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적
목표
상대
목적
과녁
타깃
타게트
스페셜
"
대상
"(으)로 총 4,04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땅콩 알레르기 잡는 치료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1
년에 걸쳐 먹는 것과 같은 적은 양으로 1년간 치료를 받는 것이다. 지난해 DBV는 400여 명을
대상
으로 수행한 3상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 치료 전에는 평균적으로 땅콩 한 알에 알레르기 증상을 보였지만, 치료 후에는 땅콩 세 알에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이언스는 "두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작물 토마토(학명 Solanum lycopesicum)와 가장 가까운 야생 토마토(학명 Solanum pimpinellifolium)를
대상
으로 게놈편집 계획을 수립했다. 이 야생종은 향미가 뛰어난 열매가 열리지만 크기가 너무 작고(1g이 안 된다) 개수도 얼마 되지 않는다. 즉 이 자체로는 작물로서 상업성이 없다. 연구자들은 토마토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기술이 있기 때문에 어려운 일은 아닐 것이다. 실제 이런 실험이 2009년 생쥐를
대상
으로 실시됐다. 사람형 FOXP2를 지닌 생쥐는 초음파 영역에서 내는 ‘찍찍’거리는 소리가 바뀌었고 뇌 기저핵 부분의 신경회로가 변화됐다. 사람형 FOXP2를 지닌 보노보의 발성기관 구조가 바뀌어 앵무새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팔 잘린 사람은 손목 잘린 아픔을 모른다
2018.09.08
. 연구자들은 겨울에 찬 물에 들어가는 경기대회에 참가했거나 참가 예정인 사람들을
대상
으로, 원래 매우 참가하고 싶어 했지만 막상 찬 공기가 피부에 닿으니 갑자기 싫어져서 경기를 포기한 사람이 얼마나 한심하고 경멸스러운지를 물었다. 그러자 아직 참가하지 ‘않은’ 사람들보다 이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달라붙는 펩티드 약물 달라자티드(dalazatide)를 만들었다. 지난 2015~17년 건선 환자를
대상
으로 진행된 임상 결과 안전성과 효과가 확인돼 신약 개발의 한고비를 넘겼다. 지난 수십 년 동안 독액에서 치료제를 찾는 연구가 많이 진행됐지만 아직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청자고둥의 경우 독액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실렸다. 경희대 식품영양학과 제유진 교수팀은 19~64세 성인 8387명을
대상
으로 식단과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봤다.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이란 고혈압, 고혈당, 고지혈증, 복부비만 등 대사관련 증상이 나타난 상태로 대사질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 ...
[팩트체크] 옥중단식·수사압박으로 알츠하이머병 걸릴 수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나이가 든 뒤 알츠하이머병에 걸릴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PTSD 환자를
대상
으로 한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 64편을 메타 분석한 결과다. 서상원 성균관대 의대 교수(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전문의)는 “극심한 스트레스나 큰 충격도 알츠하이머병과 연관성이 있다. 하지만 이런 효과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숙신산 음료를 마시더라도 생쥐만큼 효과가 날지는 미지수다. 그럼에도 조만간 사람을
대상
으로 실험이 진행될 것이다(어쩌면 이미 실시되고 있을지도 모른다). 지금까지 기적의 다이어트약이라며 기대를 모았던 숱한 후보 물질들이 임상에서 실패해 빛을 보지 못했다. 너무 흔한 물질이라 아무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늘 거절이 어려운 당신에게
2018.08.05
. 캐나다 University of Waterloo의 심리학자 Vanessa Bohns와 동료들은 대학 캠퍼스에서 학생들을
대상
으로 ‘거짓말’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뭔가에 대해 설명하고 설명을 들은 사람으로부터 설명 했음을 확인하는 사인을 받아야 하는 상황인데, 설명을 하기가 싫으니 그냥 ‘설명을 들었다’고(실제로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가운데 하나임을 시사하는 논문이 실렸다. 즉 불임인 남성 14명과 젊은 아빠 23명을
대상
으로 꽃향기가 나는 분자 세 가지를 맡게 해 냄새 강도를 평가하게 했다. 그 결과 헬리오날(helional)과 PEA는 두 그룹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유독 부르지오날은 불임 남성들이 냄새를 잘 못 맡았다. 즉 OR1D2에 문제가 ... ...
이전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