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휘소 박사는 '팬티가 썩은 사람'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별명이 말해주듯 한번 자리에 앉으면 엉덩이를 떼지 않고 학문에 매진하던 아름다운 물리
학자
이휘소가 있을 뿐이다. 끝으로 저자는 이 책을 계기로 제2, 제3의 이휘소 박사가 나오길 기대했다 ... ...
휴전선 감시하는 군인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생각하는 이론 1920년 J 라모가 태양자기장을 설명하기 위해 처음 제창했는데, 그후 여러
학자
에 의한 보충 연구로 지구자기장의 생성과 특징적 사실들을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가동(可動)코일 마이크로폰 진동판이 영구자석에 의한 고정자기장 내에 설치된 음성코일(voice coil)에불어 있다 음파를 ... ...
맨눈 관측의 달인, 망원경 압도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궁금해 했다. 이 비밀을 밝히기 위해 핼리혜성을 발견한 것으로 유명한 젊은 천문
학자
에드먼드 핼리(Edmund Halley)가 폴란드로 떠났다.남반구 하늘에 도전하다영국 런던에서 태어난 핼리는 어려서부터 아버지가 사준 기구를 이용해 하늘을 관측하는 걸 매우 좋아했다. 자연히 그의 인생 진로는 ... ...
특집Ⅱ 노벨상 수상자가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수상자 한스 베테 박사는 노벨상을 받은 뒤 오히려 더 왕성하게 연구한 대표적 과
학자
다. 심지어 자신의 노벨상 수상업적이 틀렸다는 사실을 손수 밝혀냈다.21세에 핵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따낸 그는 양성자와 중성자가 결합해 중수소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정확하게 제시하며 핵반응의 난제를 ... ...
유럽 환경지킴이 3色 스토리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지금은 메뇨르카의 환경에 대해 가장 강한 목소리를 낼 정도가 됐지만 GOB는 사실 조류
학자
들이 이 섬의 새들을 보호하기 위해 만든 학술단체였어요. 1976년에 처음 생겼죠. 요즘 GOB는 환경 모니터링 이외로도 활동 영역을 넓히고 있어요. 주민들에게 환경의 중요성을 알리는 프로그램을 직접 개발해 ... ...
지구를 살리는 친환경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너무 길고, 수리비도 많이 든다. 천혜의 자연 조건에 걸 맞는 우리 기술을 가지기 위해 과
학자
들은 지금도 노력하고 있다.포기할 수 없는 에너지의 보고 바다지구 표면의 약 70%를 차지하는 바다. 바다는 생명과 에너지가 꿈틀대는 보물 창고이다. 달과 지구의 바닷물 줄다리기 싸움에서 나오는 조력 ... ...
솜털처럼 가벼워 보이는 구름의 질량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전문가가 되는 출발점이다.지구에서 달까지 걸어가면 얼마나 걸릴까어림은 초보과
학자
들, 특히 실험물리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갖춰야 하는 능력이기 때문에 교육과정에서 다뤄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실제 미국 메릴랜드대 물리교육과에서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분야에 관련된 어림문제를 ... ...
자오선이 영국으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시계공으로 바꿔놓는 계기가 됐다.1730년 존 해리슨은 런던의 경도심사국을 찾아가 천문
학자
에드먼드 핼리를 만나면서 간편하고 정밀한 시계의 개발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깨달았다. 이윽고 1735년 그는 해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첫 번째 시계인 ‘해리슨 1호’(H1)를 제작했다.‘H1’은 포츠머스항에서 ... ...
유전자가 말할 수 있는 진실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조사했더니 그 중 70~80%는 ACE 유전자가 ‘강’에 해당하 는 ‘II’형이었습니다. 반면
학자
들이나 연예인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중’이나 ‘약’에 해당하는 ‘ID’형과 ‘DD’형의 비율이 더 높았습니다. 이렇게 누적된 통계 결과를 바탕으로 ACE 유전자가 ‘강’이면 체력이 뛰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 ...
속임수로 잎의 방어를 뚫는 세균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세균도 기공의 여닫이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미국 미시간주립대 식물병리
학자
솅양히 박사팀은 애기장대를 이용한 실험에서 잎이 세균의 공격을 받을 때 기공을 닫는다는 사실을 밝혀 지난 9월 8일‘셀’에 발표했다.보통 잎의 기공은 세균에 노출된 지 한시간 안에 닫힌다. 이런 행동은 ... ...
이전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