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를 닮은 봇 VS 로봇을 닮은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커서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원하는 글자 앞에서 커서를 멈추는 것도 가능하다. 물리
학자
스티븐 호킹은 루게릭병에 걸려 온몸이 마비되었지만 컴퓨터와 연결된 음성합성장치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사이보그 기술이 발전하면 언젠가 스티븐 호킹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1998년 영국 ... ...
살아 쉼쉬는 녹색의 도시 --유럽의 환경생태도시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중요하지만 시민들의 자발적인 활동이 환경보호에 가장 중요하답니다. GOB는 사실 조류
학자
들이 이 섬의 새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만든 학술단체였지만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면서 이제는 메뇨르카의 환경에 대해 가장 강한 목소리를 낼 정도예요. 한국에도 메뇨르카와 비슷한 제주도가 있다고 ...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능력도 커진다. 17세기 레벤후크가 개발한 현미경은 배율이 300배였고, 독일의 물리
학자
루스카에 의해 10만 배 이상 확대할 수 있는 전자현미경이 등장했다. 원자현미경은 배율이 수천만 배여서 10억분의 1 단위의 나노 세계도 시원스레 볼 수 있다 ... ...
행성 자격이 박탈된 명왕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8호
최근 국제천문연맹에 모인 천문
학자
들에 의해 행성 자격을 박탈당했습니다. 그 이유는 처음부터 명왕성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은 조그맣고 표면이 흙으로 되어 있어 지구형 행성이라고 합니다.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은 커다랗고 표면이 유체로 되어 ... ...
자기력 체험관 '다부터피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6호
체험관이 열렸다. 자기력 체험관의 이름은‘다부터피아’. 자기력에 관한 세계적인 물리
학자
인‘몽조리 다부트라’박사가 관장이었다.역사적인 개관식이 열리는 날. 하지만 문제가 생겼다. 설치해 놓은 전시물이 하나둘씩 망가져 작동하지 않았다. 몽조리 다부트라 박사는 급히 썰렁홈즈에게 ... ...
서양귀신 VS 동양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5호
그의 저주를 받아 사람들이 죽었다고 믿게 되었습니다. 일명‘파라오의 저주’지요.
학자
들은 수천 년 동안 피라미드에서 서식하고 있는 곰팡이가 치명적인 병을 일으켜 죽게 했다고 추측합니다. 또 한편으로는 저주와 관계없이 사망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우리가 잘 모르는 세계의 독특한 ... ...
초강법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5호
무렵에는 이미 한나라의 철제 무기보다 훨씬 강한 철제 무기를 갖고 있었다고 추측하는
학자
들도 많습니다. 바로 철에 탄소를 더해 강한 철강을 만드는 방법(초강법)을 조상들이 알고 있었다는 것이지요. 순수한 철 자체는 부드럽기 때문에 숯을 태워 탄소를 더해야 단단해지는데 이것은 무척 어려운 ... ...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4호
여덟 개로 표현되어 있는 것이다. 당시엔 다리가 여덟 개인 멧돼지가 존재했을까? 역사
학자
들은 고대인들이 자신을 향해 돌진해 오는 역동적인 모습을 다리 여덟 개로 그려 표현한 것이라고 말한다.팔을 빨리 움직이면 여러 개로 보여!팔을 재빨리 위아래로 흔들면 마치 팔이 여러 개 달린 것처럼 ... ...
돌이라고 다 같은 돌은 아니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구분할 수 있다. 다음 광물들을 각자의 기준으로나눠 보자. 모스 굳기계독일의 광물
학자
모스는 광물 가운데 비교적 흔히 볼 수 있는 열 가지 광물을 골라 상대적인 굳기를 비교하여 등급을 매겼다. 이를 모스 굳기계라고 한다. 활석이 굳기 1로 가장 무르고 금강석이 굳기 10으로 가장 단단하다. 어떤 ... ...
시민천문대를 방문한 우주신령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천문
학자
의 연구를 위해 세워진 천문대들은 아무 때나 학생과 일반인들에게 별을 보여 줄 수 없습니다. 이것은 세계 어느 나라나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항상 별을 볼 수 있는 천문대는 따로 있는데 이것을 시민천문대라고 부릅니다. 시민천문대에서는 별자리 안내부터 다양한 천체 ... ...
이전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