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미래의 드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출발지를 손으로 가리키며 설명을 이어갔어요.“드론이 이곳에서 상자를 싣고, 비행을 시작하면 천장에 달린 특수 카메라가 움직이는 드론을 촬영해요. 1초당 수백장을 찍는 특수 카메라를 이용하면 아주 미세한 흔들림도 포착할 수 있지요. 드론의 조종 방법이나 이동 속도 등을 다르게 해서 상자를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대고 빛을 모아 본 적 있나요? 초점은 그렇게 ‘빛을 모아 태우는 점’이란 뜻에서 시작해서 ‘사람들의 관심이나 주의가 집중되는 부분’으로 의미가 커졌답니다. 첫 번째 글자인 ‘탈 초(焦)’는 ‘불 화(火)’가 변형된 부수인 ‘연화발(灬)’과 ‘새 추(隹)’로 이루어져 있어요. 불에 새를 구워 ... ...
- Part 4. [활약3] 우주쓰레기를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고민하다! 우주로 발사되는 큐브샛이 급격하게 늘면서 과학자들은 새로운 고민을 하기 시작했어요. 바로 ’우주쓰레기‘ 문제예요. 우주 공간에는 다양한 크기의 우주쓰레기가 떠다니고 있어요. 고장이 나거나 임무를 마친 인공위성에서 수 마이크로미터의 입자들까지…. 현재 셀 수 있는 쓰레기만 ... ...
- Part 1. 남미산 개미가 부산항에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전부 소독했어요. 그리고 감만부두를 포함해 전국의 주요 항만 34개소를 모두 검사하기 시작했지요. 개미가 주로 집을 짓는 바닥의 틈이나, 화단과 철길 가장자리들을 일일이 뒤졌어요. 또 먹이 함정 3400여 개를 설치해서 지하에 사는 개미들을 유인했지요. 전문가들은 외래 붉은불개미가 컨테이너에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친구들은 드론 벤처기업 ‘드로젠’에서 제공하는 블록 키트로 드론을 만들어 보기 시작했어요. 만드는 방법은 간단해요. 레고 블록처럼 생긴 부품을 X자 모양이 되도록 꽂고, 프로펠러와 모터를 연결하면 완성! 조립을 마친 뒤에는 한 명씩 드론을 조종해 보았어요. 왼쪽 조이스틱으로는 위아래를,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후두둑, 비듬을 닮았다?! 꿩의비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물들기 시작하는 가을 산에서 유독 흰색 바탕에 붉은빛을 띠는 꽃이 있어요. 작은 꽃 수십 개가 뭉치를 이루고 있어 별이 내려앉은 듯 보이기도 하지요. 그 주인공은 바로 ‘꿩의비름’이에요. 꿩이 사는 산지나 들판에 주로 서식한다는 뜻에서 이름에 ‘꿩’이란 단어가 붙었지요. 8~10월에 산을 ... ...
- Part 5. 별처럼 반짝반짝~ 캔, 인공위성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해요. 그 다음 로켓에 실려 쏘아올려진 뒤, 450~570m에서 캔위성이 분리되어 낙하하기 시작해요. 달걀이 깨지지 않게 안전하게 착지하는 팀이 우승하는 대회랍니다. 한편 프랑스 항공우주국(CNES)이 주최하는 캔위성 대회는 정해진 임무를 하나 이상 수행해야 해요. 다른 대회와 달리 캔위성이 ... ...
- Part 3. 외래 붉은불개미의 습격, 과연 끝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경우 모두 개미가 지하에 있어서 발견하지 못했다면 따뜻해지는 내년 봄에 다시 활동을 시작할 수도 있어요. 정부도 이런 위험성을 알고 있어요. 하지만 항구의 지하는 몇 m만 들어가도 바닷물과 만나기 때문에 개미가 깊게 들어갈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지요. 또 공주개미가 날아갈 수 있는 ... ...
- [현장취재] 지구에서 떠나는 화성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영상에서 미치 슐터 박사는 “화성 탐사는 물론, 다양한 연구는 끊임없는 호기심에서 시작된다”며, “천체나 생물, 지질 등 주변에 관심을 갖고, 열심히 탐구하는 것이 과학자가 되는 첫걸음”이라고 말했답니다. 화성에 드론을 띄운다?!두 번째 강연은 ‘무인탐사연구소’의 조남석 소장이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법학을 공부했지만 천문학에 더 흥미를 느끼고 1919년 윌슨산천문대의 연구원으로 일하기 시작했지요. 당시 과학자들은 우리은하가 우주의 전부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허블이 안드로메다성운을 관측해 거리를 추정한 결과, 지구에서 약 90만 광년(현재의 계산으로 220만 광년) 떨어져 있다는 것을 ... ...
이전3503513523533543553563573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