의 지질학(Geology of Mankind)이란 글에서 처음 제안했다. 연구팀은 하와이 남동쪽 카밀로 해변 21개 지점에서 플라스틱과 화산암, 조개껍질, 나무조각 등이 한데 뒤엉킨 여러 개의 돌덩이를 채집했다.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클 것이다. 학술지 ‘네이처’ 3월 6일자에는 암흑물질 연구의 현황과 전망을 다룬
기고
문이 실렸다. 미국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의 천체물리학자인 마리오 리비오와 프랑스 피에르마리퀴리대 천체물리학연구소 조 실크 교수가 쓴 글로 최근 관측의 실패 사례로 시작하고 있다. 즉 미국 ... ...
습관의 뇌과학
2014.05.26
오랫동안 연구하고 있는 미국 MIT 앤 그레이빌 교수와 다트머스대 카일 스미스 교수가 쓴
기고
문이다. 이에 따르면 우리 뇌에는 ‘습관회로(habit circuits)’가 있어서 어떤 행동을 반복하다 이 회로에 걸려들면 습관이 돼 좀처럼 벗어나기가 어렵게 된다는 것. 습관회로의 존재는 동물실험(주로 쥐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발견 20주년을 기념해 유방암을 특집으로 다뤘다. 25쪽에 걸쳐 기사 4편과 전문가의
기고
문 3편이 실렸는데 다들 꽤 흥미로웠다. 여기서 말하는 유방암 유전자는 브라카1(BRCA1)으로, 이를 보고한 논문이 1994년 10월 7일자 ‘사이언스’에 실렸다. 당시 표지는 화가 홀리스 지글러의 1992년 작품 ‘내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있었다. 그러나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의 승인을 받은 약물은 릴루졸(Riluzole) 하나뿐이다.
기고
문에 따르면 동물실험에서 수명연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온 약물이 100가지가 넘는다. 그리고 이 가운데 8종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까지 들어갔지만 모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동물실험에서 ... ...
호모 하빌리스, 당신은 누구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4.14
직접 내린 커피를 홀짝이며 가벼운 마음으로 학술지 ‘네이처’ 4월 3일자에 실린 한
기고
문을 읽다가 ‘꽂힌’ 것이다. ●호모 에렉투스의 그늘에 가려 ‘손을 쓰는 사람’이라는 뜻의 고인류 호모 하빌리스(Homo habilis) 발표 50주년(‘네이처’ 1964년 4월 4일자에 실린 논문)을 맞아 미국 ... ...
유방암 사망자, 선진국만 줄었다
과학동아
l
2014.03.30
방패(양자암호)를 동시에 보유하기 위해 치열한 기술 확보 경쟁을 벌이고 있다. 글을
기고
한 영국 옥스포드대 아더 이커트 교수와 스위스 연방공대 레나토 레너 교수는 "지난 10여 년간 양자암호화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했지만, 해커가 강한 빛 펄스를 사용하면 광자 감지가 제대로 이뤄지지 ... ...
IT 접목한 ‘똑똑한 제조업’ 美日獨 날고, 한국은
기고
…
동아일보
l
2014.01.16
[동아일보] [포스트 뉴 노멀 시대/한국경제 새 길을 찾는다] 선진국은 ‘3차 산업혁명’ 중 《 지난해 9월 미국 뉴욕 시 퀸스 플러싱 뉴욕과학관에서 열린 ‘월드 뉴욕 메이커 페어’ 행사장. 전시업체 관계자가 3차원(3D) 영상을 컴퓨터에 입력하자 3D프린터에서 플라스틱과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발명한 에른스트 루스카와 함께 1986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네이처’에 부고를
기고
한 IBM연구소의 크리스토프 거버 박사는 글 말미에 로러의 한국 대중 강연 장면을 회상하고 있다(정확이 언제 어디서 한 건지는 모르겠음). 고등학생과 대학생 4000여 명은 STM개발 과정을 드라마틱하게 묘사한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