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임 교수팀은 이 방식으로 2014년 3월, 7m 떨어진 수신기에 10W의 전력을 전송하는 실험에 처음 성공했고, 지금은 실제 휴대전화까지 충전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넘어야 할 산은 많다.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방식이기 때문에 기술 규격이 마련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국제 규격들은 모두 ... ...
- [Hot Issue] 스무 살 맞은 한국 토종 로봇축구대회, FIRA컵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기자를 향해 김태은 사무국장은 “로봇 형태를 제한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처음 참가하는 팀들은 열정이 넘쳐서 직접 철판을 깎아 만든 휴머노이드를 들고 나와요. 하지만 결국 소프트웨어 싸움이거든요. 다음 해에는 상용 휴머노이드를 들고 나오는 경우가 많죠.”축구가 아니라서 긴박감이 ... ...
- [Knowledge] 외야 펜스의 담쟁이덩굴이 외야수를 괴롭힌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높으면 타자에게, 낮으면 투수에게 유리한 구장이란 뜻이다. 가장 처음 만들어진 파크팩터 공식은 유명 스포츠 채널인 ESPN에서 만든 ESPN 파크팩터다. ESPN 파크팩터는 그 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는 팀의 홈경기와 원정경기의 득실점을 비교하는 방식이다. 단순한 만큼 허점도 ... ...
- 올록볼록~! 종이로 만든 동화 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작가 소개황정아 작가는 2000년부터 지금까지 미국에서 활동 중인 종이 공예 작가예요. 처음에는 자연이나 사물을 소재로 한 종이 작품을 만들었어요. 지금은 종이로 동화 속 장면 같은 이야기가 있는 작품을 만들고 있어요. 작품을 액자에 넣어서 전시회를 열기도 하고, 책 속이나 표지, 광고에 ... ...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관찰하다 보면 비만 오면 노래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어요. 아마 청개구리 동화를 처음 만든 사람도 이 부분에 주목하지 않았을까요? 대체 청개구리는 왜 비가 오면 노래를 할까요?개구리는 언제 노래할까?◀ 개구리 노래소리를 조사한 맹산 습지.왼쪽 아래 회색기둥이 소리를 녹음하는 마이크다 ... ...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만족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팔방미인 수학자, 브릭!브릭은 처음 등장했을 때부터, 창의력과 상상력을 키우는 좋은 교구로 평가 받았다. 최근에는 교구를 넘어 수학이나 컴퓨터 과학, 로봇 공학 분야에서 전문가의 연구를 돕는다. 팔방미인 브릭의 매력은 어디까지일까? ... ...
- [지식] 진단, 나 너 믿어도 돼?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여러 번 다시 받았고, 3번 음성 판정이 나와 퇴원했다. 강남 모 병원에 입원한 30대 남성도 처음에는 검사 결과가 음성이었다가 나중에 메르스에 걸렸다는 판정을 받았다.메르스 진단은 메르스 바이러스의 유전자를 찾아내는 방법으로 이뤄진다. 우선 열이 나거나 호흡기 이상과 같은 의심 증상을 ...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이뤄내기 위해선 많은 덜 유명한 사람들의 노력이 모여야 했다. 뜨거운 팽창우주론 처음 밝힌 르메트르허블은 미국 윌슨산에 있는 천체 망원경으로 은하의 운동을 관찰하다가 1929년 은하의 빨강치우침(적색편이)을 발견했다. 빨강치우침은 멀리 있는 은하일수록 관측결과가 더 빨간 빛으로 ... ...
- 원자를 세는 영원불멸의 수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만드는 원리와 같다. 당시 프로젝트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러시아의 핵 시설이 처음으로 서방에 문을 열었다”며 감격스러워했다. 만들어진 실리콘 덩어리는 호주로 건너가 2개의 공으로 깎였다. 이 공이 다시 독일로 건너와 과학자들의 검사를 받았다. 과연 표면에 산소 원자가 달라붙어 산화된 ... ...
- 순간 포착! 아기별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원은 원시별에서 뿜어져 나오는 분출물의 모양이 변하고 있다는 걸 처음으로 관측해 발표했어요. 무거운 별들이 탄생하는 지역(W75N)을 관측한 결과로,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원시별의 분출물이 사방으로 나오다가 위아래 두 방향으로 나오는 위치를 바꾸는 모습을 발견한 ... ...
이전3533543553563573583593603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