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5. 별의 유언을 들어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40km 대기층을 통과할 때와 같은 효과를 만들어낸다. 우주입자가 깨지면서 발생하는
빛
에너지의 1%를 얻어 계산하면 입자의 원래 에너지를 추정할 수 있다. 현재 메릴랜드대에서 활동 중인 이무현 박사가 칼로리미터 개발의 주인공이다. 세계 최장 비행기록 세워프로젝트를 시작한지 4년째. 서 ... ...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연구를 하는 곳은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이다. 지구에서 12억km 이상 떨어져 있는 오렌지
빛
거인 타이탄을 탐사하기 위해 나사와 유럽우주국은 카시니-호이겐스를 보냈다. 호이겐스는 토성에 도착한 카시니로부터 분리되어 지구를 떠난 지 7년 3개월 만에 타이탄의 대기를 뚫고 착륙했다. 영하 180℃의 ... ...
벼룩 닮은 슈퍼 고무 탄생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곤충의 유전자를 이용해 슈퍼 고무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호주 CSIRO사 크리스 엘빈 박사팀은 벼룩의 다리근육에서 발견된 ‘레실린’(resilin)이라 ... 연결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연구팀은 단백질 분자에 루테늄(Ru) 금속촉매를 넣고 하얀
빛
을 약하게 비춰 단백질들이 서로 결합하도록 했다 ... ...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합동수색작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태양에서 가장 많이 오는
빛
(가시광선)에 익숙하다. 인류가 햇
빛
을 더 많이 볼수록 포식자를 피해 생존하는 데 유리했기 때문에 이런 방향으로 진화한 것이다.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멋진 우주 사진도 대부분 가시광선 작품이다. 하지만 드넓은 우주에서는 우리 눈에 보이는 것만이 전부가 ... ...
1. 레이저로 측정 한계 극복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이 문제에 대해 좀더 확신 있게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글라우버 교수가 개척한
빛
의 양자이론은 1963년 이래로 양자광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탄생시켰다. 국내에서도 최근 양자광학 전문가가 증가하고 있고, 아토초 레이저와
빛
-물질 상호작용을 비롯한 레이저 분광학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
중국 두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6호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담낭(膽囊)내에서도 볼 수 있다형태는 주걱모양이며 길이 10~25mm, 나비 3~4mm로 몸이 얇다
빛
의 간섭을 이용하여 광학거리의 차, 또는 변동을 간섭무늬의 위치의 변동에 따라 정밀하게 측정하여 기체의 굴절률 등을 측정하는 장치 간섭계를 이용하는 분광기 보통은 다광선간섭계를 가리키지만 ... ...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꼭 필요하다. 레이저를 하늘로 쏘아 올리면
빛
이 고도 90km 층에서 반사돼 돌아오는데, 이
빛
이 가이드 별을 대신할 수 있다. 김 연구원은 지난 1년간 레이저 가이드 별을 연구해 왔다. 그는 “이 레이저 기술은 군사적 응용이 가능하다”며 “지상에서 적국의 스파이 위성을 식별하거나 공중에서 적의 ... ...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참고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만든 것이라고. 무지개 아래에는 각 형광분자가 내는
빛
의 파장을 기록했다. | 일러스트레이션 부문 | 시냅스, 베일을 벗다그라함 존슨, 그라함 존슨 메디컬 미디어뇌 속 깊은 곳. 신경세포들이 서로에게 신호를 보내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다. 수십억 개 신경세포로 이뤄져 ... ...
비정상 입자를 명품으로 키운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부르기도 한다. 가장 대표적인 입자는 다이아몬드 같은 보석. 입자와 입자의 경계에서는
빛
이 산란되기 때문에 보석이 단결정으로 이뤄지지 않으면 반짝거릴 수 없다.김 교수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은 약간 ‘삐딱한’ 입자다. 하나가 커지면 주변의 다른 입자들도 덩달아 순식간에 커진다. ... ...
창공을 가르는 날틀의 경연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돋보이는 기술이다. 이처럼 곡예비행은 사람과 기체가 혼연 일체가 됐을 때 가장
빛
을 발한다.고도의 기술과 아기자기함 덕분에 블랙이글은 어디서나 인기몰이 행진을 계속한다고.항공기술의 새 장을 연다이밖에도 이번 전시회엔 국내외 225개 항공기 방위산업체들이 첨단레이더와 ... ...
이전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