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박판
시트메탈
뉴스
"
박막
"(으)로 총 474건 검색되었습니다.
KAIST는 쿡 찍어내고, 포스텍은 둘둘 말고
2015.01.19
Nanoscale)’ 28일자 표지논문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조길원 교수는 “그래핀
박막
은 접거나 휠 수 있는 전자소자의 전극으로 응용할 수 있다”며 “이번 기술 개발로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면 웨어러블 스마트기기 시장이 더욱 활성화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물-기름 ‘상극’인 물질 결합시켜 나노복합체 개발
2014.12.11
교수는 “극성과 무극성이라는 서로 전혀 다른 화학성질을 가지는 물질로 나노복합체
박막
을 만드는 방법을 찾은 데 의의가 있다”며 “바이오센서나 광학용 소자 등 다양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지(JACS)’ 지난달 26일자에 실렸다 ... ...
거미 발목 모방한 ‘거미센서’ 개발
2014.12.11
만드는 데 성공해 ‘네이처’ 1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유연폴리머 기판 위에 백금
박막
을 쌓은 뒤 수 nm(나노미터) 수준의 미세 균열을 만들었다. 지그재그로 갈라진 균열은 진동의 크기에 따라 수 ㎛(마이크로미터)까지 틈이 벌어졌다. 이렇게 틈이 변하면 절단면 사이의 접촉면적이 달라지게 ... ...
그래핀에 올빼미 그렸더니…
2014.12.10
레이저로 그래핀
박막
위에 올빼미 모양의 무늬를 새겼다. 전자현미경으로 이 그래핀
박막
을 관찰한 결과 탄소 원자 6개가 6각형 모양으로 배열돼 있어야 할 곳에서 5각형이나 7각형 형태로 배열된 그래핀이 뒤섞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축전기로 전기를 저장하는 성능을 측정한 결과 ... ...
전원 꺼져도 정보 보존되는 ‘강유전체’ 수수께끼 풀려
2014.12.03
티탄산바륨을 이용해 두께가 3nm(나노미터)에 불과한 강유전체
박막
을 만들고, 이
박막
을 하부전극(LSMO)과 상부전극 사이에 붙인 터널접합소자를 만들었다. 이때 상부전극으로 구리, 금 등 다양한 금속을 이용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상부전극으로 구리를 썼을 경우 금을 썼을 때보다 ... ...
[동정] 한국화학연구원 外
2014.12.02
남승은 △차세대전지소재연구센터장 강영구 △고기능고분자연구센터장 원종찬 △
박막
재료연구센터장 정택모 △의약바이오연구본부 의약화학연구센터장 안진희 △신물질기반기술연구센터장 이상달 △바이러스시험·연구센터장 김미현 △친환경신물질연구센터장 고영관 ... ...
생기연, 중소·중견기업 기술개발 지원 사례집 발간
2014.11.27
호남지역본부 나노기술집적센터의 문을 두드린 셀코스는 최범호 수석연구원으로부터
박막
산업 관련 기술 자문을 받았다. 최 연구원의 자문을 받은 셀코스는 오염물질 없이 크롬막을 만드는 도금 공정을 개발해 창업 3년 만인 지난 2013년에는 210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영수 생기원 원장은 ... ...
맥가이버를 보고 과학자를 꿈꾸던 소녀
동아사이언스
l
2014.11.27
당시 LCD 패널은 아주 획기적인 신소재였다. 이 박사는 전공과목에서 LCD 패널과 유기LED,
박막
디스플레이 등 관심 있는 분야를 공부했다. “지금은 노력만 하면 자신이 좋아하고 자신에게 어울리는 전공 정보의 얻을 수 있지만, 당시엔 전공과 진로에 대한 탐색이 힘든 시대였어요.”라며 회상했다. ... ...
손목에 감쌀 수 있는 플라스틱 태양전지 나왔다
2014.11.18
쓰기 어려웠다. 연구진은 플라스틱 기판 위에 원자를 한 층씩 붙이고 플라스마로
박막
을 만드는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해 열처리 과정 없이도 태양전지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태양전지는 효율이 12.2%로 지금까지 개발된 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이 ... ...
줄기세포치료제 손상 없이 전달하는 기술 개발
2014.11.18
폴리페놀
박막
이 만들어진다. 이
박막
으로 피포화된 세포들은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박막
형성시간이 짧고 간단해 효율적으로 많은 양의 피포화 세포를 얻을 수 있게 만들었다. 이영훈 교수는 “세포생존도를 유지함은 물론이고 극한의 외부환경에 대항해 세포를 보호할 수 있게 됐다”며 ... ...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