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시권 통신망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뉴스
"
맨
"(으)로 총 857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언
맨
같은 외골격 로봇 등 융합기술 개발에 375억원 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3
다양한 분야의 기술이 융합된 착용형 외골격 장치. - 동아사이언스DB 정부가 인공지능(AI)과 로봇 등 첨단기술을 바이오 분야와 융합해 사람의 지능과 신체 능력, 감각을 강화하는 ‘휴먼플러스 융합연구개발 챌린지 사업’을 올해 새롭게 추진하기로 했다. 향후 5년간 총 250억 원이 투입된다. 신체마 ... ...
“美 25년간 암사망률 27%줄었다” …한국은 아직 증가세
동아사이언스
l
2019.01.09
인간 암 유래 세포인 헬라(HeLa) 세포. -사진 제공 미국국립보건원(NIH) 미국의 암 환자 사망률이 25년 사이에 27% 떨어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4대 ... 추세다. 한국의 인구 10만 명 당 사망자 수 비율(조사망률) 추세. 사망 원인 1위라
맨
위에 표시돼 있다. 지속적인 증가 추세다. -사진 제공 ... ...
[이강운의 곤충記] 감추어진 애벌레, 뚜껑을 열다
2019.01.09
알 속 혹은 고치 속에서 애벌레로 꼼짝 않고 월동을 하는 놈들과는 달리 보호도구 없이
맨
몸으로 월동을 하는 종류들은 조건휴면을 한다. 1년에 2회 이상 발생하는 곤충들 중 해가 짧아지고 기온 떨어지는 가을에 성장하는 놈들이다. 온도가 떨어지고 먹이가 없어지면 휴면에 들어가지만 주변 환경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해낸 것이다. 문득 흑연에서 그래핀을 얻은 연구를 경쟁적으로 진행하다 2004년 영국
맨
체스터대 안드레 가임 교수와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박사가 스카치테이프를 붙였다 떼는 방법으로 성공한 일이 떠오른다. 이 업적으로 두 사람은 2010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그러나 두 발견엔 큰 차이가 ... ...
화재경보 울리면 천장서 스크린 ‘스르르’…비상 대피통로 만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18.12.24
목표다. 복합재난대응(MDCO) 융합연구단의 백용 단장(한국건설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맨
오른쪽)을 비롯한 연구자들이 최근 개발한 조기 재난경보·대응 시스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건물을 중심으로 진동과 온도, 연기, 지하수위, 영상 등 각종 센서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 ...
33만명의 '동심'에 과학을 심었다…개관 1년 맞은 국립어린이과학관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바뀌는 과학 원리를 익힐 수 있도록 설계됐다. ‘쥬스야 변해라 얍!’ ‘도와줘요 자석
맨
’ ‘나는야 동물박사’ 등 다양한 주제로 과학실험을 하는 그룹 체험 프로그램인 ‘사이언스 랩’ 역시 많은 어린이들의 사랑을 받았다. 어린이들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한 다채로운 과학문화행사도 눈에 ... ...
메뚜기 점프원리 규명·아이언
맨
소재 발굴…美육군 과학자들이 뽑은 연구 10選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미국 육군연구소(ARL)의 공식로고.-미 육군연구소 제공 미국 육군연구소(ARL)는 병사들의 안전과 군사력 유지를 위해 끊임없이 새로운 과학 기술들을 연구하고 있다. 해마다 연구소 소속 과학자들이 개발한 그해 최고의 10개 연구성과와 기술을 발표하고 있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와 ‘네이 ... ...
익룡의 원시 털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밝혔다. 네 종류의 피크노파이버가 익룡 어느 부위 외피에서 발견됐는지 표시한 그림.
맨
위 그림과 비교해 보면 각기 다른 피크노파이버를 볼 수 있다. - 사진 제공 네이처 생태와 진화 ... ...
집안 골칫거리 초파리 아프리카에서 기원
동아사이언스
l
2018.12.12
감귤류 열매보다 마룰라가 알을 낳기에 좋은 곳으로 판단하게 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맨
수리안 박사는 “다른 지역의 초파리들도 감귤류 열매보다 마룰라 열매를 선호하는 것을 보아 남아프리카에서 밖에 나지 않는 마룰라 열매가 초파리의 번식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며 “남쪽 ... ...
[노벨상 시상식]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2018.12.08
있는 결합 부위의 표면적이 넓어 화학합성 의약품보다 훨씬 더 강하게 결합할 수 있다.
맨
손 대신 글러브(항체)를 끼고 공(항원)을 잡는 셈이다. 또한 치료용 항체는 결합 특이성이 높아 효능이 뛰어나고 독성이 낮으며, 화학합성 의약품에 비해 장시간 몸속에서 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