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야흐로 생체 인증의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프로토콜 등이 포함된다. 파이도 인증을 받은 생체 인증 기술은 파이도 규격에 맞는 모든 단말 기를 지원할 수 있다. 아직 생체 인증에 대한 국제 기 술 규격이 정해지진 않았지만, 많은 고객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가입해 사용하고 있는 파이도가 시장 에서 선택되지 않겠냐는 목소리가 크다. ... ...
- 멍청한 질문의 가치를 아는 책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탕수육 1인분쯤 되는 칼로리다!).이 책을 감수한 천문학자 이명현 박사는 “질문은 모든 앎의 시작”이라고 말한다. 과학을 알아갈 준비가 됐다면, ‘쓸데없는 질문이 아닐까?’라는 의심은 잠시 내려놓자. 그리고 이 책을 통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학적 여정을 즐겨보길 바란다 ...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린지도 모르는 이론으로 논쟁적인 문제를 설명한다 는 건 쉬운 선택이 아니었다. 하지만 모든 영웅이 그렇 듯, 플랑크는 용감했다. 플랑크는 빛의 에너지를 진동 수의 정수배로 나타냈다. 이 때 진동수를 에너지로 바 꿔줄 플랑크 상수(h)를 도입했다. 진동수는 파장에 반비례하므로, 에너지가 파장에 ... ...
- 개구리가 추운 경칩에 깨어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활동하기 때문에 언제든 개구리를 잡아먹을 수 있어요. 하지만 경칩 즈음에는 거의 모든 텃새들이 본격적으로 번식활동을 하기 전이라 사냥을 활발하게 하지 않아요. 포식자가 드물어서 산개구리가 낮에 노래를 부르기도 해요. 물론 참개구리나 청개구리 등과 경쟁하는 것도 피할 수 있고요 ...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살아갈지도 모른다.푸른 나무의 도시멀리서 본 화성의 도시는 마치 거대한 나무 같다. 모든 건물은 벽면이 이끼로 덮여 있기 때문이다. 돔 안의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다. 작은 중력을 활용해, 빌딩 위아래로 움직이는 셔틀버스도 설치했다.모든 길은 지하로 통한다압축도시에서 ... ...
- 이제 나도 게임 프로그래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윌아이 엠, 페이스북의 창업자 마크 주커버그까지…. 그들은 하나같이 SW가 상상하는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고 입을 모았다.현실에선 하늘을 날 수 없지만, 컴퓨터 속에서는 날 수 있다. 실제 피아노 연주를 할 줄 몰라도 코딩을 통해 멋진 연주자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상 속 세계를 재미있는 ...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알게 됐다. 다양한 기체를 이용해 실험을 한 뒤, 그래프를 더 낮은 온도까지 늘려보니, 모든 기체의 부피가 특정한 온도에서 하나같이 0이 된다는 점도 알게 됐다. 그 온도는 영하 273.15℃였다.이 성질을 이용해 만든 온도가 바로 오늘날 국제적 표준 온도로 쓰이는 절대온도 켈빈(K)이다. ... ...
- 자연이 빚은 아름다운 광물이 가득! 민자연사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걸리지요. 천천히 만들어지는 동안 주변 환경도 바뀔 수 있어요. 그래서 이 소장은 “모든 광물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고 말해요. 광물이 만들어지는 오랜 시간 동안에 이야기를 추측해 낼 수 있거든요.그렇다면 광물은 어디서 만들어지는 걸까요? 광물은 아주 다양한 곳에서 만들어져요. 지하에서 ... ...
- 새로운 수학교육에 대비하는 우리의 자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따라 학교마다 수업을 열기 때문에 원해도 못 듣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교육부는 모든 학생이 원하는 과목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교사를 확보하고, 많은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교과 내용을 체계적으로 설명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➊ 다양한 수학 행사에 자주 참여하세요!수학 행사는 ... ...
- 치키노사우루스 가능할까? 동물 복원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발생 과정 :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란이 되는 일부터 완전한 개체가 되기까지의 모든 과정. 뼈 화석으로 현생 동물 복원하기고생물학자들이 복원한 멸종동물은 당시의 실제 모습과 얼마나 닮았을까요? 이 의문을 풀기 위해 최근 영국의 고생물학자이자 고생물아티스트인 대런 네이시와 존 ... ...
이전3513523533543553563573583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