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맞춰 각선미를 뽐내면서 ‘Looks Good’이라고 선전하는 TV의 휴대폰 광고를 보면 ‘국내
최초
외부 유기EL’이라는 자막이 화면에 떠오른다. 유기EL이라는 새로운 평판 디스플레이가 실생활에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최신 기술에 관심이 많은 독자들이라면 휴대폰뿐만 아니라 머지않아 유기EL ... ...
③ 배아복제 금지법은 세계 어디에도 없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금지하는 법률 제정이 잇따르고 있다.우선 2001년 1월 치료와 연구목적의 배아복제를 세계
최초
로 허용했던 영국은 그 해 12월 복제배아를 만들어 여성의 자궁에 이식할 경우 10년 징역형을 선고할 수 있는 인간복제금지 법률을 제정했다. 프랑스 하원은 2002년 초 출산용 배아복제 행위를 범죄로 규정, ... ...
정전기 이용해 글씨 자국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발견됐다. 이 사건이 세기의 범죄라 불릴 만큼 유명한 이유는 그 아이의 아버지가 세계
최초
로 대서양을 무착륙 횡단한 비행사 찰스 린드버그였기 때문이다.1927년 5월 21일 린드버그는 33시간 반만에 뉴욕에서 파리까지 대서양 무착륙 단독비행에 성공했다. 25살의 린드버그는 뉴욕으로 돌아오자마자 ... ...
착시 이용해 마법학교 입학하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보여 두개의 바퀴가 돌아가는 것 같이 보인다. 이같은‘달리는 자전거’의 효과는 1876년
최초
로 보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심원 그림의 가장자리에 톱니바퀴가 돌아가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달리는 자전거의 변형이다.▶▶▶ 소용돌이를 보면 왜 그림이 움직일까?잔상 효과 때문에 나선형을 ... ...
자유롭게 계단 오르는 새로운 휠체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RNA는 그것의 '전사·번역도'인 셈이다한 개의 칩위에 10만개 이상의 소자가 집적된 회로
최초
의 VLSI는 64KDRAM이다 현재 4M(메가)DRAM까지 개발돼 있다마하3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는 제트엔진으로 터빈이 없다 속도가 빨라 터빈을 사용하여 공기를 압축해줄 필요가 없기 때문 이 압축공기 내에서 ... ...
5명만 거치면 지구는 한가족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점들을 연결선으로 적당히 연결한 것을 의미한다. 그래프 이론에 대한 연구를 시작한
최초
의 학자는 레오나드 오일러(1907-1783)다.1736년에 오일러는 지금은 러시아에 속해 있지만 당시에 독일 영토였던 괴니히스베르크라는 마을에 전해 내려오던 퍼즐을 풀면서 그래프 이론을 생각해냈다. 문제는 ... ...
겨울밤의 명소 오리온대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오리온대성운도 독일의 요한 바이에르에 의해 오리온자리 세타(θ)별로 분류됐다.
최초
로 오리온대성운이 별과 다르다는 사실을 인지했던 사람은 프랑스의 니콜라스 파이레스크였다. 갈릴레이의 친구였던 그는 갈릴레이가 만든 망원경으로 1610년 경 오리온대성운을 관측하고 보통 별과 다르다고 ... ...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길이가 달라지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복제를 추진한 과학자가 아기를 안고 나와
최초
의 복제인간이라고 발표한다고 생각해보자. 과연 그 아기가 복제를 통해 태어났다는 사실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아놀드 슈왈츠제네거가 주연한 할리우드 영화 ‘6번째 날’에서처럼 복제인간은 ... ...
③ 친자 관계 규명하는 새로운 법 요구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점에서 복제인간은 사회적 기본가치를 파기할 수 있는 해악을 내재하고 있는 것이다.
최초
의 복제인간이 탄생했다고 해서 인간복제 행위가 허용된다는 뜻이 아니다. 인간복제가 기술적으로 가능하다고 증명된 후에는 인간에게 적용하는 것이 옳은가 아니면 옳지 않기 때문에 행하지 말아야 하는가 ... ...
4 세포의 수문장 막단백질을 공략하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종류는 수용체와 이온통로들이다. 수용체는 외부 신호가 세포에 전달될 때 그 신호를
최초
로 인식하는 단백질이다.주로 세포 표면의 세포막에 존재하며 세포의 성장과 분화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따라서 이들 수용체에 문제가 생기면 암을 비롯해 심혈관 질환, 뇌 질환, 대사성 질환, 면역 질환 ... ...
이전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