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지구온난화 주범 vs. 청정에너지 진흙화산의 두 얼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보니 약 3km 아래까지 뿌옇게 보였다. 즉, 이 진흙화산은 해저면 지하 약 3km쯤에서 시작됐다는 의미다. 화산 내부 가스는 물에 분출되기도 한다. 수중음향탐지기 화면에는 해저 진흙화산에서 바닷물로 뿜어져 나오는 메탄가스가 해수면까지 도달하는 모습이 선명하게 포착되기도 했다. AUV로 지형 ... ...
- 서로 연결돼 있는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것이 아니라 지구 전역에서 일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문제의 발생은 특정 지역에서 시작됐다고 하더라도 피해는 그 지역만이 아니라 인접국가 및 지구 전체에 걸쳐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가까운 예로 중국의 산업화로 발생한 화학물질이 황사와 결합돼 우리나라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 ...
- [인터뷰] 물리학자, 눈결정의 별이 되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이유는 무엇인가요?처음에는 결정이 어떻게 자라나는지 관심이 생겨 그와 관련된 연구를 시작했어요. 얼마 지나지 않아 눈결정이 가장 흥미로운 주제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연구할수록 점점 빠져들더군요! 혹자는 제 연구가 보잘 것 없다고 생각합니다. 실용적이지 않다는 것이지요. 저는 얼음의 ... ...
- [2018 태국탐사대] 우리는 느리게 걷자수학동아 l2018년 02호
- 푸미폰 전 국왕의 어머니인 스리나가린드라 대비가 도이 퉁에서 말년을 보내기로 하면서 시작한 ‘도이 퉁 프로젝트’ 때문입니다. 대비는 소수민족에게 국적을 주고 교육과 보건 서비스를 보장했습니다. 양귀비 대신 차와 커피를 재배하도록 도왔죠. 왕족과 주민이 힘을 합쳐 일궈낸 땅이 지금의 ... ...
- 아끼면서 아름다운 한복, 수학이 만든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길이는 가슴둘레를 변수로 갖는 공식을 이용해 측정한답니다. 암홀★ 어깨 끝점에서 시작해 겨드랑이를 지나 둘러서 잰 치수. 치마는 어떨까요? 사각형 모양의 옷감을 자르지 않고 치마를 만들려면 주름을 활용해야 합니다. 치마 윗부분에 주름을 만들어 윗부분은 폭이 좁고 아랫부분은 넓게 ... ...
- [DJ CHO의 롤링수톤] 지미 헨드릭스의 ‘퍼플 헤이즈’ 기타의 신과 27클럽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연주하거나 바닥에 드러누워 기타를 치는 모습을 본 적이 있나요? 이런 기타 퍼포먼스의 시작이 헨드릭스입니다. 그뿐이게요? 무대 위에서 불을 피워 기도하는 퍼포먼스를 하거나 기타를 치다가 바닥에 내동댕이쳐 부숴버리기도 합니다. 헨드릭스의 공연을 처음 본 관객은 놀라고 충격을 받았지만 ... ...
- [Issue] 설마 내가 우울증? 우울증 검사 직접 받아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불행해서 도저히 견딜 수 없다 같은 식으로 주어진다. 검사를 마치자 간단한 면담이 시작됐다. 안은지 경희대 의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가족 관계, 부모님과 의 관계, 지금까지 살면서 어떤 갈등을 겪어왔는지 등을 물었다. 안 전문의는 “이 면담을 통해 환자가 단순한 우울감을 가지고 ... ...
- Part 4. 빙하를 보존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빙하를 보존하기로 한 거예요. 바로 프랑스, 이탈리아 등 국제 공동 연구팀이 2015년부터 시작한 ‘아이스 메모리 프로젝트’지요. 아이스 메모리 프로젝트는 전세계 고산 지대에 있는 빙하코어를 채취해 남극으로 운반하는 프로젝트예요. 운반된 빙하 코어는 남극에 위치한 영하 54℃의 동굴 속에 수 ... ...
- Part 1. 로봇들의 겨울 축제, 스키 로봇 챌린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번 대회의 가장 큰 특징은 ‘사람이 로봇을 조종할 수 없다’는 점이에요. 즉, 시합이 시작되면 로봇은 모든 동작을 스스로 해야 돼요. 기문의 위치를 파악하고, 가장 빠른 코스를 정하고, 몸을 움직여서 방향을 돌리거나 균형을 잡는 것도 모두 알아서 해야 하지요. 심지어 로봇이 넘어졌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LED 스탠드를 만들어 보자! 적정기술 연구센터 핸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사람들은 이런 과학 기술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지요. 중간기술은 이런 문제인식에서 시작됐어요. 이후 중간기술이 마치 과학적으로 부족하다는 느낌을 주어 적정기술이라고 불리게 되었지요. 빈곤층을 위한 지속가능한 과학기술을 가리켜요. 이때 그 기술은 사용한 공동체의 환경과 문화를 ... ...
이전3433443453463473483493503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