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눈"(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성 동토층에도 미생물이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화성에서 맞이하는 일곱 번째 아침이다. 맨 눈으로 볼수 있을 정도로 약한 햇빛이 우리가 화성에 와 있다는 사실을 새삼 깨우쳐 줬다. 한가하게 햇빛이나 감상하고 있을 때가 아니다. 오늘부터 정말 중요한 실험이 기다리고 있다.지난 한 주는 화성의 동토층에 구멍을 뚫어 토양 코어를 얻었다. 위성 ... ...
- PART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만든다. 골프공 표면의 작은 홈인 ‘딤플’이 바 로 이런 장치다. 브라주카 표면에도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돌기가 있어 공기저항을 줄여준다. 덕분에 공이 빠 르게 날아갈 수 있다. 특히 브라주카는 느린 속도(초속 10~20m)에서 자블라니에 비해 공기저항이 월등히 적 다. 빠른 속도(초속 25~35m)에서는 ... ...
- 양치기 개는 갈매기도 잘 몰아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012년과 2013년 여름 동안 대장균의 변화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 보더콜리가 있었던 구역은 눈에 띄게 대장균 수치가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앨름 교수는 “움직이기를 좋아하는 보더콜리가 돌아다니면서 갈매기를 쫓아내기 때문”이라며 “여름철에 해변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막는 데 큰 ... ...
- 150km 강속구도 딱~, 이게 다 망막 덕분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망막 커넥톰(연결지도)’을 구축해 그 결과를 최근 ‘네이처’에 공개했다.빛이 눈에 들어가면 광수용체 세포가 빛 정보를 전기파동으로 바꿔 망막으로 전달한다. 광수용체 세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줄기처럼 뻗어 있는 양극성 신경세포(뉴런)를 통해 신호를 전달하는데, 이 신호는 다시 ... ...
- [과학출판사를 만나다 1] 사이언스북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모토답게 이들은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 과학을 소개하려 하는 동시에 독자도 눈높이를 끌어올려야 한다고 말한다. 이들이 만들어내는 과학책 역시 쉽지만은 않다. 그러나 읽고 나면 확실히 뿌듯하다. 울림이 있는 과학책과학에도 인기 분야가 있다. 빅뱅, 우주, 진화, 자연, 의학 등이다. 많은 ... ...
- [Career]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이용하면 고전역학 세상에 있는 모든 것의 미래를 알 수 있다. 하지만 올 크리스마스에 눈이 내릴지는 고사하고, 여름 태풍이 언제 어디를 지날지조차 알 수 없다. 카오스 때문이다.양자역학 이야기를 하다가 웬 카오스냐고? 양자역학은 원자와 전자 같은 미시세계를 설명하는 이론이지만, ... ...
- 맹꽁이 VS 두꺼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아빠랑 시골에서 두꺼비를 보았어요. 그런데 아빠께서는 맹꽁이라고 부르시지 뭐예요? 생긴 건 둘이 정말 비슷한데…, 도대체 무엇이 다른 ... 조금 높은 소리를 불규칙적으로 내며 운답니다. 두꺼비는 피부에 난 크고 작은 돌기와 눈 뒤쪽의 독주머니 때문에 맹꽁이와 쉽게 구별할 수 있어요 ... ...
- 혼수상태에서 깨어나 보니 수학 천재?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수직으로 뻗은 수많은 선들이 보이는 식이다. 우리 눈에 평범하게 보이는 것들이, 그의 눈에는 선과 각 그리고 함수의 집합체로 보인 셈이다.나중에 그는 이런 능력을 발휘하여 수 많은 삼각형으로 원을 그려 원주율($π$)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그림을 그렸다. 나아가 그는 벽의 작은 틈을 보고 ...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한국시간) 브라질월드컵 개막식에서 과학의 진보가 세상을 바꾸는 역사적인 순간을 두 눈으로 꼭 지켜보자. 하반신이 마비된 청소년이 뇌파신호로 움직이는 외골격로봇을 입고 나와 시축을 한다. 이 장면은 생중계를 통해 전 세계 사람들이 지켜볼 것이다. 1990년대 초반 미국 뉴욕주립대 존 채핀 ... ...
- 백년 묵은 시계를 꺼내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언덕이 시작되는 창경궁쪽 진입로 초입에서 보면 시계탑은 꽤 높은 건물이다.어디서나 눈에 잘 띄어 요새 말로 지역의 랜드마크 구실을 했을 것이다. 1908년부터 약 70년 동안 쉬지 않고 움직였던 탑시계는 1980년대 초 새로운 전자시계와 임무를 교대했다. 역사 속으로 은퇴한 탑시계는 이후 30여 년간 ... ...
이전3483493503513523533543553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