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가 뿔났다? 아이슬란드 화산 대폭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이 태양 에너지가 지구로 내려오는 걸 하늘의 화산재 층이 방해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부분
적으로 지구온난화를 막을 수도 있다. 물론 이번 ‘에이야팔랴외퀼’화산 폭발은 비교적 작은 크기였기 때문에, 이런 영향이 크거나 오래 계속되진 않을 것이다. ▲ ‘에이랴팔랴외퀼’ 화산에서 나오는 ... ...
수학울렁증을 이겨 내자!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또 6학년 때 나오는 도형 단원에서는 겉넓이 구하는 단원을 많이 어려워해요. 특히 한
부분
이라도 넓이를 잘못 구하면 답을 틀리기 때문에 친구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단원이기도 하죠. 이럴 땐 4학년 과정으로 돌아가 평면도형의 넓이부터 연습해 보는 걸 추천해요. 그럼, 수학울렁증을 이겨 내기 ... ...
야구장은 도형의 집합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바꾼다. 구장의 크기와 담장 높이는 홈런 개수와 관련이 깊다. 지난해 LG가 담장을 당긴
부분
에서만 64개의 홈런이 나왔다.투수판의 위치는 왜 18.44m?야구장의 규격은 미국의 길이 단위에 맞게 딱딱 떨어진다. 하지만 투수판만은 60피트가 아닌 60피트 6인치(18.44m) 거리에 있다. 초기에 투수판은 45피트(13 ... ...
수학으로 물든 제주도! 2010 제주수학축제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다각형에서 페르마의 점은 꼭짓점의 개수보다 2개 적게 생겨. 또 비누막이 만나는
부분
의 각 크기는 모두 120°더라고. 어때, 신기하지 않니? 제주에서 만난 수학동아많은 부스 중 가장 반가웠던 건 단연 수학동아가 있는 곳이었어. 창간호부터 9월호까지 수학동아가 한 줄로 전시돼 있었지. ... ...
공개수배! 숨어 있는 ‘용의자’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우스꽝스런 모습으로 기어간다. 몸의 앞
부분
을 쭉 뻗고 허리를 둥글게 말아 올려 몸 뒷
부분
을 앞으로 끌어당긴다. 손가락 두 개로 물건의 길이를 잴 때처럼 이동하는 모습 덕분에 자벌레라는 이름이 붙었다. ‘자벌레’는 나무에 심각한 해를 입힐 수 있다. 한 나뭇가지 위에 정착해 잎을 모두 ... ...
이대호 홈런, 류현진 삼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속도가 나지 않는다.아직까지 한국야구에 운동역학이 본격적으로 도입되지는 않았다. 대
부분
의 야구 지도자들이 자신의 경험과 감으로 선수들을 지도하고 있다. 하지만 점차 운동역학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립켄 야구학교에서 코치를 지냈던 조용빈 씨가 투구의 운동역학을 설명한 ... ...
고분자나노재료학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어디에든 사용될 수 있다.3. 어디에 있어요?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를 비롯해 전국 대
부분
의 화학공학, 재료공학, 화학 관련 학부에서 고분자나노재료학에 관련된 지식을 배울 수 있다. 생명과학부나 미생물학과와 같은 생물계열에서는 고분자 나노 재료를 바이오센서로 개발하거나 나노 크기의 ... ...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있고 일반인 또한 손에 힘을 덜 주고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트리포드 가위손잡이
부분
이 복원력이 뛰어난 구조와 재질로 되어 있어 오랜 시간 사용해도 손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때문에 손가락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나 어린이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문구가 첨단기술을 ... ...
PART 2 수학이 없는 학교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낸 것이다. 백두산 같이 높은 산뿐만 아니라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산의 높이도 대
부분
이런 수학적인 원리를 이용해 간접적으로 잰 것이다.우리가 평소 이용하는 지도는 수학적으로 모든 면에서 정확하진 않더라도 특정 기준에서는 정확하다. 그런데 수학이 사라지다 보니 이것마저 엉망이 된 ... ...
도로 해부하기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숨겨진 걸까?도로에 빗물이 고이면 차가 미끄러지기 쉽다. 그래서 도로를 만들 때 중앙선
부분
을 높이고 길 양쪽으로 기울게 해서 빗물을 흘려보낸다. 경사가 크면 물이 더 빨리 흘러내리겠지만 도로의 경사를 무작정 크게 만들 수는 없다. 도로의 좌우 경사가 크면 차가 한쪽으로 쏠리는 느낌을 주기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