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괴물 해부하는 3개의 시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뱃속에서 공룡의 피를 빼내 유전자 조작과 복제 기술로 공룡을 부활시킨다. 물론 현대 과
학자
들은 수천만 년 전의 DNA는 이미 다 분해됐다고 보지만 말이다.‘괴물’이 파충류를 닮은 것은 우연일까. 인간은 생물학적으로 먼 동물에게 혐오감이나 두려움을 더 느끼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호랑이나 ... ...
전기 자동차의 새 흐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1883), 후에 인도의 페스트 연구위원회 회장이 되었다(97)1778~1850 프랑스의 화
학자
· 물리
학자
23세 때 기체의 온도에 의한 체적팽창의 법칙을 발견하고 이른바 샤를의 법칙〈제1법칙〉을 실험적으로 확립하였다(1801년) 토리첼리의 진공 속에서 일정량의 액체를 증발시켜, 그 증기의 부피 · 압력 · ... ...
2007년 부활하는 화성생명체 탐사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고군분투하고 있다. ‘로봇 지질
학자
’(robot geologist)란 애칭으로 불리며 지질
학자
의 암석망치 대신에 전기드릴을 장착하고 과거의 역사를 말해 줄 특이한 암석을 찾아 돌아다님으로써 30년 전 고정형 착륙선인 바이킹호가 감히 엄두도 못 냈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이동형 탐사로봇이 분주하게 ... ...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중력 이야기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공간이 그보다 더 큰 9차원 공간 속의 얇은 막일지 모른다는 점이 지난 10여 년간 물리
학자
들이 새로 알게 된 가능성이다.자연계에는 중력, 전자기력, 약한 핵력, 그리고 강한 핵력 모두 네가지 힘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막 이론에 따르면 중력을 제외한 다른 세 힘은 막 위에만 존재하는 반면, ... ...
1. 첨단과학에 코드 맞춘 SF '스타트렉'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아이디어의 보고나 다름없을 정도로 풍부한 상상력을 담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물리
학자
존 휠러가 ‘블랙홀’이란 용어를 제안하기 1년 전인 1966년 스타트렉 오리지널 시리즈에서는 빛이 빠져나오지 못하는 별을 ‘블랙스타’라고 부르는 선견지명을 발휘했다.특히 1980~90년대로 넘어오면서 ... ...
정책 불협화음을 조화로운 선율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당부한다. 준비된 자에게 기회가 온다는 말이다. 미래사회를 읽는 힘이 필요미래
학자
피터 드러커는 다음 세상(next society)의 진정한 자본은 돈이 아니라 지식이라고 전제하고 지식근로자의 출현을 예언했다. 이 회장도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를 세계 속에 우뚝 세울 자원 역시 지식근로자인 ... ...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metron)의 합성어다 즉 '물건의 혼을 계측해 해석하는 능력'이다 미국 남북전쟁 때 지질
학자
덴튼 박사가 누이의 능력을 보고 처음 이름을 지었다 그의 누이는 지질학적 견본(광석 돌멩이 화석류 등)을 이마에 대는 것만으로 그 견본에 관련된 역사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었다 덴튼 박사는 이 내용을 ... ...
구름의 변심,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지난 7월 14일자 ‘사이언스’ 온라인뉴스에 따르면 스웨덴 괴테보르크대의 물리
학자
베른하르트 멜리히 박사가 그 원인을 밝혀냈다. 멜리히 박사는 솜털 같은 구름에는 서로 뭉쳐서 떨어질 만큼 많은 양의 수증기가 없지만 공기 중의 수증기와 결합하면 큰 비를 뿌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일반적으로 ... ...
녹지 않는 초콜릿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초콜릿을 먹어본 군인들은 “양초를 씹는 것 같다”고 말했다. 미국 위스콘신대의 식품
학자
인 리처드 하르텔 박사는 “녹지 않는 초콜릿은 입안에서도 녹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하지만 이번에 개발된 초콜릿은 이런 문제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사람들은 시식회에서 밀크초콜릿보다 덜 ... ...
조지 에어리와 윌리엄 도즈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대기만 하면 그 눈은 독수리의 눈으로 변했다. 유명한 천문
학자
중 눈이 나빴던 근시 천문
학자
는 오직 두 사람이다. 한 사람은 요하네스 케플러로, 그는 시력 때문에 관측보다 계산과 이론으로 명성을 얻었다. 반면 도즈는 근시임에도 망원경을 사용해 독수리 눈으로 불렸으니 참으로 놀라운 일이다 ... ...
이전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