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피부에 바로 인쇄하는 3D 프린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맥알파인 미국 미네소타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이 살아 있는 사람의 손에 인쇄할 수 있는 맞춤형 3D프린터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4월 2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400달러(약 43만 원)가 안 되는 저렴한 3D프린터를 개조했다. 기존 3D프린터는 약 100도에서 잉크를 사용해야 ... ...
- 내가 제일 잘 나가, ‘과일의 제왕’ 딸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용한 분자육종은 DNA 기술과 정보를 이용할 뿐 유전자변형작물(GMO)은 아니다”라며 “미국에서는 유전자 가위 등 최신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한 품종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통한 기구의 회수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도 연구를 시작한 뒤에야 알게 됐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해 거의 2세대 정도 늦게 시작된 국내 과학기구 연구가 다행히 뛰어난 정보기술(IT) 인프라를 활용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과학기구 연구가 선진국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 ...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사용하는 동시에 결합 방식까지 적용했다. 이런 형태의 중이온가속기는 세계 최초다. 미국 미시간주립대(MSU)가 2022년 가동 예정인 IF 방식의 중이온가속기(FRIB)에 추가로 ISOL 방식까지 결합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완성까지는 10년 이상 걸릴 전망이다. 그때까지 라온은 ‘세계 유일의 ISOL과 IF 결합 ... ...
- 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삼형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현재 포항 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해 연구하고 있다. 특히 미국과 일본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해본 연구자들은 하나같이 포항 4세대 방사광가속기의 성능을 칭찬한다. 4세대 방사광가속기와 양성자가속기, 그리고 중이온가속기는 연구에서 시너지를 낸다는 ... ...
- [Issue] ‘한반도 훈풍’에 환율 하락 기업 이익은 오히려 늘어난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환율 변동의 영향을 강화시킨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미 FTA 체결 이후 아마존을 비롯한 미국의 쇼핑몰을 이용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제품을 구입하는, 이른바 ‘직구’ 붐이 일어난 것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물론 반대로 환율이 상승하는 국면에는 부정적인 영향이 부각될 것이다. 환율이 ... ...
- Part 2. 전술을 분석하라!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이상의 수비수가 상대를 막는 방법은 상대방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좁게 만드는 거야.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의 연구원인 셀리나 팬은 사자 무리가 힘을 합쳐 얼룩말, 산양 같은 동물을 사냥하는 모습을 참고해서 입구가 있는 사각형 안에서 다수의 추격자가 입구를 향해 가는 적을 ... ...
- [필즈상] 자국에서 필즈상 수상의 영예 안을까? 페르난도 코다 마르케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불구하고 끝까지 지도교수 옆에서 연구를 이어갔기 때문입니다. 뛰어난 연구 성과로 미국 코넬대학교 대학원생이 받을 수 있는 최고 영예인 베티그상도 수상하고, 무사히 박사 학위도 받았습니다. 올해 세계수학자대회는 브라질에서 열립니다. 운동선수는 자국에서 하는 대회에서 메달을 딸 때 더 ... ...
- Part 3. 냠냠~ 미세먼지 잡아먹는 건물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우리가 살고 있는 건물을 미세먼지 사냥꾼으로 만들어 보는 건 어떨까? 거짓말이 아니야. 정말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도시에 ‘세워진’ 숲?식물은 잎에 있는 작은 구멍인 ‘기공’을 통해서 미세먼지를 잡을 수 있어요. 식물은 기공을 통해 체내의 수분을 대기 중으로 내보내는 ‘증산작 ... ...
- Part 1. 시험장에서 쫓겨난 기하의 항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치러야 할 학생들에게는 교육부의 발표가 입시와 직결되는 민감한 일이기 때문입니다. 미국이나 일본과 달리 우리나라는 수학 영역 수능 출제 범위를 줄이고 있어 이 문제에 대해 늘 논란이 끊이지 않았는데요, 이번 개정안을 발표한 뒤에는 이공계에서 성명서를 내는 일도 벌어졌습니다. 이미 201 ... ...
이전3523533543553563573583593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