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솜털처럼 가벼워 보이는 구름의 질량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전문가가 되는 출발점이다.지구에서 달까지 걸어가면 얼마나 걸릴까어림은 초보과
학자
들, 특히 실험물리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갖춰야 하는 능력이기 때문에 교육과정에서 다뤄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실제 미국 메릴랜드대 물리교육과에서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분야에 관련된 어림문제를 ... ...
맨눈 관측의 달인, 망원경 압도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궁금해 했다. 이 비밀을 밝히기 위해 핼리혜성을 발견한 것으로 유명한 젊은 천문
학자
에드먼드 핼리(Edmund Halley)가 폴란드로 떠났다.남반구 하늘에 도전하다영국 런던에서 태어난 핼리는 어려서부터 아버지가 사준 기구를 이용해 하늘을 관측하는 걸 매우 좋아했다. 자연히 그의 인생 진로는 ... ...
휴전선 감시하는 군인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생각하는 이론 1920년 J 라모가 태양자기장을 설명하기 위해 처음 제창했는데, 그후 여러
학자
에 의한 보충 연구로 지구자기장의 생성과 특징적 사실들을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가동(可動)코일 마이크로폰 진동판이 영구자석에 의한 고정자기장 내에 설치된 음성코일(voice coil)에불어 있다 음파를 ... ...
유럽 환경지킴이 3色 스토리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지금은 메뇨르카의 환경에 대해 가장 강한 목소리를 낼 정도가 됐지만 GOB는 사실 조류
학자
들이 이 섬의 새들을 보호하기 위해 만든 학술단체였어요. 1976년에 처음 생겼죠. 요즘 GOB는 환경 모니터링 이외로도 활동 영역을 넓히고 있어요. 주민들에게 환경의 중요성을 알리는 프로그램을 직접 개발해 ... ...
특집Ⅱ 노벨상 수상자가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수상자 한스 베테 박사는 노벨상을 받은 뒤 오히려 더 왕성하게 연구한 대표적 과
학자
다. 심지어 자신의 노벨상 수상업적이 틀렸다는 사실을 손수 밝혀냈다.21세에 핵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따낸 그는 양성자와 중성자가 결합해 중수소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정확하게 제시하며 핵반응의 난제를 ... ...
자오선이 영국으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시계공으로 바꿔놓는 계기가 됐다.1730년 존 해리슨은 런던의 경도심사국을 찾아가 천문
학자
에드먼드 핼리를 만나면서 간편하고 정밀한 시계의 개발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깨달았다. 이윽고 1735년 그는 해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첫 번째 시계인 ‘해리슨 1호’(H1)를 제작했다.‘H1’은 포츠머스항에서 ... ...
조상님들은 옛날부터 골프를 즐기셨다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다양성, 그리고 체력과 정신의 수양 등에서 서양의 골프와 하키 등에 뒤질 게 없다며 역사
학자
들은 아쉬워하고 있는데요. 지금이라도 잊혀진 전통 운동을 되살리는 노력을 게을리 해선 안 되겠습니다 ... ...
빛을 느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빛의 경우 진공에서 가장 속도가 빠르고, 매질을 통과할 때는 오히려 속도가 느려진다. 과
학자
들은 빛을 전파하는 가상의 매질인 에테르를 상상해 냈다.빛은 움직이는 거야아인슈타인은 사고실험을 통해 우주를 맘껏 누빌 수 있었다. 우리도 지금부터 빛이 되는 사고실험을 해 보자. 광원에서 나온 ... ...
지구속은 어떤 모습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모험이 펼쳐진다. 우연히 발견한 낡은 양피지 조각의 암호문은 유명한 지질
학자
이자 광물
학자
인 리덴브로크 교수와 그의 조카 악셀, 충직한하인 한스를 지구 속으로 안내한다.현재 이론대로라면 지표면에서 30m 내려갈 때마다 온도는 1℃씩 올라간다. 이런 비율로 계속 온도가 상승하면 지구의 ... ...
내 눈에 씌인'콩깍지'의 정체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정체가 밝혀졌다.‘디스커버’(Discover) 온라인판 8월 17일 자는 미국 코넬대의 사회심리
학자
인 데이빗 더닝 교수가 욕망이나 공포가 우리의 시각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를‘성격과 사회심리학지’(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에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더닝 교수는 .. ...
이전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