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수중 파충류, 모사사우루스다!현상금은 최고급 포도주 600병!모사사우루스의 존재가 처음 확인된 것은 18세기 중반, 유럽에서였다. 1764년, 다양한 해양생물의 화석이 발견되던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 지역의 한 백악(白堊) 채석장에서 거대한 머리뼈 화석이 발견됐다. 이 화석을 연구한 과학자 ... ...
- 익숙하지만 낯선 이름들, V와 Hz 그리고 W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단위인 Hz(헤르츠)는 독일의 물리학자 하인리히 헤르츠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헤르츠는 처음으로 전자기파의 존재를 눈으로 보여줬다. 헤르츠는 실험을 통해 서로 떨어져 있는 두 회로에서 한 곳에 전기 불꽃을 일으키면 거의 동시에 다른 곳에서도 전기 불꽃이 피어나는 현상을 보였다. 무언가가 텅 ... ...
- 세계1위 로봇 휴보에겐 ‘포도’가 있었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모듈이 모여 소프트웨어를 구성하고 있다. 2012년 소프트웨어 개발과정에서 이 이름을 처음 붙인 이정호 레인보우 대표이사는 “기존에 있던 로봇 구동 소프트웨어들이 너무 복잡해서 이해하기 어려웠다”며 “컴퓨터공학과 출신이 아닌 나 같은 사람도 프로그램을 다룰 수 있도록 쉽게 만드느라 ... ...
- 원자를 세는 영원불멸의 수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만드는 원리와 같다. 당시 프로젝트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러시아의 핵 시설이 처음으로 서방에 문을 열었다”며 감격스러워했다. 만들어진 실리콘 덩어리는 호주로 건너가 2개의 공으로 깎였다. 이 공이 다시 독일로 건너와 과학자들의 검사를 받았다. 과연 표면에 산소 원자가 달라붙어 산화된 ... ...
- 쉬운 일을 어렵게 하는 매력, ‘골드버그’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불리기도 한다.골드버그 대회는 한국에서도 열리고 있다. 국립과천과학관이 2012년 여름 처음 개최했으며, 매회 과제가 바뀐다. 1회 대회 과제는 ‘풍선 부풀리고 터트리기’였고, 총 393개 팀이 참가했다. 본선 참가자들은 교사 없이 학생들끼리 조를 짜 5시간 안에 임무를 성공해야 했다. 4회를 맞는 ... ...
- 올록볼록~! 종이로 만든 동화 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작가 소개황정아 작가는 2000년부터 지금까지 미국에서 활동 중인 종이 공예 작가예요. 처음에는 자연이나 사물을 소재로 한 종이 작품을 만들었어요. 지금은 종이로 동화 속 장면 같은 이야기가 있는 작품을 만들고 있어요. 작품을 액자에 넣어서 전시회를 열기도 하고, 책 속이나 표지, 광고에 ... ...
- PART 1 기하학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디자이너는 물론 소비자도 가상 세계에서 사람의 역할을 할 부품을 원했다. 그렇게 1978년 처음 탄생한 브릭용 작은 인형은 현재까지 4000종류 이상이 나왔다. 서로 다른 머리 스타일과 옷, 얼굴 표정 등을 다양하게 조합해 만들 수 있는 작은 인형은 1000조 개가 넘었다. 레고 외의 다양한 회사가 만드는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14일 오후 8시 49분 57초에 태양계 외곽에 있는 명왕성에 약 1만 2550km 거리까지 접근했다. 처음 보는 명왕성의 상세한 모습이 눈앞에 드러나는 순간이었다. 인간의 우주 탐사가 점점 더 먼 곳까지 미치고 있다. 이제는 수많은 외계행성이 발견되면서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행성에 대한 관심도 ... ...
- 함께 나누는 수학 놀이 청주 중앙여중 파이(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날일까(화이트 데이 제외)?’ 같은 문항을 만들기도 했다.3.1415926535897…. 그렇게 셋이서 처음으로 시작한 활동은 동아리 이름이기도 한 $π$의 소수점 이하 자리를 외우는 것이었다. 동아리를 소중히 생각하자는 취지에서다. 이후 후배들을 받으면서 동아리는 점차 활성화됐다. 거의 쓰지 않는 ...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전자기파를 발생시키고 검출해 전자기파의 속도가 빛의 속도와 같다는 것을 측정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맥스웰의 이론을 실험적으로 뒷받침한 것이다. 그리고 몇 년 뒤 이탈리아의 굴리엘모 마르코니는 헤르츠의 장치를 개량해서 전선 없이도 멀리까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전신을 ... ...
이전356357358359360361362363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