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링크
결합
접속
유대
접촉
관계
직렬
d라이브러리
"
연결
"(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속 탐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행성을
연결
한 직선과 이루는 각을 위상각이라고 한다두 종류의 금속을 고리 모양으로
연결
하고 한쪽 접점을 고온으로, 다른 쪽을 저온으로 하면 그 회로에 전류가 생기는 현상 1821년 독일의 TJ제벡(1770∼1831)에 의해 발견되었다 두 접점 사이에 나타나는 기전력은 금속의 종류와 접점의 온도차에 ... ...
미술로 풀어보는 수학 이야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조각’전이 열렸다. 작가는 “나무막대 함석판을 규칙적으로 이으면 그 형태가 끝점을
연결
한 도형처럼 묘한 질서를 드러낸다”며 수학과 미술의 접점을 설명한다. 이밖에 10억분의 1, 나노를 주제로 한 중견화가 홍정희씨의 개인전도 최근 열렸다 ... ...
와이어드넥스트 2005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떨어져 있는 애인과 통화할 수 있다. 쿠션은 전기장 발광선으로 짰으며 웹에 무선으로
연결
된다. 장소에 상관없이 껴안고 통화할 수 있다.C LO N E D A N I M A L S제네틱세이빙앤클론이 상용화한 복제 애완동물. 살짝 긁어낸 조직만으로 죽은 애완동물을 복제할 수 있다. 복제양 돌리를 만들 때 사용된 핵 ... ...
칩 위에 세운 생물 실험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세 기술을 융합한 바이오정보나노기술(BINT)이 그것이다.BINT 연구엔 여러 전공의 유기적
연결
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KAIST는 2004년 4월 다양한 학문 분야를 결합해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려는 목적으로 학제학부를 신설했다. 바이오시스템학과도 그 중의 하나. BINT의 매력에 빠져 있는 박제균 교수의 ... ...
그들이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뇌 전방이 활성화되면서 이름, 직업 등의 신상정보를 얼굴과
연결
시킨다.뇌의 이런 과정은 얼굴인식기술에도 응용된다. 현재 얼굴인식에 사용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눈 사이의 거리, 눈썹 사이의 거리, 입 크기, 눈과 코가 이루는 각도 등 얼굴의 세부 특징 간의 관계로 ... ...
기상천외한 생물들이 여기 다 있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다음 등 쪽의 돌기로 운반해 자신의 무기로 삼는다. 위와 등 쪽 돌기는 특수한 관으로
연결
돼 섬모가 움직이며 자세포를 안전하게 운반한다.피를 빨아먹는 물렁진드기는 모래 속에 몸을 움츠리고 먹이가 지나갈 때까지 1년도 넘게 기다린다. 먹이가 지나가는 진동을 느끼면 기어 나와 먹이에 올라타 ... ...
우주왕복선 다시 우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제어된 중계국이 이 무선신호를 이동서비스교환센터로 보내 정규의 공중전화망에
연결
해준다 그리고 셀간을 이용할 때는 그 해당 셀중계국에 무선신호를 자동적으로 인계해주기 때문에 끊김이 없이 계속 통화할 수 있다전송사진이나 텔레비전 등의 화상(畫像)을 분해하거나 조립할 때, 주사점이 ... ...
패션70s VS 패션00s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나 그림을 화면에 띄워 놓고 키보드를 조작하면 컴퓨터에
연결
된 프린터가 화면을 그대로 인쇄한다.디지털 염색기법도 마찬가지. 디자이너는 옷이나 가방 등 각종 패션용품에 찍을 무늬를 컴퓨터로 디자인해 파일 형태로 만든다. 또는 직접 그린 디자인을 스캔해 파일로 ... ...
갈림길에선 한국의 천문 연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KVN)전파망원경들을 지난 2001년 완공된 NAOJ의 전파망원경(VERA)과 네트워크로
연결
해 공동 운영하는 협정을 체결했다. 현재 천문연은 2007년 완공을 목표로 지름 21m짜리 전파망원경 3대를 서울(연세대)과 울산(울산대), 제주(탐라대)에 설치할 계획이다.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KVN사업 예산이 승인돼 ... ...
북한 전력 사정이 위험 요소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소비된다. 적정 전력예비량도 안정권인 15~17%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문제는 향후 북한과
연결
될 송전시설이 수도권에 들어설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수도권 전력사용량이 갑자기 급증할 경우 전기 수급량이 맞지 않아 자칫 대북송전은 물론 남한 전체가 정전사태에 빠질 수도 있다. 매년 전기 ... ...
이전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