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안경점 주인 ‘수이비라 아리비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아리비싸는 다짜고짜 썰렁홈즈를 시력 검사실로 데려갔다. 그런데 이게 웬일? 생전 처음 보는 시력 검사판이 걸려 있는 게 아닌가!“이건 제가 개발한 ‘울트라 뿅뿅 눈썰미 시력 검사판’입니다. 여러 가지 글자들이 마구 써 있죠? 그 사이에 숨어 있는 글자를 찾아 조합하면 하나의 문장이 됩니다 ... ...
- 고리 1호기, 영구 정지 결정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역사상 처음으로 원전 폐로를 결정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6월 12일 제12차 국가에너지위원회를 열고 고리 1호기의 영구 정지를 한국수력원자력에 권고했다. 고리 1호기는 1978년 만들어진 국내 최초의 상업용 원자로로, 2007년 설계 수명 30년을 마친 뒤에도 재심사를 거쳐 연장 운영 중이었다. ... ...
-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아직 법곤충학은 연구할 분야가 많이 남아있다. 사람이 죽은 형태에 따라서도 곤충이 처음 산란하는 시기가 다른데, 이 부분은 아직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목을 매달아 죽었는지, 상처가 나서 죽었는지, 매장이 됐는지 등 제각각이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도 사체감정 업무에 적용하기 ...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전자기파를 발생시키고 검출해 전자기파의 속도가 빛의 속도와 같다는 것을 측정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맥스웰의 이론을 실험적으로 뒷받침한 것이다. 그리고 몇 년 뒤 이탈리아의 굴리엘모 마르코니는 헤르츠의 장치를 개량해서 전선 없이도 멀리까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전신을 ... ...
- 사이언스 바캉스, 7월25일 과학자와 함께하는 지적인 휴가!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사이언스바캉스는 처음 시도되는 본격 휴가철 과학 강연 축제입니다. 아인슈타인의 생애와 이론을 알 수 있는 현대물리 세션과 첨단 공학의 세계를 다룬 세션 등 총 11개의 강연이 여러분을 기다립니다. 뜨거운 여름, 쿨한 과학 강연과 함께 시원하게 보내세요.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고난이도로 요구한 대회라 볼 수 있다”면서 “이번 대회를 준비하면서 새로운 휴보를 처음부터 다시 개발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고 말했다.인간형+특기 있어야 고성능 재난 로봇로봇공학자들 사이에선 재난, 또는 구조용 로봇은 ‘인간형’이 될 거라는 예측이 많다. 우리 주변의 공간은 ...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미쳤다. 생명과 지구의 공진화는 산소를 매개로 이뤄졌다.그렇다면 시아노박테리아가 처음 만들어낸 산소는 어디로 갔을까? 우리의 마지막 목적지에서 이때 만들어진 산소의 흔적을 찾을 수 있었다.최초의 산소는 아직 땅 속에 잠자고 있다우리는 카리지니 국립공원으로 향했다. 이곳에서는 25억 년 ...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해요. 이 관을 ‘시추관’이라고 하지요. 지하 수km까지 꽂을 수 있답니다.시추관으로 처음 캐낸 원유는 돌 조각이나 진흙 등 불순물이 많이 섞여 있어요. 그래서 해양 플랜트 플랫폼을 세우고 바다 아래서 캐낸 석유를 1차로 가공하고 있어요. 해저에 단단하게 다리를 세운 뒤, 상판(데크)을 올려 ... ...
- 시계 또는 반시계? 노인 또는 젊은 여인? 아리까리한 그림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바뀐다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19명). 첫 번째와 세 번째 실험을 비교하면 이 그림을 처음 봤을 때보다 두 번째 봤을 때 훨씬 빨리 또 다른 모습을 인식한 셈이다. 지먼 박사는 실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냈다.아주 작은 변화가 큰 변화로~지먼 박사는 그림 1, 2, 3과 7, 8처럼 그림이 남자 얼굴 또는 여인의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있으며 그 아래 어디쯤에는 둥근 곡선이 있다는 것을 알아차린다. 학습이 완료된 뒤에는 처음 보는 필체라도 숫자 5라는 걸 알아차릴 수 있다. 초기 인공신경망은 컴퓨터 성능의 한계 때문에 원시적인 수준이었지만, 기술 발달로 훨씬 복잡한 심층인공신경망으로 진화했다. 심층인공신경망은 ... ...
이전3583593603613623633643653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