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노고
수고
고생
뉴스
"
작고
"(으)로 총 69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유전성 물질의 비밀, 83년 만에 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3
마틴 캐머린크 스웨덴 링셰핑대 물리학과 교수가 강유전체 생성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Thor Balkhed 제공 흔히 강성은 물질의 특성이 외부 ... 방향성과 세기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설명할 수 있게 됐다”며 “나노미터 수준으로
작고
유용한 데이터 저장용 소자를 개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거북의 뱀 사냥 장면 포착
팝뉴스
l
2018.10.23
뱀의 꼬리를 붙잡고 천천히 먹고 있는 것이다. 물뱀은 버둥거리지만 어쩔 도리가 없다.
작고
느린 거북의 ‘터프함’에 많은 네티즌들이 놀라움을 표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 ...
초대형 악어 거북 ‘화제’
팝뉴스
l
2018.10.23
악어를 연상하게 한다. 한편 악어 거북의 등 위에는 어린 악어 거북을 올려놓았다. 저
작고
귀여운 거북이 거대하며 공포스러운 괴물로 자라는 것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일본에서 인기를 끌고 있고 우리나라에도 소개된 것 같다. 그럼에도 역시 열매가 너무
작고
재배 조건도 까다로워 상업 작물로서는 자격미달이다. 보이스톰슨연구소 조이스 반 에크 교수팀 등 미국의 공동연구자들은 식용꽈리가 야생 토마토(Solanum pimpinellifolium)와 여러 특성이 비슷하다는 데 ... ...
“진짜 LED TV 구현 가능해진다”… 고효율 마이크로 LED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14
작게 만들면 현재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대체할 수 있다. 하지만 LED광원을 이정도로
작고
효율이 높도록 만들기 어려워 실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김태근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연구진은 초소형 마이크로 LED의 전기흐름 효율과 빛 방출 성능을 개선한 고효율 투명전극을 개발했다고 ... ...
작은 로켓이 맵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8
이 같은 광경 외에 이제는 다른 풍경도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규모가 10m인
작고
가벼운 로켓이 세계 발사체 시장의 새로운 주역으로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1일부터 5일까지 독일 브레멘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 우주공학·산업 대회인 ‘제69회 국제우주대회(IAC)’는 이렇게 새로운 규격과 ... ...
태양계밖 8000광년 외계위성 추정 천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0.05
79개다. 그러나 태양계 밖에선 위성이 공식적으로 발견된 적은 없다. 위성은 크기가
작고
신호도 약해 지금까지는 지구에서 발견하기 쉽지 않았다. 미국 컬럼비아대 천문학과 데이비드 키핑 교수팀은 지구로부터 8000광년 떨어진 가스 행성 ‘케플러-1625b’를 도는 천체 ‘케플러-1625b-i’를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인간에 이로운 맞춤형 단백질 만들다
2018.10.04
교수가 유도진화 기술을 개발한 시점은 윌렘 핌 스테머(Willem Pim Stemmer) 박사(2013년
작고
)가 DNA 셔플링(DNA shuffling)이라는 기술을 개발한 시점과 공교롭게 비슷하다. 이들 두 기술은 단백질 유도진화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두 기술 모두 단백질을 만드는 청사진을 ... ...
‘레이저 정밀기기 산파’ 노벨 물리학상, 3명 공동수상… 55년만에 여성도 영예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들. - 노벨위원회 제공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레이저를 이용해 매우
작고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손상시키지 않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미국과 프랑스, 캐나다의 물리학자 3명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상위원회는 2일 아서 애슈킨 전 미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그는 1960년대 소철 씨 분말인 파당을 원인으로 지목했지만 인정을 받지 못한 채 2001년
작고
했다. - 메이요클리닉 제공 2006년 ‘사이언스’ 기사에는 박쥐 가설을 내놓은 폴 콕스가 50년 가까이 리티코-보틱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헌신했던 레너드 컬렌드를 만났을 때 들은 말을 회상하는 부분이 있다.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