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박판
시트메탈
뉴스
"
박막
"(으)로 총 47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차기 회장에 한민구 서울대 석좌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8.12.02
1979년 뉴욕주립대 교수로 재직시 비정질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TFT) 및 비정질실리콘
박막
태양전지 연구를 시작해 이 분야를 개척한 연구자로 평가 받고 있다. 오늘날 널리 쓰이고 있는 평판디스플레이의 핵심 기술이 바로 한 교수가 연구한 TFT다. 한 신임 원장은 이후 귀국해 서울대 ... ...
항암제 내성 막는 ‘암 줄기세포’ 연구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항암제를 조금씩 주입하고, 동시에 어떻게 자라나는지를 관찰했다. 암세포는 고분자
박막
표면에서 서로 뭉치면서 3차원 형태로 엉킨 ‘스페로이드’로 자랐다. 동시에 항암제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 종양 ‘암 줄기세포’로 바뀌었다. 연구팀은 암 줄기세포를 만 하루(24시간) 안에 빠르게 ... ...
실처럼 가느다란 ‘땀 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6
개발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윤 교수는 “전도성 고분자를 응용해 기존의 2차원
박막
소자를 1차원 단일 섬유 형태의 소자로 만드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자매지인 ‘NPG 아시아 머티리얼즈’ 26일자에 게재됐다. 광주과학기술원 제공 ... ...
차세대 소자 쓰일 ‘2차원 단결정’ 질화붕소 대량 합성방법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1.16
유리하다. 연구진은 단결정 질화붕소
박막
의 활용성도 검증했다. 질화붕소
박막
을 기판으로 삼고 그 위에 그래핀, 이황화몰리브덴(MoS2), 이황화텅스텐(WS2)을 쌓아오리는 방식으로 합성했다. 이 형태로 전자회로를 구성하면 전기 효율이나 연산속도가 월등히 빠른 처리속도를 갖는 신개념 전자회로 ... ...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태양의 도시’로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8.11.14
유리한 면도 있다. 전자 인쇄 기술로 찍어내 생산 비용이 낮다. ‘유연한’ 유기
박막
태양전지 (효율12.6%/셀 1개 기준) KIST 제조 | 얇은 플라스틱 기판 위에 유기 고분자 물질을 200나노미터(nm1nm는 10억분의 1m) 이하의 두께로 인쇄한다. 이때 전자를 받아들이기 쉬운 유기 고분자 물질과 전자를 ... ...
미래 메모리 기술의 결정체 '스커미온 입자' 제어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적도 없었다. 왕 연구원팀은 강유전체인 티탄산바륨과 자성체인 스트론튬루테네이트
박막
을 여러 층 쌓은 뒤, 자기장에 따른 저항을 측정했다. 이 과정에서 스커미온을 지닌 물질에서 흔히 보이는 이상한 효과를 발견했다. 외부 자기장 없이도 전자가 가해진 전기장에 수직 방향으로 휘는 ... ...
차세대 ‘유기 태양전지’ 효율 높일 새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최적의 구조를 찾는 연구가 부족해 산업화가 늦어지고 있다. 연구진은 광활성층
박막
에서 단분자 유기반도체의 분자 간 상호작용을 조사하고 연구했다. 그 결과 전단분자 유기태양전지의 광활성층에서 100㎚(나노미터, 1㎚는 10억분의 1m) 정도 크기의 전자들뜸 현상이 생겨날 때 효율이 대체로 ... ...
비틀어도 잘 작동하는 웨어러블 기기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것으로 확인됐다. 정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신축 시 발생하는 변형력에 따른
박막
특성 변화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형력에 민감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센서 같은 전자기기의 신뢰성을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 ...
배터리 필요없는 피부 부착 심전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공동연구진이 개발한 초
박막
유기태양전지 구조(왼쪽)과 실제 초
박막
유기태양전지 사진 (오른쪽). 광주과학기술원 제공. 한국과 일본 과학자들이 태양빛을 받아 작동하고 피부에 붙이는 심전도 측정장치를 개발했다. 주위에 빛만 있으면 동작하기 때문에 외부 전기 공급이 필요없어 활용 ... ...
DGIST-서울대, 뼈 속 칼슘 축적되는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9.20
나노 입자를 ‘비행시간-중에너지 이온산란 분석법(TOF-MEIS)’을 개발했다. TOF-MEIS는 나노
박막
이나 나노 입자의 평균 조성과 크기를 단원자층 수준까지 측정하는 기술이다. 이온을 발사해 나노입자에 때리면, 그 입자의 질량이 클수록 빠르게 산란되면서 그 시간을 측정해 입자의 크기와 성장정도를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