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미스의 탐구생활 7화] 비행기 엔진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이륙을 시작합니다.”승무원의 안내방송이 끝나자 밖에서 ‘위~윙~!’ 하는 소리가 크게 들렸어요. 비행기는 긴 활주로를 얼마간 달리더니, 구름을 뚫고 하늘로 솟아올랐지요. 그 다음 시속 300km 정도로 빠르게 하늘을 날았답니다. 이처럼 사람을 태우고 다니는 여객기나 음속보다 빠른 전투기는 ... ...
- Part 2. 코로나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느낌이 들었습니다. 짙은 코발트색의 하늘에 길게 늘어진 태양 코로나와 개기일식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황홀한 다이아몬드 링 현상은 아직도 잊혀지지 않습니다. Q. 이번 개기일식원정에서 어떤 역할을 맡으셨나요?코로나그래프는 인공적으로 개기일식을 발생시켜 촬영하는 장비입니다. 이번 ... ...
- Part 4. 개기일식, 영화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휴 허드슨 박사( UC 버클리 우주과학실험실) Q. 이클립스 메가무비 프로젝트는 어떻게 시작됐나요?미국 대륙을 횡단하는 개기일식이 2017년에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고 2011년, 이 아이디어를 떠올렸어요. 분명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 거라고 생각했지요. 그럼 개기일식 경로에 있는 1만 명의 ... ...
- Part 3. 미래엔 기구에서 산다?! 기구의 무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이 상상을 실험하기 위해 전세계 과학자들과 함께 ‘에어로센’이라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답니다. 에어로센은 공기와 태양열, 바람으로만 작동하는 기구예요. 내부를 공기로 채워 낮에는 태양열로, 밤에는 땅 위의 복사열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답니다. 사라세노는 ... ...
- [현장취재①] 해양 생물의 가장 위험한 먹이, 플라스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쓰레기를 줄이는 또 다른 방법을 보여 주었어요. 프래그 스튜디오는 네덜란드에서 시작된 ‘프레셔스 플라스틱’ 프로젝트에 참가하고 있어요. 프레셔스 플라스틱은 플라스틱을 다른 형태의 물건으로 바꾸는 기계를 만드는 메이커 활동이에요. 이날 강연에서도 ‘데스크 팩토리’라는 기계로 ... ...
- Part 5. 미래 우주여행은 엘리베이터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Q. 어린이들에게 한마디 해 주세요!우주 엘리베이터에 대한 연구는 이제 막 시작되었어요. 해결해야 할 부분이 많이 남아 있는 만큼 우주 엘리베이터의 실현은 앞으로 어린이들에게 달렸지요. 어린이 여러분이 꿈을 갖고 도전해 주길 바랍니다! # 휴~, 드디어 도착했다. 엘리베이터에서 7일 동안 ... ...
- [쇼킹 사이언스] 하늘에 UFO가 떴다?! 렌즈구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증발하기 때문에 구름이 만들어지지 않는답니다. ● 이슬점 : 공기가 냉각되어 응결이 시작되는 온도. 항공기 조종사들에게 렌즈구름은 매우 무서운 존재예요. 움직이지 않고 하늘에 가만히 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렌즈구름이 있다는 것은 그 지역에 강한 난류가 발생하고 있다는 ... ...
- Part 4. 로프 없는 엘리베이터, ‘MULTI’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자기부상 엘리베이터초고층 빌딩이 등장하면서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문제점이 드러나기 시작했어요. 건물 높이가 1km가 넘으면 로프 무게만 30t 가까이 되는데, 이런 엄청난 무게는 권상기로 끌어올리기가 쉽지 않거든요. 이 가운데 지난 2015년, 티센크루프에서는 새로운 개념의 엘리베이터 ‘멀티 ... ...
- Part 3. 하늘소, 앞으로 어떤 영향을 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보니 하늘소와 관련된 자료가 많이 모였더라고요. 이 자료를 정리하기 위해 도감을 쓰기 시작했지요. 그 결과, 새로 이름 붙인 42종을 포함해 총 357종의 하늘소를 담게 되었답니다. Q. 가장 기억에 남는 하늘소는 무엇인가요? 이승현: 사실 모든 하늘소가 기억에 남아요. 처음 사진을 보자 마자, ... ...
- [가상인터뷰] 모기 먹는 모기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방제’라고 해요. 왕모기를 이용해 다른 모기를 죽이는 방법은 1929년 하와이에서 시작됐어요.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15년 딱정벌레목 곤충인 ‘잔물땡땡이’를 이용해 모기 유충을 없애는 기술을 처음으로 개발했지요.연구팀은 “광릉왕모기 유충은 서식처를 공유하는 모기 유충만을 잡아먹기 ... ...
이전3533543553563573583593603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