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박판
시트메탈
뉴스
"
박막
"(으)로 총 474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래핀’ 한계 뛰어넘을 신소재 대면적 합성 첫 성공
2016.05.03
플라스틱 기판이 녹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진은 기체 상태 물질의 화학반응을 통해
박막
을 만드는 기존 ‘화학기상증착법’을 사용하는 대신, 전구체와 반응 기체, 물질의 표면 상태 등을 미세하게 조절해 350도 이하의 온도에서도 이차원 이황화몰리브덴을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층수 조절 등 ... ...
휘어지는 모니터, 싸게 만드는 기술 개발
2016.05.03
빠른 고성능 디스플레이 제작이 가능해졌다 최 교수는 “용액 공정을 이용해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를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다양한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제조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 ...
벌집 모양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주경 첫 공개
2016.04.27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도록 주 거울이 베릴륨으로 제작됐고, 표면에 반응성이 낮은 금
박막
(단위 거울 1개당 48.25g)이 코팅돼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에서 연구원들이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주 거울을 보호하고 있던 마지막 덮개를 걷어내고 있다. - NASA 제공 성공적으로 ... ...
물에서 수소에너지 값싸게 얻는 태양광 기술 개발
2016.04.19
화학신소재공학부 교수팀과 공동으로 윤활유로 쓰이는 재료인 이황화몰리브덴(MoS2)
박막
을 이용해 수소 생산률을 기존보다 20배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식물이 광합성을 하듯 태양광 에너지로부터 수소와 같은 유용한 물질을 얻어내기 위한 ‘인공 광합성’ 연구가 최근 ... ...
투명 랩만큼 얇다, 손등에 딱 붙는 초
박막
전자피부 개발
2016.04.18
상태를 유지했다. 연구진은 여기에 투명한 인듐주석산화물(ITO) 전극을 붙여 초
박막
전자피부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를 활용해 연구진은 혈중 산소량을 감지해 디스플레이에 표시해 주는 전자피부를 만들었다. 이 전자피부는 열 발생량과 전력 소비량이 기존의 6분의 1로 줄었고, ... ...
더 저렴한 가격으로 트랜지스터 성능 25배↑
2016.04.13
위해 CNT에 산을 추가해 물과 잘 섞이도록 만들었다. 리튬과 탄소나노튜브를 적용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실제 모습. - 광주과학기술원(GIST) 제공 기존에 사용되던 트랜지스터는 1V(볼트)의 전압을 걸었을 때 전하가 초당 1.4㎠의 면적을 이동할 수 있는 성능을 보였지만, 리튬을 추가하자 약 5배 높아진 ... ...
차세대 반도체 소자 ‘흑린’ 대량생산 방법 찾아냈다
2016.04.06
차세대 반도체 소자로 불리는 흑린 덩어리를 실험용 병에 담아둔 모습.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반도체 소 ... 단계로 발전할 수 있는 연구 기반이 마련된 셈”이라며 “이 기술을 이용해 흑린
박막
을 이용한 다양한 소자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머리카락 두께 10만 분의 1, 차세대 웨어러블 소자 개발
2016.03.16
미국 라이스대 연구진과 공동으로 머리카락 지름의 10만 분의 1 정도로 매우 얇은 초
박막
비금속 트랜지스터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기존의 웨어러블 컴퓨터 소재는 주로 금속으로 만들어져 너무 얇으면 쉽게 부서졌다. 전자 칩을 올려 놓는 구조물인 기판은 유연하게 만들 수 ... ...
차세대 전자소재 ‘강유전체’ 원리 첫 규명
2016.03.08
수치의 변화 현상을 측정했다. 그런 다음 더욱 강한 전기장에도 견딜 수 있도록 새로운
박막
을 합성했다. 그리고 여기에 기존 연구에서 가한 것보다 훨씬 큰 전기장을 가했다. 그 결과 이론적으로 예측했던 것보다 훨씬 큰 분극량이 나타났다. 이 물질을 비롯한 일부 물질이 강유전성을 나타내기 ... ...
차세대 원자층반도체 효율 낮춘 범인 밝혀졌다
2016.03.08
배 높다. 하지만 광 변환 효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진은 이황화몰리브덴
박막
에 펨토초(fs·1000조 분의 1초) 레이저를 쪼이는 초고속 분광법을 이용해 변환 효율을 낮게 만드는 원인이 새로운 형태의 반입자가 형성되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찾아냈다. 반도체가 빛을 흡수하면 그 에너지로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