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람의 과학 그 천태만상의 해부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하강한다. 이 지역을 아열대 고압대(subtropical high pressure belt)라 부르며 고기압 지역이기에
하늘
은 맑고 비가 적다. 대륙에서는 사하라나 아라비아반도와 같은 사막지역이다. 바다지역은 말의 위도(horse latitude)라고 부르는데 옛날에 이 지역으로 들어간 스페인 범선들이 바람이 없고 비가 오지않아 ... ...
PARTⅠ지구에 어떤 영향을 주나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있다.하지만 근래의 플레어 때문에 생긴 가장 극적인 현상은 이틀 밤에 걸쳐 북극
하늘
을 수놓은 오로라일 것이다."오로라는 결국 플레어에 의해 생기는 현상이다. 높은 에너지의 전자가 태양풍을 따라 대기권에 도착하면 지구자장에 의해 일단 굴절된 후 극지방 부근의 대기권 상층부에 침투한다. ... ...
PART Ⅱ 태양의 8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뜨거울까?코로나는 개기일식이 일어나 태양광구가 달에 의해 전부 가려지면 어두운
하늘
을 배경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일식때 이외에는 코로나그래프로만 볼 수 있다. 그것도 밝은 부분의 코로나만 관측되는 것이다.표면온도가 6천K이고 지구중력의 28배나 되는 표면중력을 가진 태양이라는 별이 ... ...
망원경을 가진 인어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정말로 산교육이라는 느낌을 받았으며 실습의 지식이 곧 나의 확고한 지식이 되었다.
하늘
과 바다가 맞닿은 그곳은 너무나 평화로왔고 말로는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다웠다. 또 모든 사람들과 같이 한 2박3일의 생활은 선배와 후배간의 정을 두텁게 해주었고 교수님과 제자간의 허물을 벗겨주는 ... ...
기이한 거인상과 암벽화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반사되었기 때문이거나 헬멧 자체가 그렇게 보였기 때문이라는 것이다.선사시대에
하늘
에서 내려와 킴벌리를 방문한 인물은 헬멧을 쓰고 강한 태양광선을 막기위한 고글같은 것을 쓰고 크고 낙낙한 우주복을 입고 원주민들 앞에 나타났을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이 완지나와 같은 그림이 ... ...
계산학-나의 고민거리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빙글 돌다 땅에 떨어지면 크게 실망도 했더. 마침내 완벽한(?) 나의 글라이더가
하늘
을 멋지게 나는 것을 보고 정말이지 가슴 뿌듯함을 감출 수 없었다. 바로 이러한 소박한 감정들이 과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갖게 하고 훌륭한 과학자가 되기 위한 고귀한 밑거름이라고 생각한다.과학은 특별히 ... ...
남태평양의 진주 폴리네시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타히티섬 북서쪽 약 15km 해상에 있는 모초레아섬의 작고 둥그런 산이 안개속에 싸여
하늘
에 떠 있는것 같이 보인다. 타히티섬의 북동해안 타이레이에 있는 '물은 뿜는 동굴'은 암초의 균열에 빨려 들어간 파도가 분수가 되어 뿜어져 올라오는 것이다. 그 바로 가까이에는 타히티의 아름다움을 ... ...
PART3 역사상의 거선(巨船)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수수께끼로 되어 있다.그중 오벨리스크는 기다란 돌을 가지고 끝을 뾰죽하게 가공하여
하늘
높이 세워놓은 방형첨탑(方形尖塔)이다. 신전 뜰앞 같은 곳에 세워져 있는 이들 첨탑은 장소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큰 것에 이르러서는 무게 3백50t, 길이 1백피트의 거대한 석재이다. 이들은 대개 ... ...
지하생활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자연과 분리되어 있다 하더라도 창밖을 바라보거나 문밖으로 나가면 우리는 태양과
하늘
이 보이는 곳에 있게 된다. 그것이 옳은 말인가?그렇지만 이런 방식으로 살펴보자. 도시를 떠나 푸른 초목과 손상되지 않은 자연이 있는 실제 지역에 도달하기 위해서 뉴욕이나 런던, 도쿄 시민들은 처음엔 시내 ... ...
'생명체는 음(-)의 엔트로피를 먹고 산다'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법칙'으로 정착된 것이다. 만약 열역학 법칙들이 특별한 연역적인 사고의 소산이거나,
하늘
에서 뚝 떨어진 진리였다면 우리는 그 법칙을 수용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열역학 법칙의 적용범위를 넓혀 전 우주에까지 확장시키는 일은 논란의 여지가 많다.엔트로피는 변화의 방향을 제시하는 열역학 ... ...
이전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