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456건 검색되었습니다.
“네 말을 들으면 내
뇌
의 ○○ 부위가 반응해”
2016.05.01
방대한 양의 어휘를 세세하게 표시한 어휘 지도를 완성할 수 있었다. 이 지도에는 대
뇌
피질 위 100여개의 부위에 각 의미 체계가 넓게 분포돼 있다. 각 체계의 분포 패턴은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추상적인 개념보다 사회적 관계나 사람에 대해 묘사하는 어휘가 ... ...
내 마음을 읽어봐! 사람의 얼굴 표정에 반응하는 말(馬)
2016.04.30
관련된 행동들도 많이 보였습니다. 왼쪽 눈을 많이 사용한 것은 부정적인 자극을
뇌
의 우반구에서 처리하기 때문인데요. 이는 애완견을 비롯한 다른 동물들에게서도 나타나는 반응입니다. 연구진은 말들의 이러한 반응들로 볼 때, 그들이 사람의 화난 감정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
“대
뇌
피질 먼저 밝혀 한국
뇌
연구 이끌겠다”
2016.04.29
김경진 한국
뇌
연구원장 - 한국
뇌
연구원 제공 포털 사이트에서 ‘
뇌
연구’로 검색하면 한국
뇌
연구원이 맨 위에 뜬다. 2011년 정부가 설립한 첫 ... 하기 어렵다”며 “5~10년 뒤 대
뇌
피질 연구에서 성과를 내기 시작하면 해외에서 한국
뇌
연구원에 먼저 러브콜을 보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세포 속 ‘발전소’에서 신경암 해법 찾았다
2016.04.27
사실도 알아냈다. 가령 초파리에게서 이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제거하자 유충의
뇌
에서 신경줄기세포의 숫자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현상이 확인됐다. 반대로 이 단백질을 과발현 시키자 신경줄기세포의 숫자가 감소했다. 이규선 연구원은 “신경암과 신경퇴행성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 ...
젖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2016.04.25
● 수유기 전후해서만 존재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22일자에는 지난해
뇌
속 림프관 발견이 연상되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포유류의 젖샘에서 세포핵이 두 개인 세포를 발견했다는 논문이다. 잠깐 교과서를 떠올리면 세포는 핵의 유무에 따라 원핵세포와 진핵세포로 ... ...
마약탐지견 행동조절 원인, 유전자에서 찾았다
2016.04.24
유전자 발현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특수목적견 3종 중
뇌
조직의 DNA에서 효소반응이 많이 진행된 독일 셰퍼드는 MAOA 유전자 발현이 제일 적었고, 효소반응이 비교적 덜 일어난 비글과 삽살개는 MAOA 유전자가 많이 발현됐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성과가 개의 행동에 ... ...
눈썹, 미간, 입꼬리…감정 확인하는 얼굴의 3대 지표
2016.04.24
입꼬리가 움직일 때 pSTS가 가장 활발하게 반응했다. 마르티네즈 교수는 “우리
뇌
가 얼굴에 위치한 특정 근육의 움직임을 단서로 상대방 표정을 해독한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이라며 “이 같은 곳의 움직임에 집중해 사람의 표정을 읽어내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연구를 이어서 진행할 ... ...
[소개팅 필승 전략] 유머감각, 발라드는 필수! ‘안 생겨요’는 이제 그만~
2016.04.20
빠르게 뛰었다고 생각되는 평범한 여성에게 훨씬 높은 호감을 보였습니다. 인간의
뇌
는 현실과 착각을 구분하지 못하는 속성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pixabay 제공 ● 친구 커플과 신선한 더블데이트 하기 둘이서 만나는 데이트도 슬슬 레파토리가 떨어져 간다. 이번 주말에는 친구에서 SOS를 쳐서 ... ...
[첨단의학을 달린다]
뇌
전증 환자의 삶의 질 개선 노력해야…
동아일보
l
2016.04.20
개선도 이뤄져야 한다. 와전되거나 과장되지 않은 사람들의 인식과 올바른 약물 치료로
뇌
전증 환자들의 몸과 마음의 아픔이 모두 치료받을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박성파 경북대병원 신경과 교수 - 정청래 “비리혐의로 돈 먹고 감옥 간 사람, 당 대표 안 돼” 김종인에 직격탄 - 모자 ... ...
[첨단의학을 달린다]로봇 수술·생체흡수형 스텐트… 의술, 과학옷 입고 환자 곁으로
동아일보
l
2016.04.20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 교수가 주도하는 ‘
뇌
종양 아바타 마우스 실험법’은 사람의
뇌
종양 조직을 동물(쥐)에게 주입한 후 어떤 항암 치료가 가장 효과적일지 미리 실험해 보는 것이다. 아바타 마우스를 이용하면 개인의 질병에 가장 잘 듣는 약을 미리 파악해서 효과적으로 쓸 수 있다. 남 ... ...
이전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