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속으로 들어가 뉴스를 ‘몸으로 경험’하는 것이다.가상현실 저널리즘이란 개념을
처음
내세운 미국 기업 앰블러머틱그룹은 최근 다양한 콘텐츠를 공개했다. 시리아 주택가에서 발생한 폭탄 테러를 다룬 ‘프로젝트 시리아’는 시청자들을 테러현장 한복판으로 데려간다. 테러현장의 모습과 당시 ... ...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세요. 노벨상이 따라옵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잊지 못할 순간이었죠. 세포가 물질을 전달할 때 사용하는 작은 주머니(운반 소낭)를
처음
으로 발견한 거니까요." 노벨상과의 인연은 이렇게 시작됐다. 셰크먼 교수는 그때부터 30여년 동안 세포 내에서 운반 소낭을 수송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와 단백질을 대거 찾아냈다. 세포의 물질 수송 과정을 ... ...
바야흐로 생체 인증의 시대!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암호로 사용하려는 시도는 예전부터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 초 우리은행이
처음
으로 ATM기기에 지문인식 기술을 도입했다. 하지만 단말기 보급이 부족하고 바이오인식 기술의 정확성이 떨어져서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 이후 기술이 발전하며 이 문제는 자연스레 해결됐다. 바이오인식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섬엽에 도착한다. 만약 가상 신호가 이 경로 어딘가에 서 끼어들어간다면? 또는 아예
처음
부터 대뇌 피질 에 직접 주어진다면? 뇌는 실제 신호와 합성 신호를 분간할 방법이 없다.2030년, 나노봇이 가상현실 이끈다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할 수 없게 되는 순간이 올 까. 온다면 언제쯤 올까. 미래학자인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지점에 있다. 이번 지진은 두 대륙판이 충돌하는 큰 단층인 히말라야 주단층에서
처음
발생했다. 그 결과 연결된 작은 단층에서도 여진이 이어졌다. 또 네팔이 속한 레서 히말라야 땅은 히말라야 땅 중에서 지반이 가장 무르다. 주변 지역보다 지진이 많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관련기사를 계속 ... ...
10억 분의 4의 가능성, 뮤온 붕괴 현장 포착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LHC) 실험에서 지금까지 이론으로만 존재하던 새로운 입자의 붕괴 현상이
처음
관측됐다. 여기에는 한국 연구진이 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검출기가 큰 역할을 했다.유럽입자물리연구소 연구진은 중성 B중간자(B0)가 뮤온으로 붕괴하는 과정을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고 ‘네이처’ 5월 13일자에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그야말로 우리나라 서해와 남해에 특화된 로봇이다. 실제로 크랩스터는 지난 달
처음
으로 헤엄에 성공했다. 여섯 다리를 마치 노처럼 저었다. 해양공학수조에서 이뤄진 실험에서였다. 700kg에 달하는 몸을 밀어내는 모습에 연구팀이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고 전봉환 실장은 전했다. 물속에서 모드 ... ...
전염병 예측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경고의 의미였다. 그런데 이런 시뮬레이션은 어떻게 한 걸까?전염병 확산모델을
처음
만든 사람은 스위스 수학자 다니엘 베르누이다. 1766년 베르누이는 천연두 예방접종을 실시할 경우 사람들의 기대수명이 26년 7개월에서 29년 9개월로 늘어난다고 예측했다. 당시는 백신에 대한 개념이 없던 때라, ... ...
1 kg짜리 공이 무려 10억 원!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왼쪽부터 김진희, 김동민, 우병칠, 이광철 책임연구원이다. 오른쪽 사진은 1889년
처음
만들어져 프랑스에 보관중인 kg 원기.kg의 미래드디어 때가 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질량힘센터 의 이광철 책임연구원은 "1980년대 들어 플랑크 상수 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론이 나왔는데, 질량이 플랑크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라는 사람 찾기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퍼슨 파 인더는 2010년 아이티 지진 당시에
처음
소개됐는데, 쉽게 말해 실종자 또는 사망자의 정보를 데이터베이 스로 구축한 것이다. 퍼슨 파인더에 찾고자 하는 이 름을 ‘search 000(이름)’ 식으로 입력하면 구글이 찾 는 사람의 정보를 수집해 요청한 ... ...
이전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