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뇌"(으)로 총 4,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눈썹, 미간, 입꼬리…감정 확인하는 얼굴의 3대 지표 2016.04.24
- 입꼬리가 움직일 때 pSTS가 가장 활발하게 반응했다. 마르티네즈 교수는 “우리 뇌가 얼굴에 위치한 특정 근육의 움직임을 단서로 상대방 표정을 해독한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이라며 “이 같은 곳의 움직임에 집중해 사람의 표정을 읽어내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연구를 이어서 진행할 ... ...
- [소개팅 필승 전략] 유머감각, 발라드는 필수! ‘안 생겨요’는 이제 그만~2016.04.20
- 빠르게 뛰었다고 생각되는 평범한 여성에게 훨씬 높은 호감을 보였습니다. 인간의 뇌는 현실과 착각을 구분하지 못하는 속성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pixabay 제공 ● 친구 커플과 신선한 더블데이트 하기 둘이서 만나는 데이트도 슬슬 레파토리가 떨어져 간다. 이번 주말에는 친구에서 SOS를 쳐서 ... ...
- [첨단의학을 달린다]뇌전증 환자의 삶의 질 개선 노력해야…동아일보 l2016.04.20
- 개선도 이뤄져야 한다. 와전되거나 과장되지 않은 사람들의 인식과 올바른 약물 치료로 뇌전증 환자들의 몸과 마음의 아픔이 모두 치료받을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박성파 경북대병원 신경과 교수 - 정청래 “비리혐의로 돈 먹고 감옥 간 사람, 당 대표 안 돼” 김종인에 직격탄 - 모자 ... ...
- [첨단의학을 달린다]로봇 수술·생체흡수형 스텐트… 의술, 과학옷 입고 환자 곁으로동아일보 l2016.04.20
-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 교수가 주도하는 ‘뇌종양 아바타 마우스 실험법’은 사람의 뇌종양 조직을 동물(쥐)에게 주입한 후 어떤 항암 치료가 가장 효과적일지 미리 실험해 보는 것이다. 아바타 마우스를 이용하면 개인의 질병에 가장 잘 듣는 약을 미리 파악해서 효과적으로 쓸 수 있다. 남 ... ...
- 염증 치료물질, 우울증도 고칠까과학동아 l2016.04.17
- 때까지 몇 주가 걸리기도 했는데, TPPU는 바로 약효가 나타났다. 또 TPPU를 먹인 쥐들은 뇌 염증을 유발하는 스트레스를 줬을 때도 우울증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도 확인했다. UC데이비스 의대 정신의학및행동과학과 로버트 헤일스 교수는 “일생 동안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16% 정도 되는데, ... ...
- ‘RC카’ 조종하듯 세포 소기관 조종하는 기술 개발2016.04.17
- 성장을 막거나 신경세포의 성장을 가속화시킬 수 있는 연구의 토대가 됐다”며 “특히 뇌 신경세포 내 소기관의 이동을 조종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억과 학습과 관련된 연구 분야에 새 장을 열어줄 것”이라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생명과학 분야 학술지인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 12일자 ... ...
- [마음을 치는 시 11] “멍게는 다 자라면 스스로 자신의 뇌를 소화시켜 버린다”2016.04.16
- 그래서 “거대한 입들”은 뫼비우스의 띠처럼 “멍게는 다 자라면 스스로 자신의 뇌를 소화시켜 버린다”라는 첫 구절로 독자를 회귀시킵니다. 그러고는 시인은 “허나 지금은 조용하길”이라며 분노의 손가락질을 멈추고 고즈넉한 심성으로 자신 같은 저물녘 어시장의 한 장면을 바라봅니다 ... ...
- [책의 향기]인공지능의 물음 “지구상에 인간이 왜 필요한가”동아일보 l2016.04.16
- 대부분 외서다. 너무 어렵거나 오래된 책도 보인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미덕이 많다. 뇌 과학 전문가인 저자가 지난해 인공지능을 주제로 대중 강연을 한 것을 책으로 엮어서인지 생생한 사례가 많고 비교적 쉽다. 인공지능의 정의부터 시작해 인간처럼 학습하는 알고리즘―딥러닝(deep learning)이 ... ...
- 깜빡하는 건망증, 혹시 치매일까2016.04.15
- 포함된 올리브유, 기억력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을 만드는 비타민C, 활성산소에 의한 뇌손상을 예방하는 비타민E를 섭취하면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필자소개 이종림. IT전문지 마이크로소프트웨어와 과학동아에서 기자로 일했다. 최신 IT기기, 게임, 사진, 음악, 고양이 등에 관심이 많다. ... ...
- 사지마비 환자 최후의 보루, 눈으로 대화할 수 있는 ‘안구 마우스’ 개발2016.04.15
- 부위가 눈이다. 2008년 개봉한 영화 ‘잠수종과 나비’의 주인공은 갑자기 찾아온 뇌중풍(뇌졸중)으로 전신이 마비되자 도우미가 원하는 알파벳을 가리킬 때마다 눈을 깜빡거리며 의사소통한다. 현재 눈동자의 움직임을 카메라로 인식하는 ‘눈동자 마우스’는 이미 개발돼 있다. 하지만 어두운 ... ...
이전3513523533543553563573583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