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활용하고 있다. 유지범 나노기술연구협의회 회장은 “나노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면서 “나노 기술이 미래 첨단제품을 만드는 핵심기술로 자리 잡도록 전문가들이 각 분야에서 최선을 다해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전! 내가 만드는 미래 나노기술 ... ...
[Origin] 내 안의 또 다른 나, 장내미생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데이비스 박사는 2001년 3월 국제 학술지 ‘ 사이언스 ’에 다음과 같이 밝혔습니다. “
우리
는 인간 유전체에 각인된 3만 개의 유전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중략) 인간의 생명에는 그 외에도 200만~400만 개의 유전자가 더 사용된다. (중략) 인체에 상주하는 미생물과의 협동 관계를 밝혀내기 전까지 ... ...
그 소원, ‘가상현실’이 이뤄 드립니다!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느끼게 해주는게 중요한데, 이때 필요한 장치가 VR 전용 헤드셋HMD(Head Mounted Device)예요.
우리
눈에 가상세계를 보여주는 HMD는 1900년대 중반에 처음 등장했지만, 요즘과 비슷한 기능을 갖춘 건 2000년이 지나서예요. 사실 HMD로 보는 가상세계는 모니터로 보는 컴퓨터 게임 속 가상세계와 비슷합니다. ... ...
Part 2. [착각의 방]
우리
가 아는 건 가짜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클라인 병 놀이공원 탐험기Part 1. [롤러코스터] 4차원 뫼비우스 띠?!Part 2. [착각의 방]
우리
가 아는 건 가짜Part 3. [깜짝 퀴즈쇼] 차원을 넘나들어라!Part 4. [2D 어드벤처] 클라인 병이 사각형?Part 5. [튤립 정원] 클라인 병 지도 ... ...
Part 5. [튤립 정원] 클라인 병 지도 색칠하기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클라인 병 놀이공원 탐험기Part 1. [롤러코스터] 4차원 뫼비우스 띠?!Part 2. [착각의 방]
우리
가 아는 건 가짜Part 3. [깜짝 퀴즈쇼] 차원을 넘나들어라!Part 4. [2D 어드벤처] 클라인 병이 사각형?Part 5. [튤립 정원] 클라인 병 지도 ... ...
Part 3. 자율주행자동차, 법으로 본 3대 이슈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자율주행자동차의 핵심은 안전이며 그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우리
정부는 2022년을 완전자율주행의 도래기로 보고 대응하고 있다. 여기서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에 대한 시민들의 사회적 공감대 확보와, 자율주행 기술 선도국과의 격차 해소라는 난제를 어떻게 해결할 ...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MIT) 미디어랩 교수는 2014년 세계적 지식강연인 테드(TED)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
우리
는 여전히 기계장치를 신체에 붙이는 방법을 모른다. 가장 성숙하고 오래된 기술 중 하나인 신발 때문에 오늘날에도 발에 물집이 생긴다는 점이 정말 놀랍다.” 그래도 많은 과학자들이 이를 현실에서 ... ...
[Issue] 애증의 잠, 잘 자려면?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충분히 자는 것 외에는 예방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이 없습니다. 다만 발병 초기에는
우리
몸의 면역세포가 하이포크레틴 세포체를 다 파괴하기 전에 면역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발병 초기에 병원을 찾는 게 중요한 이유입니다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그들의 발현을 억제할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제때에 꼭 필요한 곳에서 생성되면
우리
몸 구조를 완성시키지만, 암세포에서 발현되면 전이를 돕는 HOTAIR 유전자. 유전자 발현이 왜 제대로 통제돼야 하는지 보여주는 좋은 예입니다. 최영은_yc709@georgetown.edu미국 바드대에서 생물을 전공하고 ...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처음으로 공학에 대한 흥미를 일깨워준 생체모방기술을 연구하는 것이다. 김 씨는 “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자연 현상을 적용해서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 기술을 개발하고 싶다”고 말했다. 교과서 밖 내용도 궁금하면 스스로 공부_18학번 변재혁일반고인 대구 경원고를 졸업한 변재혁 씨는 ... ...
이전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