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박판
시트메탈
뉴스
"
박막
"(으)로 총 474건 검색되었습니다.
실 같은 전자회로 ‘섬유형 트랜지스터’ 개발
2016.03.07
기능을 구현해 내는 데 성공했다. 또 이렇게 만든 섬유형 트랜지스터는 기존의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유사한 성능을 지닌 것으로 확인됐다. 소자를 접어 길이 3㎜까지 줄여도 성능의 80% 이상이 유지됐다. 섬유 표면 전체에 절연막과 반도체를 고르게 형성해 트랜지스터 성능은 균일한 ... ...
고가 OLED 가격 낮출 기술 나온다
2016.03.02
수 있는 용매를 사용해 소자 표면에 발광층 코팅이 매끄럽게 이뤄지게 하는 방식으로
박막
의 균일도와 발광효율을 높였다. 표면 성분도 조절해 발광효율을 더 끌어올렸다. 그 결과, 형광 발광체를 이용한 OLED의 발광 효율이 18.3%에서 24%로 상용화가 가능한 수준까지 높아졌다. 또 적색 녹색 청색 등 ... ...
‘
박막
(thin film)’은 왜 중요할까
2016.02.14
프레드리히알렉산더대 거대시뮬레이션연구소 교수가 좌장을 맡아 그레인-스케일 이론,
박막
디자인 및 혼합과 분리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이뤄진다. 고든리서치컨퍼런스는 입상물질 세미나를 포함해 5월 14일~8월 26일 미국, 이탈리아, 영국, 중국 등에서 다양한 주제로 ... ...
‘빨주노초파남보’ 가시광선으로 수소 만들어낸다
2016.02.01
수 있는 고효율 광전극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팀은 금
박막
과 전기를 유도하는 유전체인 이산화티타늄(TiO2)
박막
, 금 나노입자를 차례로 쌓아 메타물질 구조체를 만들어냈다. 이 구조체를 적용한 광전극은 내부 전기장이 부분적으로 30배 이상 확대돼 기존 광전극보다 ... ...
차세대 신소재 ‘황화몰리브덴’ 전기적 특성 풀었다
2016.01.27
형태로 결합된 부분이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이황화몰리브덴과 그래핀은 나노
박막
지름이 수 십 마이크로미터(㎛·1㎛는 100만분의 1m)에 불과한 미세한 입자들이 연결된 형태다. 각 원자의 결합구조 때문에 이웃한 두 결정입자의 각도가 서로 틀어지면서 특이한 경계면(결정립계면)이 ... ...
인체 투과하는 ‘꿈의 전자파’ 변조 기술 개발
2016.01.26
대역 조절을 구현한 만큼 적외선 및 가시광선 영역에서도 주파수 변조가 가능한 초
박막
유연 소자를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재료과학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지난해 12월 7일자에 실렸다. ... ...
‘꿈의 물질’ 그래핀, 상용화 길 열릴까
2016.01.26
것이다. 이어 연구팀은 그래핀
박막
과 유리 기판 사이에 수증기를 주입해 그래핀
박막
을 유연한 다른 기판에 옮기는 데 성공했다. 또 접착식 패턴 테이프를 이용해 전기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선’을 만드는 패턴화 공정도 개발했다. 정밀도는 10㎛(마이크로미터·1㎛는 100만분의 1m)에 달했다. 안 ... ...
태양전지도 ‘gold’ 시대
2016.01.25
전해질 연구를 통해 3.8%의 광전환 효율을 달성했다고 25일 밝혔다. 현재 상용화 된
박막
형 태양전지는 흡광제로 인체에 해로운 중금속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 태양전지 전문가들은 실내용이나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인체에 가까이 있어도 무새한 친환경 차세대 태양전지 연구를 ... ...
무거운 배터리 안녕, 종이 한 장이면 충분
2015.12.09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2일 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배터리 역할을 하는
박막
은 이미 오래 전에 개발됐지만 지나치게 얇기만 해 활용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번에 개발한 종이 배터리는 보통 종이처럼 종이접기를 할 수 있는 3차원 재료인 데다 접어도 망가지지 않을 정도로 강도가 ... ...
LED, OLED 다음은 ‘PeLED’!
2015.12.04
형성돼 발광효율이 낮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새로운
박막
형성 공정을 개발해
박막
을 균일하고 평평하게 만들어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입자의 크기를 줄이고 화학 물질의 성분을 조절해 납 원자 형성을 막는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발광 효율을 기존 OLED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었다.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