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초소형 벌 로봇, 진짜 벌처럼 윙윙~!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날개를 1초당 무려 120회 움직여 날아다니지요. ‘로보비(RoboBee) 프로젝트’는 2009년에 시작됐어요. 미국 하버드대학교의 주도로 로봇 공학자뿐만 아니라 생물, 재료, 전기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지요. 지난 10월 로보비가 비행뿐만 아니라 수영도 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돼 ... ...
- [통합과학 교과서] 비밀스런 물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움직이면서 덜컹거리는 소리가 났어요. 그리고 게임판 위에 있던 말이 천천히 움직이기 시작했어요. 말은 칸을 따라 이동했고, 몇 개의 칸을 이동한 뒤에야 움직임을 멈췄어요.“빅뱅을 이해하라?”게임판 한가운데에 있던 동그란 화면에 문장이 크게 나타나더니 알 수 없는 빛이 창고를 뒤덮었어요. ...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그를 피렌체에서 가장 번성한 공방에 입문시켰다. 그런 그가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건 서른이 되면서부터였다. 1482년 레오나르도는 당시 밀라노의 통치자인 루드비코 스포르차 공작에게 자신을 추천하는 추천장을 썼다. 그는 스포르차를 설득하기 위해 자신이 공병기술에 능한 이유 1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Monkey)’다. 2013년 미국LA 타임스는 로봇 기자가 작성한 지진 속보를 온라인에 게재하기 시작했다. 로봇 기자는 한 달에 1만5000건의 기사를 작성하고, 한 건의 기사를 작성하는 데 1초가 걸리지 않는다. 스태츠 몽키를 개발한 크리스티안 하몬드 내러티브 사이언스 최고기술책임자는 당시 “2017년에는 ... ...
- [인터뷰]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시험 2주 전에나 생기던 능력이 매일 매일 생긴 거죠.” 늘 시험 기간처럼 공부하기 시작하자 성적이 올랐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공부하는 역량이 조금씩 늘었다. 같은 양을 공부해도 더 빨리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됐다. 3학년 1학기 때도 동일한 전략을 유지했다. 최대한 많은 과목을 ... ...
- 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밝혀졌답니다. 2011년, 미국의 AI 연구자 ‘티모시 버스비스’는 ‘오픈웜 프로젝트’를 시작했어요. 이 프로젝트는 앞서 밝혀진 예쁜꼬마선충의 커넥톰을 과학자들끼리 공유하고, 이를 이용해 디지털 생명체를 만드는 게 목표였지요. 그 결과, 2014년에 예쁜꼬마선충의 커넥톰으로 레고 마인드 스톰 ... ...
- [가상인터뷰] 최고의 달리기 선수 치타, 멸종 위기에 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부탁해~!치타: 안녕! 나는 지상에서 가장 빠른 동물로 잘 알려진 치타야. 달리기 시작하면 2초 만에 시속 72km의 속도를 낼 수 있고, 최고 시속 132km로 달릴 수 있지.우리가 이렇게 빠른 건 등뼈가 앞뒤로 빨리 움직이기 때문이야. 뭐, 체온이 너무 올라가서 최고 속도로는 200~300m 정도밖에 달리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예르미타시 박물관展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속 여인은 예카테리나 2세예요. 프랑스를 사랑했던 그녀는 프랑스 작품을 한곳에 모으기 시작했고, 그 공간을 ‘은둔지’ 또는 ‘숨겨진 공간’이란 뜻의 ‘예르미타시’로 불렀지요. 덕분에 지금의 예르미타시 박물관이 탄생하게 되었답니다.” 예르미타시 박물관에는 17세기에서 20세기 ... ...
- [시사기획] 폴더블폰, 그분이 오신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말은 제가 처음 만들었습니다. 2009년 플렉시블(휘어지는) 디스플레이를 개발하기 시작했고, 폴더블폰을 만들기 위한 기술도 이미 완성됐습니다.” 2016년 삼성디스플레이 연구소에서 나와 2017년 UNIST 교수로 부임한 그는 폴더블폰 하드웨어를 만들기 위한 기술은 이미 모두 개발됐다고 설명했다. ... ...
- 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기술로 소비자들에게 어떤 경험을 어떻게 전달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은 이제 시작 단계”라고 털어놨다. VR 콘텐츠는 사용자들이 소비하는 방식이 기존 영상과 완전히 다르기 때문이다. 연애 시뮬레이션을 예로 들어 보자. 같은 1인칭 시점을 구현하더라도 기존에는 시야를 감독이 제어했다. ... ...
이전3473483493503513523533543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