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빛 공해에 시달리는 전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더 밝고 안전한 조명이 필요해졌어요. 과학자들은 전기로 빛을 내는 조명을 개발하기 시작했지요. 그리고 1879년, 영국의 조셉 스완과 미국의 토마스 에디슨이 최초의 백열전구를 만들었어요. 이후 효율이 좋고 밝은 빛을 내는 조명이 계속 개발되면서 현재는 형광등과 LED 등 다양한 조명들이 쓰이고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의 방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갑자기 ‘쿠구궁’ 하는 소리와 함께 친구들이 서있던 곳의 바닥이 천천히 올라가기 시작했어요. 바닥은 친구들이 비밀의 방 천장에 닿을 때 까지 계속 올라간 뒤 멈췄답니다. 시원이가 조심스럽게 천장에 손을 갖다 대자 다시 ‘쿠구궁’ 소리가 나면서 천장이 반으로 열렸어요.“으윽, 눈부셔! ... ...
- Part 4. [활약3] 우주쓰레기를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고민하다! 우주로 발사되는 큐브샛이 급격하게 늘면서 과학자들은 새로운 고민을 하기 시작했어요. 바로 ’우주쓰레기‘ 문제예요. 우주 공간에는 다양한 크기의 우주쓰레기가 떠다니고 있어요. 고장이 나거나 임무를 마친 인공위성에서 수 마이크로미터의 입자들까지…. 현재 셀 수 있는 쓰레기만 ... ...
- [현장취재] 지구에서 떠나는 화성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영상에서 미치 슐터 박사는 “화성 탐사는 물론, 다양한 연구는 끊임없는 호기심에서 시작된다”며, “천체나 생물, 지질 등 주변에 관심을 갖고, 열심히 탐구하는 것이 과학자가 되는 첫걸음”이라고 말했답니다. 화성에 드론을 띄운다?!두 번째 강연은 ‘무인탐사연구소’의 조남석 소장이 ... ...
- Part 5. 별처럼 반짝반짝~ 캔, 인공위성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해요. 그 다음 로켓에 실려 쏘아올려진 뒤, 450~570m에서 캔위성이 분리되어 낙하하기 시작해요. 달걀이 깨지지 않게 안전하게 착지하는 팀이 우승하는 대회랍니다. 한편 프랑스 항공우주국(CNES)이 주최하는 캔위성 대회는 정해진 임무를 하나 이상 수행해야 해요. 다른 대회와 달리 캔위성이 ... ...
- Part 1. 남미산 개미가 부산항에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전부 소독했어요. 그리고 감만부두를 포함해 전국의 주요 항만 34개소를 모두 검사하기 시작했지요. 개미가 주로 집을 짓는 바닥의 틈이나, 화단과 철길 가장자리들을 일일이 뒤졌어요. 또 먹이 함정 3400여 개를 설치해서 지하에 사는 개미들을 유인했지요. 전문가들은 외래 붉은불개미가 컨테이너에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친구들은 드론 벤처기업 ‘드로젠’에서 제공하는 블록 키트로 드론을 만들어 보기 시작했어요. 만드는 방법은 간단해요. 레고 블록처럼 생긴 부품을 X자 모양이 되도록 꽂고, 프로펠러와 모터를 연결하면 완성! 조립을 마친 뒤에는 한 명씩 드론을 조종해 보았어요. 왼쪽 조이스틱으로는 위아래를,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법학을 공부했지만 천문학에 더 흥미를 느끼고 1919년 윌슨산천문대의 연구원으로 일하기 시작했지요. 당시 과학자들은 우리은하가 우주의 전부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허블이 안드로메다성운을 관측해 거리를 추정한 결과, 지구에서 약 90만 광년(현재의 계산으로 220만 광년) 떨어져 있다는 것을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후두둑, 비듬을 닮았다?! 꿩의비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물들기 시작하는 가을 산에서 유독 흰색 바탕에 붉은빛을 띠는 꽃이 있어요. 작은 꽃 수십 개가 뭉치를 이루고 있어 별이 내려앉은 듯 보이기도 하지요. 그 주인공은 바로 ‘꿩의비름’이에요. 꿩이 사는 산지나 들판에 주로 서식한다는 뜻에서 이름에 ‘꿩’이란 단어가 붙었지요. 8~10월에 산을 ... ...
- Part 3. 외래 붉은불개미의 습격, 과연 끝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경우 모두 개미가 지하에 있어서 발견하지 못했다면 따뜻해지는 내년 봄에 다시 활동을 시작할 수도 있어요. 정부도 이런 위험성을 알고 있어요. 하지만 항구의 지하는 몇 m만 들어가도 바닷물과 만나기 때문에 개미가 깊게 들어갈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지요. 또 공주개미가 날아갈 수 있는 ... ...
이전3503513523533543553563573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