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내 안의 또 다른 나, 장내미생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데이비스 박사는 2001년 3월 국제 학술지 ‘ 사이언스 ’에 다음과 같이 밝혔습니다. “
우리
는 인간 유전체에 각인된 3만 개의 유전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중략) 인간의 생명에는 그 외에도 200만~400만 개의 유전자가 더 사용된다. (중략) 인체에 상주하는 미생물과의 협동 관계를 밝혀내기 전까지 ... ...
[Culture] 새 책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당신이 죽는다면’은 죽음을 주제로 실험한 괴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
가 맞닥뜨릴 수 있는 45가지의 죽음 시나리오를 소개한다. 가장 흥미롭고, 가장 호기심을 자극하는 주제만 선별해 소재로 삼았다. 이 책은 죽음을 설명하는 동시에 죽지 않기 위한 요령을 가르쳐 주는 ‘생존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겨울에 떠나는 새 탐사! 윈터 윙즈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날씨는 추웠지만 새들을 탐사하는 것이 무척 즐거웠다”고 소감을 말했어요. #
우리
주변에는 어떤 새들이 살고 있을까요? 독자들도 가만히 눈을 감고 소리에 집중해 보세요. 들리지 않았던 새들의 노랫 소리가 들릴 거예요 ... ...
Part 3. 블랙홀의 모습을 관측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왼쪽은 빛이
우리
를 향해 오고 오른쪽은
우리
에게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면,
우리
가 보기에 왼쪽의 빛이 오른쪽보다 더 밝게 보이는 거죠. 정태현 박사님은 “블랙홀 관측 연구는 기존의 천체물리학 이론을 증명하고 발전시키는 데 매우 의미가 있다”면서 “올 해 관측에는 북극의 ...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수 있을까. 고재현 한림대 응용광물리학과 교수(한국물리학회 대중화위원회 위원)는 “
우리
가 살아가는 우주에서는 정육면체가 물리적으로 안정적인 구조가 아니다”라며 “만약 정육면체를 띠는 천체가 있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결국 구형으로 바뀔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정육면체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사실! #집합 더하기 집합은? #페르마 코스프레 어려서부터 수학에 사로잡힌
우리
는 눈앞에 숫자 2개가 있으면 본능적으로 크기를 비교하거나 사칙연산을 하고 싶은 욕망이 샘솟습니다. 이 방송이 끝나면 여러분은 집합을 봐도 비슷한 욕망이 생길 겁니다. 집합도 수와 마찬가지로 사칙연산 ... ...
[영재교육원 탐방]
우리
영재는
우리
동네에서!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기자가 김병수 노원과학영재교육원장이 직접 수업을 하는 수학사사반에 조심스레 침입한 건 3월 10일. 입교식을 한 뒤 겨우 두 번째 수업이 열린 날이었다. 수학사사반은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수학심화반에서 1년간 배운 뒤 진급하거나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새로 뽑혀 15명 내외로 이뤄져 있다 ... ...
과학은 어떻게 사회를 변화시킬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회째를 맞은 올해는 ‘동서 문명과 근대’라는 주제로 동서양의 근대를 비교하고 오늘날
우리
삶을 규정하고 있는 근대정신을 짚어본다. 특히 4월부터 시작되는 3, 4번째 섹션 ‘과학기술의 근대성(12~26강)’에서는 동서양의 과학기술과 산업혁명의 역사 그리고 매체의 발전부터, 천체·이론물리학, ... ...
[Origin] 계란의 ‘슈퍼 파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일인당 268개나 먹었다고 합니다. 일주일에 평균 다섯 개씩 계란을 먹은 셈입니다. 그만큼
우리
의 식탁에서 계란은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입니다. 계란은 맛있기만 한 게 아닙니다. 쓸모도 많습니다. 겨울철 유행하는 독감을 예방하는 백신을 만들 때는 유정란에 독감 바이러스를 주입해 배양합니다. ... ...
Part 1.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지더라도 왜 불가능한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내가 우주에 대한
우리
의 지식에 무언가를 보탰다면, 나는 행복하다.” 호킹은 자서전의 마지막 문장을 이다지도 담백하게 끝냈다. 확실한 건 호킹이 남긴 유산은 그가 생각한 ‘무언가’보다는 훨씬 클 것이라는 점이다 ... ...
이전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