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노고
수고
고생
뉴스
"
작고
"(으)로 총 714건 검색되었습니다.
뱀을 삼키 닭
팝뉴스
l
2019.05.20
한 마리가 뱀을 잡아 먹고 있다. 뱀은 독이 없는 가터 스네이크다. 크기도 작다. 아무리
작고
독이 없어도 닭이 뱀을 사냥한 장면을 흔하지 않아, 해외 네티즌들의 눈길을 끈다. 사진은 네티즌 사이에서 화제인데 일부 네티즌들은 닭이 겁쟁이 같았지만, 이 사진에는 한 마리의 당당한 맹금 같다고 ... ...
귀 속에 집을 지은 거미‘ 발견
팝뉴스
l
2019.05.14
거미는 집까지 지어놓고 남자의 귓속에 정착한 상태였다. 문제는 거미가 너무
작고
빨라 도구로는 잡을 수 없었다는 점. 병원에서는 물을 부어서 거미가 휩쓸리게 하는 방법을 택했다고 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⑥ 진화하는 인공관절 수술봇
동아사이언스
l
2019.05.14
않고 단순한 곳”이라며 “추후 기술이 발달하면 손목이나 어깨처럼 뼈가 비교적
작고
복잡한 구조도 수술할 수 있는 로봇이 탄생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주인 지키는 충견 강아지
팝뉴스
l
2019.05.12
그렇게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사진에는 감동 포인트가 있는 것이다. 또 강아지가
작고
귀여운 것이 웃음의 포인트다. 도저히 주인을 지킬 수 없을 것 같은 체구여서 대욱 재미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 ...
[과학기자의 생생임신체험記] 찌릿찌릿 가슴 통증으로 임신 사실을 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1
사정이 이러니 온갖 괴로움에 직면한다. 아기가 하루에 얼마나 먹고 있는 건지, 이렇게
작고
연약한 아기를 내가 굶기고 있는 건 아닌지, 상담사는 분명 30분은 먹여야 한다고 했는데 왜 아기는 가슴 한쪽을 채 다 비우지 못하고 10분 만에 잠이 드는 건지, 그 사이 가슴은 왜 이토록 불어나고 아픈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생명력 질긴 A형 간염 바이러스, 치료제 나오나
2019.05.08
활동을 저지했다는 말이다. A형간염 바이러스는 피코나바이러스과(科)에 속하는
작고
단순한 바이러스다. 원래 바이러스 자체가 작지만 여기에 ‘작다’는 뜻의 ‘피코(pico)’라는 접두어까지 붙었다. A형 간염 바이러스 입자의 지름은 27나노미터로 머리카락 굵기의 3000분의 1에 불과하다. 참고로 ... ...
반도체에 ‘그래핀 고속도로’ 깔았더니…신호전달 효율↑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반도체 안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선로를 그래핀으로 대체했다. 이 때, 전하 농도를 높이고 저항을 줄이기 위해 비정질 탄소를 입혔다. 사진제공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 반도체 집적회로에 일종의 ‘고속도로’를 깔아 신호의 전송 속도를 높인 신개념 반도체 소재 기술이 개발됐다. 두께는 ... ...
처음 보는 생명체?
팝뉴스
l
2019.05.01
엿보인다. 그런데 저것은 무엇일까. 두 개의 더듬이와 긴 목을 가졌다. 머리는
작고
다리 혹은 날개 것도 보인다. 정체를 알기 어려운 이 동물은 달팽이다. 해외 네티즌들은 놀라워한다. 달팽이가 이런 모습이라는 걸 전혀 몰랐다는 것이다. 보통은 달팽이가 몸을 숨기기 때문이다. 사람 혹은 ... ...
뇌 신경신호 읽어 ‘목소리’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5
없는 안전한 측정법”이라고 말했다. 연구에 이용된 전극은 어른 손바닥 반보다 조금
작고
얇다. 뇌 측두엽 표면에 부착한다. 뇌전증 환자는 이런 전극을 붙여 치료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불편함은 적을 것으로 보인다. 사진제공 UC샌디에이고 연구팀은 이 장치를 영어를 할 줄 아는 20~40대의 남녀 ... ...
‘아른아른’ 화면 빛반사 줄일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선임연구원과 이헌 고려대 신소재공학부 교수, 김수정 고려대 신소재공학부 연구원팀이
작고
가벼우면서도 다양한 방해 가시광선을 흡수해 색 재현성을 높인 새로운 디스플레이용 나노소재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홍 선임연구원팀은 눈을 아른거리게 하는 주범인 빛 반사를 잡기 위해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