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적록색맹의 경쟁력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원추세포를 통해 인지된다. 적록색맹은 녹색을 인지하는 원추세포가 적색과 가까운
빛
을 인지하도록 변형돼 적색과 녹색을 잘 구별하지 못한다. 적록색맹에 관련된 유전자는 X염색체에 존재하며 남자의 6%가 적록색맹이다.연구팀은 녹색계통의 색을 단계별로 구분해 보여주고 색을 구별할 수 있는지 ... ...
120억년 전 별
빛
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기존 이론 뒤집다새로 탄생한 태양만한 별은 수소로 헬륨을 만드는 핵융합을 통해 강한
빛
과 열, 자외선을 방출한다. 시간이 지나며 수소 연료를 모두 소비한 별은 크게 부풀어 올라 적색 거성, 초거성으로 바뀌며 조금씩 표면온도가 낮아진다.그러나 1989년 이 교수는 120억살 정도 된 늙은 별이 ... ...
스트루베와 뉴컴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것이다. 바로 밝은 별의 허상(ghost)이었다. 즉 그가 본 것은 실제 별이 아니라 밝은 별
빛
이 망원경 렌즈 면에 부딪쳐 만들어낸 ‘존재하지 않는’ 별이었던 셈이다. 20 년 지나서야 찾은 별스트루베는 자신이 큰 실수를 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리고 곧 자신의 발견이 잘못됐음을 발표했다.시간이 ... ...
해리포터와 불의 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찾을 수 있는 단서는 오직 하나, 바로 우승컵이 놓여 있는 정원수에서 나오는 푸른 불
빛
뿐이에요. 상상을 초월하는 거대한 미로 속을 헤매며 공포에 질린 참가자들은 서서히 이성을 잃어 버리고 야만적인 모습으로 변해갑니다. 우승컵을 향한 욕심에 친구도 눈에 보이지 않는 상황, 가장 큰 적은 바로 ... ...
북극곰도 겨울잠을 잘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3호
공기가 들어 있는데 이런 털은 체온 손실을 막아 줘요. 우리는 피부도 검은 색이지요. 햇
빛
을 잘 흡수하기 위해서랍니다. 겨울에 검은 옷을 많이 입는 것과 같은 원리에요. 북극곰은 이렇게 차가운 물이나 겨울의 매서운 바람도 충분히 견딜 수 있어요. 그래서 겨울잠을 잘 필요가 없는 거지요. 나는 ... ...
기상재해로 휘청거리는 지구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가장 민감한 해양생물로 1997년~1998년에 발생한 엘니뇨로 전 세계 산호초의 16%가 아름다운
빛
을 잃고 하얗게 탈색되었다.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국제 사회는 1997년 교토의정서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국제적 약속를 만들고 선진국부터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 ...
계절의 변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의 위치에서는 자전축이 태양의 반대쪽으로 기울어져 있어 다른 위치에 비해 태양의
빛
을 많이 받지 못한다. 따라서 ㉡의 여름과는 반대로 온도가 낮고 낮의 길이가 짧은 겨울이 오게 된다.오스트레일리아의 크리스마스는 여름?적도(지구의 자전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지구의 중심을 지나가는 선 ... ...
315일간의 우주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의미다. 지금 썰렁 홈즈가 타고 있는 우주선의 속도가 초속 30㎞라고 했으므로
빛
의 속도인 초속 30만㎞와는 1만 배 차이가 난다. 따라서 썰렁 홈즈가 탄 우주선은 2,000,000년 뒤에 도착할 수 있다.두 번째 문제의 정답빨간색 외계인의 수+노란색 외계인의 수+녹색 외계인의 수+3명=전체 외계인 수전체 ... ...
얼음 속에 갇힌 설인을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그래서 볼록 렌즈를 통과 할 때는 가장 렌즈가 두꺼운 중심으로
빛
이 굴절해
빛
이 모이게 되는 것이죠.따뜻한 담요를 덮어 주었는데 잘 녹지 않았어. 왜일까?겨울에도 담요를 덮으면 따뜻하잖아. 그래서 우리는 얼음에 담요를 덮어 주기로 했어. 30분간 담요를 덮은 77.6g의 얼음은 29㎖ 녹았어. 37%의 ... ...
가을 밤송이가 입을 벌린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0호
속하는 밤나무의 열매이자 씨앗인 밤은 날카로운 가시가 돋친 밤송이에 싸였다가 가을
빛
을 받고는 깨어납니다. 밤나무는 씨앗을 보호하기 위해 날카로운 가시로 무장하고, 번식할 때가 되면 벌어져 밤을 땅에 떨어뜨려 싹을 틔우지요. 하지만 우리가 즐겨 먹는 굵은 밤은 먹기 좋게 개량한 종이라 ... ...
이전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