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전기 이용해 글씨 자국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발견됐다. 이 사건이 세기의 범죄라 불릴 만큼 유명한 이유는 그 아이의 아버지가 세계
최초
로 대서양을 무착륙 횡단한 비행사 찰스 린드버그였기 때문이다.1927년 5월 21일 린드버그는 33시간 반만에 뉴욕에서 파리까지 대서양 무착륙 단독비행에 성공했다. 25살의 린드버그는 뉴욕으로 돌아오자마자 ... ...
미 FDA 유전자치료 전면 중단 선언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것이다.1990년 미 국립보건원(NIH)이 중증면역증(ADA)을 앓고 있던 여아 2명을 대상으로
최초
의 유전자치료를 실시했다. 이후 유전자치료는 선천성 면역결핍증과 암, 관절염, 순환기질환,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등 인류의 난치병들을 치료할 미래 의학기술로 주목받게 됐다. 이런 상황에서 1997년 9월 미 ... ...
동양 공룡 VS 서양 공룡 티라노 필적하는 포악한 싸움꾼 양추아노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몸길이가 20-50cm였던 공자새는 이빨이 없는 부리를 가진
최초
의 새다. 다양한 종류의 공자새 화석들이 1억5천만년 전부터 1억2천만년 전에 이르는 지층에서 발견됨으로써 이미 많은 수의 조류들이 쥐라기 후기와 백악기 초기에 살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몸 전체에 깃털이 있고 ... ...
②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맞춰 각선미를 뽐내면서 ‘Looks Good’이라고 선전하는 TV의 휴대폰 광고를 보면 ‘국내
최초
외부 유기EL’이라는 자막이 화면에 떠오른다. 유기EL이라는 새로운 평판 디스플레이가 실생활에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최신 기술에 관심이 많은 독자들이라면 휴대폰뿐만 아니라 머지않아 유기EL ... ...
인터넷으로 밝혀진 좁은 세상의 구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자료들을 손쉽게 구할 수 있게 되면서 실제 네트워크의 베일이 조금씩 벗겨지고 있다.
최초
의 비교 실험 대상은 월드와이드웹이었다. 1999년 필자(정하웅)는 미 노트르담대의 바라바시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에 소속돼 실험을 주도했다. 그는 월드와이드웹을 자동으로 돌아다니며 정보를 모으는 ... ...
착시 이용해 마법학교 입학하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보여 두개의 바퀴가 돌아가는 것 같이 보인다. 이같은‘달리는 자전거’의 효과는 1876년
최초
로 보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심원 그림의 가장자리에 톱니바퀴가 돌아가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달리는 자전거의 변형이다.▶▶▶ 소용돌이를 보면 왜 그림이 움직일까?잔상 효과 때문에 나선형을 ... ...
사이언스 북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대한 설명이, 오른쪽에는 그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가 파격적인 크기로 실려있다.인류가
최초
로 수를 세기 시작한 기원전 35000년전부터 인간 유전자 지도가 완성된 2000년까지 과학의 역사에서 그 발전을 이끌어온 2백50개의 사건을 연대순으로 배열하고, 각 주제를 시각적으로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 ...
① 인간과 정보의 경계 허무는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대화면의 생생함을 누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차세대 평판디스플레이 3인방
최초
의 CRT가 탄생한지 1백 여년이 지난 지금, PC의 모니터로는 LCD, 대형 TV로는 PDP가 재인식될 만큼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CRT를 대형화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전자를 ... ...
병주고 약주는 두 얼굴의 초콜릿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느끼는 수용체는 밝혀져 있었지만 단맛 수용체를 밝힌 것은 마골스키 교수팀의 연구가
최초
다. 단맛을 내는 당 성분은 두말 할 필요없이 인체에 필수적이다. 당은 세포 내의 여러 과정을 거쳐 에너지와 세포의 필수 ‘연료’인 글루코스를 만든다. 심지어 뇌 세포는 글루코스만을 사용해 살아간다. ... ...
암세포만 죽이는 나노물질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연구진이 암조직만을 선택적으로 죽이는 나노크기의 고분자형 항암물질을 세계
최초
로 개발했다.이화여대 나노화학부 손연수 교수팀은 나노크기의 새로운 고분자인 ‘포스파젠’에 백금착물을 결합, 암조직만 공격할 수 있는 새로운 항암제 신물질을 개발했다고 지난 1월 16일 밝혔다. 포스파젠계 ... ...
이전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