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초등학생도 하는 조선식 제곱근 풀이법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나온 과학사 분야의 국제학술지(Science in Context)에발표했다. 홍길주라는 19세기 조선수
학자
가 세계에서 주목받기 시작한 셈이다. 제곱근*현재 수학교과서에서 a²의 제곱근은 ±a라고 배운다. 하지만 전통수학에서는 실생활 문제 위주여서 음수 제곱근을 생각하지 않았다. 사실 서양에서도 16세기 ... ...
우주인이 두려워하는 질병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국제우주정거장에는 정서적으로 안정된 여자우주인만 보내는 것이 최선이라는 심리
학자
가 등장하기도 했다.우주인들 사이에 문제가 없다고 하더라도 외로움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이 건강을 해칠 수 있다.1985년 9월 러시아 살류트 7호 우주정거장에 도착한 구소련 우주인 블라디미르 바슈틴은 10월 ... ...
킬링곡선(killing curve)으로 질주하는 지구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세계를 누비며 ‘지구재앙보고서’를 완성했다. 그가 만난 미국 프린스턴대의 기후
학자
로버트 소콜로 교수는 별로 밝지 않은 미래를 들려줬다. ‘BAU’(business as usual)는 현재 수준의 온실가스가 아무런 통제를 받지 않고 계속 배출되는 미래를 뜻한다. 소콜로 교수가 추정한 BAU 예상치에 따르면 ... ...
적을 무력화시키는 뜨거운 광선총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양을 비교, 양자의 화학적 동일성을 증명했다(1796)1884~1971 스웨덴의 생물불리 화
학자
발보 태생 웁살라 대학을 졸업하고 모교에서 연구를 계속했으며, 1912년에는 교수가 되었다 자기장 속을 운동하는 하전입자의 각 운동량 벡터는 자기장 방향의 성분이 특정하게 불연속적인 값을 갖도록 방향을 ... ...
별난 과학, 별난 이름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플루토는 지하의 신이니 우라늄과 넵투늄, 플루토늄 삼형제가 모이면 우주를 아우른다.화
학자
들은 신화의 아련한 추억을 주기율표에 남겨두고 싶었나 보다 ... ...
로그로 표현하는 리히터규모와 데시벨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로그함수가 여전히 중요한 이유는 지수함수와 관련있기 때문이다. 1746년 스위스의 수
학자
오일러는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관계를 발견했다. 그는 네이피어와 브리그스가 만든 로그를 이용해 방정식 ${a}^{x}$=b의 해를 멋지게 구했다.수학교과서에서는 로그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을까. a>0, a≠1일 때, ... ...
인터넷은 ' 부익부 빈익빈' 네트워크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연결, 제품의 마케팅전략이 정 교수의 연구대상이다. 생물
학자
나 경제
학자
도 아닌 물리
학자
가 이들 문제를 연구할 수 있는 이유는 이들이 멱함수 분포를 따르기 때문이다.예를 들어 성인 남성을 키 순서대로 줄을 세우면 1.7m부근에서 정점이 되고 좌우로 점차 감소하는 표준정규분포 그래프를 따를 ... ...
자기폭풍 밝혀낼 다섯 쌍둥이 위성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약칭 IOC)의 주관으로 1970년대에 실시된 국제협동 연구 프로그램이다 미국의 해양과
학자
를 중심으로 환경특성 · 환경예보 · 해저평가(海底評價), 생물자원의 연구를 중심으로 하고 그 아래로 각기 몇 가지 연구계획이 실시되었다 데이터를 집적시켜 목적에 따라 각기 필요한 처리를 일괄처리 하는 ... ...
아우별이 형별보다 밝은 이유는?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당시 천문
학자
들은 별의 연주시차를 측정하는 일에 몰두했다.허셜은 당시 다른 천문
학자
들과 마찬가지로 모든 별의 실제 밝기는 똑같으며 지구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느냐에 따라 별의 겉보기 밝기가 달라진다고 생각했다. 밝은 별은 가까이 있고 어두운 별은 멀리 있다고 말이다. 밝은 별과 어두운 ... ...
마야 멸망이 던지는 기후 묵시록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하지만 그들의 경작지는 1000년~1100년부터 방치됐고 티와나쿠 도시도 폐허가 됐다.과
학자
들은 안데스산맥 근처 켈콰야 빙하에서 뽑아낸 얼음시추물을 이용해 950년~1000년부터 1410년까지 끔찍한 가뭄이 강약을 반복하면서 계속됐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가뭄은 천천히 티와나쿠제국의 농업기반을 ... ...
이전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