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뉴스
"
전기
"(으)로 총 6,232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별기고] CES서 현실이 된 AI와 '딥시크' 충격, 우리는?
2025.02.11
세우고 첫 작품인 아필라를 전시했는데 이미 캘리포니아에서 주문을 받고 있었다.
전기
차를 스마트폰 같은 디바이스 또는 가전제품으로 보는 세상이 왔다는 느낌이었다. 기대가 컸던 탓인지 삼성 전시관의 존재감은 아쉬웠다. 역시 기술의 삼성답게 최고 수준의 많은 제품들을 전시했고 그것들을 ... ...
방사선 없이 날숨만으로 폐암 조기 선별
동아사이언스
l
2025.02.11
통해
전기
신호가 달라진다. 날숨의 구성성분 데이터를 학습한 AI 딥러닝 알고리즘은
전기
신호를 분석해 폐암 발병 여부를 판별한다. 연구팀은 전상훈 분당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교수 연구팀과 임상시험을 진행해 개발한 시스템이 95% 이상의 선별검사 정확도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했다. 폐암 ... ...
[사이언스게시판] 천문연, 제33회 천체사진공모전 참가자 모집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개최했다. 남석우 청정수소융합연구소 소장과 이소영 책임연구원은 세계적인 수준의
전기
화학적 성능과 내구성을 가진 연료전지 원천기술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날 ‘KIST인 대상’을 수상했다. 고 최형섭 초대 소장의 기탁 기금으로 운영되는 송곡과학기술상은 ‘p-type 산화물 반도체’ ... ...
전기
차 대세 'LFP 배터리' 약점 재활용 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현저히 낮아 최근
전기
차 배터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2024년 기준 LFP 배터리의 글로벌
전기
차 시장 점유율이 40%를 넘어섰다. LFP 배터리의 약점은 재활용이 어렵다는 점이다. LFP 배터리를 기존의 배터리 재활용 방식인 산성 용액으로 처리하면 높은 비용 대비 회수할 수 있는 원료가 리튬(Li)밖에 ... ...
2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이재헌·신진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작동 전압을 높이면서 배터리 수명도 길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이 상무는 주요
전기
자동차 제조사의 배터리를 상용화하는 데 성공했다. 향후 차세대 배터리 기술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상무는 “지난 26년간의 배터리 연구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배터리 소재, ... ...
공기로
전기
만드는 배터리 수명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배터리 충전을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공기를 전극으로 쓰는 '리튬공기배터리'의 수명과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첨가제가 개발됐다. 기존에 상용화된 리튬이온배터리보다 용량이 최대 5배 이상 큰 리튬공기배터리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 ...
수면 무호흡증 실시간 진단 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수면 무호흡 등 다양한 질병의 조기 진단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유승협
전기
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실시간으로 호흡을 모니터링하는 저전력 고속 웨어러블 이산화탄소 센서를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산화탄소 농도 모니터링은 호흡·순환기계 질병을 조기 발견하는 데 ... ...
전고체전지 전해질 대량생산 공정 최적화…생산시간 70%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4시간으로 대폭 줄고 품질도 개선해 전고체전지 상용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전기
연구원(KERI)은 하윤철 차세대전지연구센터장과 변혜령 KAIST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고체전해질을 대량으로 제조하는 공침법의 메커니즘을 상세히 규명하고 고체전해질 생산 시간과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 ...
[과기원NOW] DGIST, 노벨상 수상자 '빅터 앰브로스' 강연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07
유전자들과 분자적 메커니즘'을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 포스텍은 김철홍 전자
전기
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대 광학·광전자학회인 국제광전자공학회(SPIE)의 '포토닉스 웨스트 2025' 행사에서 최우수논문상을 받았다고 7일 밝혔다. 김 교수 연구팀은 ... ...
10억번 이상 스위칭해도 끄떡없는 '반도체 신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2.07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과냉각된 이온이 도핑된 바나듐 산화물 상전이 신소재의 박막은
전기
적 상전이 시 저항이 크게 변화함에도 격자 상수는 변화하지 않았다. 바나듐 산화물 상전이 신소재의 박막은 나노초 이하의 빠른 상전이 스위칭 속도와 10억 번 이상의 반복 스위칭 후에도 열화되지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