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대상"(으)로 총 4,04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리의 몸은 조금도 잘못되지 않았다2018.07.28
- 살 찌는 것에 대한 두려움 차별이 가장 강력한 힘을 발휘할 때는 그 내용이 차별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의 마음 속에 내면화 될 때이다. 예컨대 나도 흑인이지만 흑인들은 좀.. 나도 여자지만 여자는 좀.. 이라고 생각하는 것들이 한 예다. 이러한 내면화는 진짜 문제인 편견과 차별을 보지 못하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2018.07.10
- 간암, 대장암, 위암 등 일곱 가지 암세포 시료 3473개와 비교군인 정상 조직 시료 386개를 대상으로 유전자 발현 패턴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일곱 가지 암 모두에서 암세포가 정상세포에 비해 1~3단계, 즉 단세포 유전자의 발현량이 더 높았다. 반면 4~11단계, 즉 동물(다세포성)의 등장에서 수아강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운명의 상대'라는 믿음이 클수록 연애 어렵다 2018.06.30
- 같은지에 대해 물었다. 그 결과 평소 자신의 취향이 어떤지와 상관 없이, 열정과 흥미의 대상은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원래 취향과 다른 분야의 기사에서도 큰 흥미를 느끼며 해당 분야를 더 자세히 알고 싶다는 열린 마음을 보이는 것으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2018.06.26
- 떠올라 교통사고로 왼팔의 팔꿈치 아랫부분을 잃은 뒤 환상사지를 겪고 있는 남성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 다음은 책에서 그 장면을 기술한 부분이다. 내가 면봉으로 그의 뺨을 문질렀다. 박사) 어떤 느낌이 듭니까? 환자)박사님이 내 뺨을 만지고 있습니다. 박사)다른 느낌은 없나요? 환자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삶이 허무하게 느껴질 때2018.06.23
- 것. GIB 제공 ‘만들고 가꾸는 행동’ 역시 큰 도움이 된다. 요양원에서 노인들을 대상으로 관찰했더니 작은 일이지만 스스로 ‘화분’을 키웠던 사람들이 그렇지 않았던 사람들에 비해 더 행복해지고 신체도 건강해졌다는 발견이 있었다. 작은 일이라도 ‘내가’ 직접 할 수 있는 일이 생길 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2018.06.19
- 사이먼 배런-코헨 교수의 주장을 소개했다. 즉 아스페르거 증후군의 3대 증상인 특정 대상에 대한 강박적인 관심, 사회적 관계의 어려움, 의사소통에서의 문제를 봤을 때 뉴턴은 아스페르거 증후군의 전형적인 예라고 봐도 무방하다는 것이다(하인이 두고 간 식사를 다음 날 아침까지 손도 대지 ... ...
- 북미 정상 '한반도 비핵화'합의, 핵 시설 폐기 절차 어떻게?2018.06.12
- (scientifically)" 시간이 걸린다고 언급했다. 북한 핵 시설 폐기는 어떤 시설을 대상으로 어떻게 진행되며, 그 과정에 필요한 과학기술은 무엇이 있을까. 또 예상되는 어려움은 무엇이 있을까. 북한 전문사이트 ‘38노스’ 등에 따르면, 북한에는 공식적으로 알려진 핵시설만 20곳, 비공식적으로는 10 ... ...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 실제 평균 뇌용량도 약간 작다. 그리고 흑인의 뇌용량은 백인보다도 더 작다. 원주민을 대상으로 한 뇌용량 지도로 고위도 지역일수록 뇌가 크다. 1984년 논문을 발표한 인류학자들은 이 현상을 기후로 설명했다. 즉 아프리카에서 퍼져나간 현생인류가 추운 지역에서 체온을 유지하는데 유리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2018.05.29
-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참고로 쌀에는 글루텐이 없고 포드맵도 미미해 과민대상증후군인 사람들에게 추천하는 음식목록에 포함돼 있다. (정답: 포드맵이 많이 들어 있는 음식은 빵, 사과, 양파, 우유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 ...
- [표지로 읽는 과학] 연구책임자-신진연구자 온도차 줄일 수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8.05.20
- PI와 신진과학자사이의 인식차를 좁혀 더 좋은 연구실을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PI를 대상으로 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PI의 70%가 최근 조직 운영 등을 위한 교육을 받지 못했다고 답했다. 그들은 연구실 문화를 바꾸기 위해 어떤 변화가 필요하느냐는 네이처의 설문에 ‘행정에 대한 ... ...
이전3483493503513523533543553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