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진화의학을 국내에 소개하기 위해 책을 번역하기 시작하면서부터였다. 그는 로버트 펄먼 미국 시카고대 소아과 명예교수가 집필한 ‘진화와 의학’을 번역해 2015년 출간했다.직접 쓰기도 했다. 2013년 ‘산소와 그 경쟁자들’, 2016년 ‘먹고 사는 것의 생물학’에는 우리 몸속 세포에서 일어나는 ... ...
- 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실험심리학자 아서 멜톤의 ‘미술관 전시의 문제(Problems of Installation in Museums of Art)’, 미국 환경심리학자 파코 언더힐의 ‘쇼핑의 과학’ 등 수많은 책을 참고했다. 한국교통연구원이 2010년 발표한 ‘보행 문화 개선에 관한 시행방안’ 보고서를 뒤졌고, 해외포럼에 참석해 개발자들이 발표하는 FPS ... ...
- [Origin]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과학이 아닌 질문하는 과학의 즐거움을 나누고 싶어 과학교육에 발을 담그게 됐다. 현재 미국 조지타운대 생물학부에서 유전학, 발생학 등을 가르치며 새로운 대학 과학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yc709@georgetown ... ...
- [서울대 공대] 조선해양공학과, 72년의 역사 ‘세계 최고’의 자부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조선 산업의 재도약을 알리고 있다”고 말했다.김 학과장은 서울대에 부임하기 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그는 “조선해양공학 연구에서는 서울대가 세계에서 최고 수준”이라며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에 진학해 세계를 선도하는 조선해양공학연구자의 전통을 계속 ... ...
- [과학뉴스] 무당벌레까지 느끼는 인공 피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사용되는 재료인 ‘실리콘(Si)’이 대부분 변형에 약하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최근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의 제난 바오교수팀은 실리콘 재료를 변형에 강한 ‘폴리머’ 재료로 바꿔서 인공 피부를 만드는 데 성공했답니다.연구팀은 1cm2의 인공 피부 안에 무려 347개의 촉감 센서가 빼곡하게 들어있는 ... ...
- [과학뉴스] Hi-SEAS 6, 대원 하차로 임무 취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모의 화성 탐사(Hi-SEAS)의 미션6을 취소한다고 밝혔어요. 이번 미션은 최초의 한국인 대장, 미국 텍사스대학교 한석진 교수가 이끌었던 거라 더욱 아쉬움이 컸지요. 이번 미션은 다른 대원이 하차하면서 취소 됐어요. 지난 2월 19일, 기지에서 사고가 발생해 대원 중 한 명이 다쳤어요. 다행히 별 이상이 ... ...
- [과학뉴스] 뱀의 비늘을 가진 로봇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늘려서 몸이 옆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도와 주는 거죠. 최근 미국 하버드대학교 카티아 베르톨디 교수팀은 이 사실을 이용해서 뱀처럼 비늘을 가진 로봇을 만들었답니다. 연구팀은 먼저 정밀한 레이저를 이용해서 플라스틱 재질의 필름에 뱀 비늘을 닮은 규칙적인 무늬를 ... ...
- [에디터 노트] ‘Big Science’의 고충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부침이 있다. 특히 가속기와 같은 거대과학 프로젝트는 늘 명분에 시달린다. 가속기 강국 미국도 1983년 세계 최대 원형 입자가속기인 ‘초전도 슈퍼콜라이더(SSC)’ 건설을 추진하다가 막대한 건설비용에 발목이 잡혀 10년 뒤 계획이 폐기됐다. 현존 세계 최대 입자가속기이자 2012년 ‘신의 입자’로 ... ...
- [과학뉴스] 공포와 공격성 나타내는 신경회로 찾았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느끼거나 공격적인 행동에 관여하는 신경회로가 발견됐다. 앤드류 후버만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신경생물학과 교수팀은 75L짜리 용기에 쥐를 가두고, 맹금류가 무섭게 달려드는 영상을 보여주면서 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했다. 일반적으로 위협적인 상황에서 뇌는 ... ...
- [과학뉴스] 젊은이의 흰머리, 유전자 돌연변이 탓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나이에 흰머리가 나는 이유가 과잉 면역 반응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앨라배마대와 국립인간게놈연구소 공동연구팀은 머리를 희게 만드는 유전자가 면역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 5월 3일자에 발표했다. 머리카락이 새로 날 때 ... ...
이전3473483493503513523533543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