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박판
시트메탈
뉴스
"
박막
"(으)로 총 474건 검색되었습니다.
폭염 막아주는 반투명 태양전지 나왔다
2016.08.01
덧붙여 이같은 태양전지를 만들었다. 수 nm(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의 얇은
박막
을 제작한 뒤 이를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투명한 금속 전극을 제작했다. KAIST 제공 이 태양전지의 에너지효율은 13.3%. 일반적인 고효율 태양전지와 비슷했다. 100의 태양 빛을 받았을 때 13.3만큼의 에너지를 ... ...
“낮은 온도에서도 효율적으로 수소 저장”
2016.07.13
이에 연구진은 백금 나노입자와 결합시킨 터널 격자 구조의 바나디움 산화물
박막
을 만들어 단위 격자당 최대 2개의 수소 원자를 자유자재로 흡착하거나 탈착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소재는 기존의 금속 수소 저장 소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120도에서도 수소의 흡착과 탈착이 ... ...
환부에만 약물 보낸다… 벌떼처럼 움직이는 미세입자 나왔다
2016.07.12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진은 작은 유리공 한쪽 면에만 금속
박막
을 입혀 양면이 다른 전하량을 갖도록 만들었다. 이런 입자들이 담긴 증류수에 교류 전압을 가하면 정전기가 발생해 입자들이 서로 밀거나 당기는 등 다양한 상호작용을 한다. 연구진은 이 미세 입자들의 ... ...
연필에 돌돌 말릴 정도로 얇은 태양전지 보셨나요
2016.06.21
태양전지보다 수백 배 얇고,
박막
태양전지라고 불리는 것보다도 2~4배 얇은 수준이다. 초
박막
태양전지는 일반적으로 층층이 쌓아올린 소자를 깎아내는 방식으로 만들지만 연구진은 얇은 기판 위에 회로를 직접 그려내는 기법을 활용했다. 먼저 연구진은 실리콘과 비슷한 반도체 재료인 갈륨 ... ...
20초 만에 스마트폰 완충하는 기술 개발
2016.06.21
만들었다. 여기에 6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박막
형태로 입혔다. 그러자 3차원 그물 모양의 그래핀과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가 만드는 다양한 크기의 기공이 전해질의 접근성을 높이는 역할을 했다. 그 결과 이온의 접근이 쉬워지고 전자의 이동이 원활해졌다. ... ...
효율-수명, 두마리 토끼 한번에 잡은 태양전지 나왔다
2016.06.13
역할을 한다. 실제로
박막
을 넣자 전자이동도가 약 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박막
덕분에 전지에서 태양 빛을 받는 부분에 수분과 산소의 유입이 차단돼 소자의 수명을 1.5배 이상 높일 수 있었다. 이를 적용해 만든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광전환 효율이 16.23%를 기록해 기존(13.6% ... ...
대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기록 갱신
2016.06.10
않았다. 석 교수는 “태양전지를 크게 만드는 과정에서 내부 저항이 증가하거나
박막
의 균일한 구조가 깨지면서 효율이 떨어진다”며 “이번 연구는 상용화를 위해 별도의 진공장치가 필요하다는 제약이 있다”고 설명했다. ... ...
옷? OK~ 돌멩이? OK~ 어디에도 붙는 만능 전자소자
2016.06.08
위에 부착한
박막
형 폴리이미드 기판(왼쪽). 이를 확대한 주사현미경 이미지(가운데).
박막
형 폴리이미드 기판 주변에 형성시킨 섬모의 주사현미경 이미지(오른쪽). - 광주과학기술원(G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옷 위는 물론 울퉁불퉁한 돌멩이 위에도 부착할 수 있는 전자소자를 개발했다. 고흥조 ... ...
빛의 파장보다 작은 물체 관찰하는 ‘메타렌즈’
2016.06.05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에는 초
박막
‘메타렌즈(meta-lens)’의 표면 이미지가 실렸다. 빛이 어디로 향해야 할지 안내라도 하는 듯 서로 다른 각도로 꽂혀 있는 핀들은 일정한 패턴을 이루고 있다. 그 위로는 렌즈를 통과한 빛이 한 지점(노란색)에 모여 있다. 메타렌즈는 굴곡이 없는 평면 ... ...
신성철 DGIST 총장, 한국인 최초 AUMS 상 수상
2016.06.01
이룬 학자에게 AUMS 상을 준다. 신 총장은 자성학 분야의 오랜 난제였던 2차원 나노자성
박막
의 잡음 현상을 처음으로 규명한 업적을 인정받았다. 그는 자성학 분야 논문 310편을 피지컬 리뷰 레터스, 네이처 피직스 등 주요 국제학술지에 게재하고 특허 37건을 등록하기도 했다. 올해 시상식은 8월 1일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