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할머니와 엄마의 수학시간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아빠의 얼굴이 어둡다. 회사가 안 좋은가 보다. 뉴스를 보니, 머리부터 발끝까지 모든 걸 바꿔야 경제가 살아난단다. 내가 보기엔 수학도 비슷하다. 컴퓨터나 계산기 같은 도구가 나왔는데도, 아직 20~30년 전 스타일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참 답답하다.교실은 이미 졸업파티 분위기다. 선생님도 ...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년 발간한 책 ‘디지털 가상’에서 우리에게 사람, 동물, 식물, 기계, 산과 바다로 보이는 모든 것이 실은 우리 감각에 나타난 가상일 뿐이며, 그 실체는 미립자의 조합이라고 주장한다. 한 걸음 더 나아가 가상과 현실의 차이는 질적인 것이 아니라 양적인 것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초고해상도 HMD가 ...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IoT : 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적용하 는 방안도 고심하고 있다. 사물인터넷이란 말 그대로 모든 사물을 인터넷과 연결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문 잠금장치, 가스레인지 등에도 센서를 탑재하고 이 것들의 정보가 인터넷을 통해 스마트폰에 통합되도 록 할 계획이다. 사물들이 공통적으로 지진을 ...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마음대로 수정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사람도 포함된다. 이제 인간은 거의 모든 생명체의 유전자를 고칠 수 있는 전지전능한 힘을 가지게 됐다인간이 크리스퍼를 감당할 수 있을까지난 4월 1일 중국 중산대 황쥔주 박사팀이 크리스퍼를 활용한 인간 수정란 유전체 편집 결과를 발표했 ... ...
- 한옥에 살어리랏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빌딩정보모델링(BIM)’에 적용했다. BIM은 건물이 설계될 때부터 철거될 때까지의 모든 정보를 통합해 모델링해 주는 소프트웨어다. 그 결과, ‘한옥 BIM 설계지원 시스템’이 탄생했다. 이 프로그램은 파라메트릭 설계를 활용한다. 사용자가 한옥에 대한 지식이 별로 없더라도 한옥을 설계할 수 ... ...
- [참여] 반짝반짝 빛나는 신비한 광물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5년 06호
- 풍란을 샀어요. 이렇게 모양이 예쁜 화산탄은 구하기 어렵거든요.”그의 손길이 닿은 모든 광물에는 이 같은 사연이 담겨 있었다. 이재교 독자기자는 박물관 탐방을 마치며 권 관장에게 언제부터 광물을 사랑하게 됐는지 물었다.“전 대학 시절부터 돌 줍는 게 취미였어요. 시간이 날 때마다 전국에 ...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굉음과 함께 모든 것이 흔들렸다. 첫 지진은 4월 25일 오전 11시 56분, 수도 카트만두에서 북서쪽으로 81km 떨어진 람중 지역에서 발생했다. 진원의 깊이가 11km에 불과한 규모 7.8의 강진이었다. 도시 대부분의 건물들이 힘없이 무너져 내렸고 도로가 끊겼다. 천년 문화유적을 간직한 사원들과 왕궁도 ... ...
- 우주는 평평한 2차원이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3차원으로 느끼는 우주의 모든 정보가 홀로그램 원리처럼 2차원의 우주에 모두 담길 수 있다는 가설이 수학으로 증명됐다. 오스트리아 빈 공대 다니엘 그루밀러 박사팀은 “2차원 우주에서 ‘얽힘 엔트로피(entanglement entropy)’를 산출한 결과와 3차원 우주에서 얽힘 엔트로피를 산출한 결과가 서로 ... ...
-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세요. 노벨상이 따라옵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의학에서 새로운 연구주제를 찾아나가고 있다. 세포의 물질 전달을 조절하는 것은 거의 모든 질병 치료의 기본이다. 실제로 그가 주로 연구하는 효모는 백신과 같은 의료용 단백질을 대량 생산하는 숙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셰크먼 교수는 이런 이야기를 한국 학생들에게 들려줄 것에 큰 ...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com 유전자 속에 '녹색갈증'이 각인돼 있다미국 하버드대 생물학과 교수 에드워드 윌슨은 모든 인류에게 바이오필리아, 다시 말해 '녹색갈증'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가설에 따르면, 인간은 오랜 세월 동안 진화를 거치면서 최적의 생태적 공간을 좋아하는 유전자를 갖게 됐다.넓고 메마르지 않아 ... ...
이전3503513523533543553563573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