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2. "10년 뒤 노벨상 받는 제자 기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인공 세포질을 만들어 체세포를 복제하면 인간복제의 우려를 말끔히 씻을 수 있다고
본
다. 이를 위해 미국 국립보건원(NIH)에 국제 공동 연구 프로젝트를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배아 복제의 핵심은 체세포의 유전자를 발생 초기로 돌리는데 있다. 연구팀은 이를 잘 활용하면 언젠가는 복제를 ... ...
조류독감 발생 현황(2월 9일 현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필요한 에너지를 내놓는다 이 과정을 내호흡 또는 세포호흡이라고 한다 호흡의
본
질은 이러한 세포호흡에 의한 에너지 생산이라고 볼 수 있다과학소설에서 흔히 등장하는 초광속 여행방법의 일종 우주공간이 중력으로 휘어 있는 것을 이용해 빛의 속도 이상으로 가속하는 기술을 말한다 영화 ... ...
소비자 마음 읽는 독심술사 뉴로마케팅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기업이 당면하고 있는 영원한 숙제다. 소비자가 어떤 제품을 보면서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는가를 알아내란 얘기다. 그 속마음이 제품을 사고 안사고를 결 ... 한다” 고 강조했다. 소비자 자신도 모르는 속마음까지 알아내 판매 전략을 짜야 하는
본
격 뉴로마케팅 경쟁시대가 멀지 않았다 ... ...
부모들 아기 울음에 민감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자식이 있건 없건 간에 모두 뇌의 특정한 영역에서 울음소리에 대한 반응이 나타나 모성
본
능이 타고난 것임을 보여줬다. 울음소리를 들었을 때 뇌의 전전두엽 피질에서는 그 소리가 중요하다고 해석한다. 그래서 전기적 자극이 전달돼 여성이 아기에게 젖을 주거나 아기를 꼭 껴안는다는 것이다. ... ...
한국인, 광우병 취약한 유전자 가져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새롭게 제기됐다. 영국에서 산발형 크로이츠펠트 야콥병 환자의 프리온 유전자를 조사해
본
결과, 1백29번째 코돈에 해당하는 아미노산으로 부계와 모계로부터 모두 메티오닌을 받은 경우가 약 85%였다. 그리고 부계나 모계 중 한쪽으로부터 메티오닌을, 다른 한쪽으로부터는 발린을 받은 경우가 약 15 ... ...
숲이 잉태한 자연과 인간, 숲으로 돌아가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일은 아니다. 그런 점에서 원시림이 그대로 살아 숨쉬는 대자연의 품속에 자신을 맡겨
본
탁광일 박사야말로 부러운 사람이 아닐 수 없다.캐나다 서쪽 끝 브리티시 콜럼비아주 서해안, 인구 3백명의 오지마을 뱀필드 숲이 바로 그가 매혹돼 4년을 보낸 보금자리다. 우연한 기회에 카약을 타고 이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얼마 지나지 않아 가스기구와의 경쟁에서 밀리고 말았다. 1960년대 프로판 가스가
본
격적으로 연료로 쓰이면서 현재는 레저용으로 이용되고 있다.가스기구는 열기구보다 조금 늦었지만 같은 해인 1783년 발명됐다. 가스기구는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를 채워 내부 공기를 가볍게 한다. 처음 쓰인 가스는 ... ...
광우병 그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형성하거나 자신들끼리 뭉쳐 플라그라는 덩어리를 형성한다. 팻 몰스가 전자현미경으로
본
섬유구조도 프리온이었던 것이다.프루시너는 감염 프리온이 정상 프리온마저 자신과 비슷한 모양으로 바꾼다는 가설을 세웠다. 아미노산 배열은 그대로지만 3차원 구조가 변형된 프리온은 높은 열이나 ... ...
특명! 물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대기 중 미세한 수증기가 지표와 상호작용해 생성될 수 있다고 밝혔다.스피릿은 15일에
본
격적인 활동에 나섰다. 16일에는 사람의 팔 길이와 비슷한 로봇팔을 펼친 뒤 현미경과 카메라로 화성 표면 모습을 정밀촬영하기 시작했다. 이때 포착한 흑백영상에는 지구의 황산마그네슘과 비슷한 물질로 ...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있다. 블래트너 박사는 1997년 대장균의 게놈을 완전 해독해 사이언스에 발표한 장
본
인으로, 최근 김선창 교수에게 대장균의 최소 게놈을 찾는 공동연구를 요청한 상태다.깎거나 또는 쌓거나 최소 게놈으로 인공미생물을 만드는 방식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우선 미생물이 가진 유전자 ... ...
이전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