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식간
찰나
삽시간
일순간
한순간
신속
즉각
d라이브러리
"
순간
"(으)로 총 4,463건 검색되었습니다.
냄새의 신비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이유 언어중추 있는 좌측 뇌와 거의 무관맡은 냄새를 언어로 표현하라는 주문을 받는
순간
우리는 진땀을 빼게 된다. 어떤 단어를 사용해야 할지 수없이 고민해봐도 적당한 말이 떠오르지 않으니 말이다. 인간의 코가 수많은 냄새를 식별해 내면서도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까.후각은 ... ...
1백10억년 전 폭발한 천체 발견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갖는 감마선을 폭발적으로 내놓는 감마선 폭발천체가 그 주인공이다. 감마선 폭발천체는
순간
적으로 강한 빛을 내고는 약해지는데 어떤 것은 몇번에 걸쳐 산발적인 폭발현상을 보이기도 한다.지난 10월 19일 유럽우주국에서는 율리시즈를 비롯한 4대의 우주탐사선이 힘을 합쳐 이런 감마선 폭발천체 ... ...
Ⅰ. 청량음료에도 수상업적 숨어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한편 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무선전신의 발명은 지구의 구석구석을
순간
적으로 연결하는 지구촌 통신을 가능하게 했다. 뿐만 아니라 라디오, 텔레비전을 비롯한 매스컴의 출현을 가져왔고 20세기 후반의 획기적인 발명품으로 꼽히는 휴대전화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3 ... ...
두뇌의 환각현상? 실재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채택될 수는 없겠죠. 이보다 더 그럴듯한 것은 어떤 사람이 UFO 외계인에게 납치되는
순간
제3자가 그 현장을 객관적으로 관찰한 경우입니다. 이런 사례는 매우 드물어서 지금까지 본격적인 논의대상이 될 수 없었는데, 최근 UFO 연구가 버드 홉킨스에 의해 보고됐습니다.그에 따르면 린다 코틸이란 ... ...
Ⅱ. 한국과학자가 계기 마련한 올해화학상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아이링 교수가 걸림돌이었다는 후문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수상자가 나올 뻔한
순간
이었다.수상자 선정의 공정성을 놓고 과학자간의 다툼이 벌어지기도 했다. 1933년 생리·의학상은 미국의 생물학자 토머스 모건에게 돌아갔다. 그러자 그의 제자였던 허먼 멀러는 초파리 염색체의 유전자 지도를 ... ...
만약 태초에 우주 팽창 속도가 느렸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없다. 따라서 만약 세포막이 없다면 우리가 해수욕을 하러 바닷물에 뛰어들어가는
순간
60조개의 세포가 바닷물에 녹아버릴지도 모른다. 사실 우리 몸 세포의 기원을 찾아간다면 약 40억년 전 태초의 바다에서 생겨난 최초의 세포가 모든 생명체의 아담일지도 모른다. 그러니까 우리 몸의 세포가 ... ...
골프공 최고 시속 3백km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운동량 수평성분과 공의 운동량 수평성분을 합한 것과 같다. 운동량의 수직성분은 충돌
순간
골프선수가 골프채 샤프트를 통해서 헤드를 끌어당기기 때문에 보존되지 않는다. 결국 충돌 후 헤드의 속도는 늦어지지만 헤드보다 가벼운 공의 속도는 훨씬 빨라진다. 물론 충돌 전 헤드의 속도가 ... ...
UFO목격담 연표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상공에 UFO가 출현해 이란 공군의 F-4요격기가 출동,미사일을 조준 발사하려 했으나
순간
미사일 발사 계기판의 전원이 꺼지고 모든 통신이 두절됨.레이더에 포착된 UFO의 키기는 보잉 707급유 비행기 정도로 컸다고 함.1978년미국에서 또 한차례의 UFO소동이 벌어짐.갤럽조사 결과 57%의 성인이 UFO의 ... ...
디지털 시대의 메모방식 보이스 레코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수는 없다. 하지만 대개 녹음된 순서대로 번호가 붙여져 저장된다.제품에 따라 녹음되는
순간
의 시간까지 자동으로 기록되기 때문에, 언제 기록했는지 시간이 중요한 자료가 될 경우에는 아주 유용하다. 또한 녹음 내용은 이미 구분돼 있는 몇개의 폴더에 구분해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니의 ... ...
러시아 툰트라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조류에 의해 멀리 흘러갔다. 2분 정도 해수에 담겨 있던 플랑크톤 그물망을 끌어올린
순간
그 속에 가득 찬 뻘로 인해 물이 잘 빠지지 않아 큰 힘이 필요했다. 엄청난 양의 저층 부유물이 존재하는 듯하다.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저층 서식 규조류, 해양 규조류, 와편모조류, 해빙 주변 규조류 등의 ... ...
이전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