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눈"(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개와 고양이가 자외선을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닿으면 망가지기 쉬울 것이라고 추측했어요. 그래서 수정체가 자외선을 막지 않으면 눈이 멀 수 있어 자외선을 볼 수 없다는 거지요.또 자외선을 차단하면 시야가 더 선명해질 것이라고도 추측하고 있어요. 더글라스 교수팀은 추측한 내용이 사실인지 알아내기 위해서 더 연구할 계획이랍니다 ... ...
- 말레피센트 사악한 요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개발사업단은 녹색 형광 소를 국내 최초이자, 세계에서 두 번째로 탄생시켰다. 이 소는 눈과 코, 혀와 발굽이 형광 녹색으로 빛난다. 연구팀이 형광 소를 생산한 이유는 소의 유전 형질을 변환해 인슐린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다. 바뀐 유전 형질이 제대로 발현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소의 ... ...
- 어린왕자, 서호주 아웃백에서 은하수를 보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대, 소 마젤란은하가 떴다. 마젤란은하는 우리은하의 위성 은하다. 한 자리에서 맨 눈으로도 은하를 세 개나 볼 수 있는 신기한 풍경이다.➎ 카리지니국립공원 데일스협곡의 저녁 빛깔. 협곡 너머로 지구의 그림자(검푸른 부분)와 그 위로 핑크빛의 이른바 ‘비너스 벨트’가 선명하다. 날씨가 아주 ...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겁니다.”“단순히 정보를 쌓아놓은 게 아니에요.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변수만 모아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만들어져 있어요. 철저히 생물학자의 입장에서 만들었다는 얘기지요 ... ...
- 아르키메데스의 기구한 운명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태웠다는 설도 있는데, 그보다는 포물면 거울로 햇빛을 모아 반사시켜서 로마군들의 눈을 일시적인 실명 상태로 만들었을 것이라는 설명이 더 설득력 있어 보인다.이런 아르키메데스의 신형 무기에 힘입어 시라쿠사는 2년 가까이 로마에 맞서 버텼다. 그러나 어느새 자만심을 갖게 되어 아르테미스 ... ...
- 한눈에 보는 전공 로드맵과학동아 l2014년 06호
- ...
- Part 2 - Moon Story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얌전히 도는 존재라고만 알고 있었다면, 이 기회에 태양계 위성의 다채로움에 새롭게 눈 떠 보자. 다양한 위성이 말도 안 되는 먼 거리에서 복잡한 궤도를 그리며 공전하고 있다는 사실에 놀랄 것이다.왜 가스형 행성만 표시했나화성의 위성은 포획을 통해 얻었지만, 굳이 불규칙위성이라고 부르지는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나노 메타물질 만들어야 진짜 투명망토 될 것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는 많다. 우리 눈에서 물체를 감춰버리는 투명망토를 만들려면 우선 파장이 마이크로파보다 훨씬 짧은 가시광선 영역(380~770nm)에서 물체를 투명하게 만들어야 한다. 2011년에는 영국 버밍엄대 슈앙 장 교수팀과 미국 MIT 조지 ...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약의 재료인 ‘부자’와 형제지간인 식물이지요. 영화 ‘서편 제’에는 아버지가 딸의 눈을 멀게 하기 위해 부자를 달 인 한약을 먹이는 장면이 등장합니다. 다른 많은 미나리 아재비과 식물이 그렇듯, 투구꽃의 덩이뿌리에는 ‘아코 니틴’이라는 맹독 성분이 있습니다. 너무 많이 먹으면 ... ...
-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등장해, 어지러운 빈 공간에서 헤메는 정신줄을 다시 책에 집중하도록 붙잡아 준다.눈에 보이지 않은 빈 공간이 감이 잡히지 않는다면 시선을 돌려 바로 오른쪽에 인터파크가 추천하는 6월의 과학도서에도 소개된 ‘우주의 끝을 찾아서’를 읽어보자. 관측 천문학자인 이강환 박사는 빅뱅 이후 가속 ... ...
이전3473483493503513523533543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