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을 움직이는 숨은 힘을 만나 보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다양한 에너지에 대해 배우고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거든요. 즐거운 공놀이를 통해
위치
에너지와 운동에너지를 배울 수 있고 원자핵 모형을 직접 발로 밟아 핵분열을 체험해볼수도있어요. 재미있게 놀다 보면 어느새 에너지와 친해진 행복한아이 가 된답니다 ... ...
젊은 운동선수 노리는 '암살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공간군(空間群) F43m의 등축정계에서 X가 면심입방격자를 만들어 M이 정사면체형 4배위
위치
에 들어 앉는 구조가 된다일반적으로 유리섬유를 강화재로 하여 불포화폴리에스테르의 매트릭스〔基劑〕를 강화시킨 복합재료(複合材料) 강화 플라스틱, 또는 FRP라고도 부른다 견(絹)피브로인 · 콜라겐 · ... ...
지구의 '속살' 맨틀을 파고드는 지큐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쓰나미(지진해일)의 진원지이기 때문. 난카이 해구에서는 일본 남쪽, 필리핀 동쪽에
위치
한 필리핀해판이 유럽과 아시아 대륙을 이루는 유라시아판 아래로 밀려들어간다. 필리핀해판의 이동속도는 일년에 4~10cm 정도, 빠를 때는 15cm에 이르기 때문에 판이 4cm 미만으로 움직이는 다른 해구에 비해 지진 ... ...
HDTV 다음은 3DTV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각 렌즈에 의해 무수히 많은 도립상이 생기는데, 이 상을 그대로 복원하면 원래의 피사체
위치
에 3차원 영상이 생긴다.이런 원리를 이용한 방법 중 현재 회전 스크린 방식이 가장 대표적인 형태다. 회전 스크린 방식은 표현하려는 사물에 레이저를 쏜 뒤 이를 고속으로 회전하는 나선형 스크린에 ... ...
물고기자리 춘분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남겼다. 그는 여기에 황소자리에서 시작해 양자리와 물고기자리로 움직이는 춘분점의
위치
를 상세히 다뤘다.춘분점은 기원전 4525년경부터 황소자리에 있다가 기원전 1875년경부터 양자리로 넘어갔다. 기원전 100년부터 물고기자리를 지키고 있는 춘분점은 2600년이 되면 물병자리로 옮겨갈 것이다 ... ...
일본의 셀레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추진되는 미사일잠수함에 대항하는 작전으로서 발견 식별(아군이냐 적군이냐를 구분)
위치
결정 공격 파괴에 이르는 단계별 작전2개의 서로 다른 종류의 세포를 융합시켜 양쪽의 성질을 모두 갖는 잡종세포를 만드는 유전공학의 기술 토마토와 감자의 세포를 융합시켜 '포마토'를 만든 것은 한가지 ... ...
지구 대규모 생물 멸종은 태양계의 공전 궤도 탓?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연구팀은 이런 대규모 멸종이 태양계가 은하 중심을 도는 궤도면에서 가장 높은
위치
를 지날 때마다 발생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멜롯 교수는 “태양계가 공전궤도면의 위쪽으로 멀어질수록 처녀자리 방향에 있는 이웃 은하단에서 나오는 막대한 양의 방사선에 많이 노출된다”며 “900m 두께의 ... ...
화성으로 향한 피닉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전체적으로 원반형이므로 이것을 옆에서 보면 방추상으로 보인다이런
위치
에 있는 은하계성운은 머리털자리의 NGC 4565 등이 대표적인 별자리이다방추충의 화석을 다량 함유하는 고생대의 석회암 푸줄리나 석회암이라고도 한다지질시대의 특정한 시기를 나타내므로 지사학적(地史學的) · ... ...
PART1 우주등대, 1초에 1000번 깜박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연질 감마선 연속발광체’(SGR) 또는 ‘변칙 X선 펄서’(AXP)라 불렸다. 마그네타는 달의
위치
에 있다면 지구상의 신용카드가 전부 무용지물이 될 정도로 자기장이 강하다.1979년에 처음 발견된 마그네타는 지구에서 궁수자리 방향으로 약 5만광년 떨어져 있는 ‘SGR 1806-20’이란 천체다. 이 마그네타는 ... ...
뫼비우스의 띠 0.58:1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좌우가 바뀐듯 보이는 현상도 뫼비우스의 띠를 한바퀴 돌았기 때문이다. 이는 도형의
위치
와 모양을 연구하는 수학으로 풀이된다.뫼비우스의 띠에서 좌우가 바뀌는 현상은 이 띠가‘비가향 곡면’(non-orientablesurface)이기 때문이다. 여기서‘향’은 공간좌표의 기준을 정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 ...
이전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