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은 언제 가라앉을까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대륙에 맞춰 보면 신기하게도 딱 들어맞는다. 그러면 동해는 어떻게 생겨난 걸까. 지질
학자
들은 동해 해안가의 암석과 해저 지형의 암석시료를 분석해 이 수수께끼를 풀어냈다. 이 암석시료가 바로 동해 생성과 침몰의 블랙박스인 셈이다.지금으로부터 2500만년 전, 일본은 유라시아대륙에 속했다. ... ...
토성관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수 있습니다. 즉 토성 고리 사이에 틈이 보인다는 뜻입니다. 이 틈은 17세기 이탈리아 천문
학자
카시니가 발견해 ‘카시니의 틈 ’이라고도 합니다. 지난해에 토성에 도착한 탐사선 이름이 카시니였던 이유도 바로 이것이지요 ... ...
수직 기록 방식 하드디스크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약칭 IOC)의 주관으로 1970년대에 실시된 국제협동 연구 프로그램이다 미국의 해양과
학자
를 중심으로 환경특성 · 환경예보 · 해저평가(海底評價), 생물자원의 연구를 중심으로 하고 그 아래로 각기 몇 가지 연구계획이 실시되었다 데이터를 집적시켜 목적에 따라 각기 필요한 처리를 일괄처리 하는 ... ...
디지털패션쇼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기술은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비롯해 패션공학, 섬유공학 분야에서 지난 20년간 세계 많은
학자
들이 매달려왔다. 2002년 미국 스탠퍼드대에서도 옷감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을 내놓은 적이 있다. 이들은 볼링공에 옷감이 휘감기는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했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옷감이 ... ...
프랑스의 과학향기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응용과학연구소)에는 한국의 이공계 유학생들이 많다. 재불과협과 프랑스 대학 출신의 과
학자
들은 앞으로도 한국과 프랑스의 과학기술 교류에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이제 프랑스는 멀지만 가까운 나라가 됐다.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지리적인 거리는 중요하지 않게 됐다. 함께 꿈꾸고 ... ...
1. 한반도 주변 속살 벗겨보니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순간 바다 속으로 영원히 가라 앉아버렸다. 잃어버린 도시 아틀란티스를 찾기 위해 지질
학자
들은 지금도 해저 지역을 조사하고 있다. 아틀란티스의 위치를 알려주는 해저 지도는 없을까.붙고, 합치고, 떨어지고지구에서 바닷물을 쫙 빨아낸다고 하자. 그러면 육지와 해저가 연결된 거대한 땅덩이가 ... ...
LCD 월드컵에서는 한국이 우승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공장을 찾았다.LCD(액정표시장치, Liquid Crystal Display)의 역사는 1888년 오스트리아의 생물
학자
라이니처가 액정을 우연히 발견하면서 시작됐다. 액정은 분자가 일정하게 배열된 고체와 무질서하게 흩어진 액체의 중간 성질을 갖는다.예를 들어 생물의 세포막이나 오징어 먹물, 콜레스테롤이 액정에 ... ...
논리는 수
학자
의 친구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기초가 되는 집합론에서는 ‘1+1=2’조차 증명한다. 수
학자
뿐 아니라 철
학자
, 언어
학자
들도 객관적인 증명의 가치를 원하기 때문이다.최 교수는 2명의 박사과정 학생과 함께 수학을 예술로 생각하며 무한차원의 난제에 도전하고 있다 ... ...
움직이는 '붙박이별'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주장했지만 아직까지 입증된 바는 없다.불우했던 소년시절을 이겨내고 대천문
학자
로 성장한 바너드의 일생 자체는 한 편의 영화다. 그의 이름이 붙어있는 바너드 별은 현재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주목을 받는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먼 훗날 우리가 그 별로 직접 가봤을 때 과연 그 별 주위에는 몇 ... ...
역사를 바꾼 암호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me jam frustra leguntur.’ (이것은 나 때문에 너무 일찍 헛되이 밝혀졌소).1613년 이탈리아 천문
학자
갈릴레이는 경쟁자인 케플러에게 라틴어 한 문장으로 된 편지를 보냈다. 갈릴레이는 왜 이런 편지를 보냈을까. 사실 이 문장은 ‘Cynthiae figuras aemulatur mater amorun’(사랑의 어머니가 신시아 ...
이전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