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경우가 생긴다. 이때 시각을 정확하게 맞추기 위해 ‘윤초’를 더하는 것이다. 1972년에 처음으로 도입된 윤초 제도는 작년까지 26번 사용됐다.標準時 표준시(표할 표, 준할 준, 때 시)‘표준’의 첫 글자인 ‘표할 표(標)’는 나무를 뜻하는 ‘나무 목’과, 물건이 높이 올라감을 뜻하는 ‘표’로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1977년 일본의 사라카와 히데키 박사와 미국의 앨런 히거 박사 공동연구팀이 처음 개발했어요. 기존의 플라스틱은 탄소원자들이 하나의 고리로 연결돼 있는 구조예요. 이 고리는 원자들이 서로를 붙잡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전자가 움직일 수 있는 틈이 없지요. 그래서 전기가 통하지 않는 거예요 ... ...
- [지식]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양을 늘리는 이유다. 자극이 점점 강해질수록 중독도 점점 깊어진다. 스마트폰이라면 처음보다 더 자주 더 오랫동안 사용하면서, 눈에서 멀어지면 불안해할 정도로 일상생활이 어려워진다. 심지어 뇌의 회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디지털 중독도 알코올 중독처럼 무작정 끊으면 금단현상이 ... ...
- [참여] 수학의 신대륙을 찾아서 신일고 Math Pioneer수학동아 l2015년 09호
- 학생들의 견문을 넓혀 주고 싶다며 이렇게 말했다.2학년 정영준 학생은 “솔직히 처음에는 조금이라도 입시에 도움을 받기 위해 동아리를 들었는데 활동하면서 그런 생각은 잊어버렸다”며, “자유롭게 수학에 대해 생각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좋다”고 말했다. 3학년 김동현 학생도 “예전에는 ... ...
-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태양계 내에서 탐사선 조사가 가장 많이 이뤄진 천체다. 1959년 소련의 탐사선 루나 2호가 처음으로 달 표면 충돌에 성공해 표면의 대기를 연구하는 데 성공했다. 1969년 미국이 아폴로 계획으로 유인 달 착륙을 성공한 이후 한동안 잠잠했으나 1990년대 들어 일본, 중국, 인도 등 신흥 우주개발국가들의 ...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제외한 나머지 변수를 상수로 가정하고 미분하는 방법이다.물리학에 미분방정식을 처음 접목한 과학자는 뉴턴이다. 그는 1687년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에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운동을 미분방정식으로 적었다. 18세기가 되자 오일러, 달랑베르, 베르누이 등 걸출한 과학자들이 탄성계의 운동을 ... ...
- [손바닥 인터뷰] 김형수 작가, 몽골의 슈바이처, 독립운동가 이태준을 좇는 소설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내려다 보이는 전망대에 갔다. 그곳에서 이태준 기념공원을 본 것이 출발점이었다. 처음에는 동명의 소설가 이태준을 말하는 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의사 이태준을 기념하는 공원이었다.Q 몽골에서 이태준 선생이 유명한가A 엄청 유명하다. 한 예로 또다른 독립운동가인 여운형이 러시아에 가는 길에 ... ...
- [Knowledge] 정자 셔틀? No! 정액의 재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정자를 나르는 ‘탈것’인 줄로만 알았던 정액이 독립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모기 12종에서 똑같은 결과가 나타났다.이 연구를 시작으로 그동안 몰랐던 정액의 역할들이 속속 밝혀졌다. 정액에 들어있는 수백 가지의 단백질이 암컷 몸 안의 수용체와 만나 반응을 ... ...
- [Life & Tech] UC버클리에서 뜨거운 여름을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씨는 수업을 혼자 신청했다. 한국 학생이 없다. 조를 짜야 되는데 용기가 필요했다. “처음엔 좀 힘들었어요. 무작정 옆자리에 앉아서 ‘안녕, 너 이름이 뭐니, 나 한국에서 왔다’고 말을 거는 거죠.” 지금은 조원들과 친해져서 함께 피자를 먹으러 다닌다. “1000~2000줄짜리 코딩은 사실 저 혼자서도 ... ...
- 시력 좋은 아리랑 3A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지구의 모습을 사진과 영상으로 찍어 보냈어요. 한국 항공우주연구원에서 4월 14일에 처음으로 공개했지요.아리랑 3A호는 아리랑 3호가 떠 있는 높이보다 100km 정도 낮은 528km 높이에서 지구를 돌며 사진과 영상을 찍고 있어요. 고도가 더 낮기 때문에 더 선명한 영상을 찍을 수 있죠. 흑백 영상의 ... ...
이전3503513523533543553563573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