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는 마음의 병을 고친다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맑은
하늘
과 밀려오는 파도, 상쾌한 바닷바람,
하늘
을 나는 갈매기-이런 해변의 풍경은 지친 마음을 말끔히 씻어주는 효과가 있다.최근 영국 배빅대학의 두명의 심리학자 '존 킹'과 '스티브 톨러'가 발표한바에 의하면 이런 해변의 '향기'에 만성적이고 중증인 불안증환자를 치유하는 효과가 있다는 ... ...
「콜럼부스 신화」속의 거짓말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당시 천문학자들은 또 지구가 돌면 지구위의 물체는 모두
하늘
로 튕겨질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마지막 이유는 천문학적으로 지구의 운동이 관측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지구가 겨울의 위치에 있을 때와 여름의 위치에 있을 때(즉, 180˚공전했을 때) 분명히 별을 보는 ... ...
홍일점의 외로움은 견뎌내며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대학을 사랑한다. 갈등하고 고민하면서 진정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기 때문이다.가을
하늘
이 드높다. 신학기도 꽤 지나갔고 모두들 공부에 바쁜 모습으로 되돌아 가고 있다. 이렇게 새로운 가능성을 가진 채로 경쾌하게 움직이는 모습들이 마냥 좋아 보인다.벌써 제출해야할 리포트가 산더미같이 ... ...
다양한 화학의 세계, 수시로 바뀌어 온 관심분야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전기를 통하는 플라스틱'(25년후인 지금에야 실용화가 시도되는 전도성 고분자), '
하늘
의 비행기는 녹이는 레이저'(요즘 별들의 전쟁에서 언급됨) 등 교과서에서 언급되지 않는 새롭게 전개되는 화학의 발전과 이의 신비로움에 크게 매료된 때문으로 생각된다.●―부부가 함께 미국유학4년간의 대학 ... ...
호먼궤도를 이용하라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볼 때 화성은 저녁 7시쯤에 동쪽
하늘
에서 떠올라 밤1시에 남중하고 아침 7시에 서쪽
하늘
로 진다.한편 한국천문우주아카데미에서는 1차로 화성 관측 캠프를 9월24일부터 1박2일로 개최하고 2차로 10월1일부터 2일까지 경기도 남양주군 화도면 금남 캠프장에서 개최한다. 참가 대상은 국교3년생부터 ... ...
동요하는 지구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회의 동요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으며, 올해 7월 4번째의 동요가 발견되어 공표되었다.밤
하늘
의 별들의 움직임을 자세히 관찰해보면, 지구의 북극 바로 위에 위치하는 어떤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원을 그리며 움직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북극성이 그 근처에 있으나 바로 그 지점에 위치하지는 ... ...
색깔의 본질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무지개는 2가지 점에서 어려운 문제였다. 첫번째 어려움은 왜 무지개가 아무 것도 없는
하늘
에 나타났다가 사라지는가를 설명하는 것. 대부분의 그리스 과학자들은 무지개의 붉은색과 사과의 붉은색이 다른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들은 물체들이 가진 색깔을 '참된색깔'이라고 했다. 반면 무지개나 ... ...
프랑스대사관 대학·과학·기술·자료센터 원장 티에리 리아바스트르씨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새로운 과학'을 내세워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고 들었는데 뭐가 새롭다는 얘기입니까?"
하늘
에서 뚝 떨어진 과학을 말하는 것은 아니지요 (웃음). 현재 소위 첨단이라는 말을 듣는 과학·기술들을 더욱 발전시켜 '미래의 기술'로 개발하자는 뜻이 담겨 있읍니다. 여기에는 우주개발 해양산업 항공기 ... ...
반(反)물질의 정체는 어떤것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않는다는 의미가 된다 (-E의 해답을 버렸을 때만). 하지만 실제로 우리들이 쳐다보는 푸른
하늘
은 빛의 산란에 의한 현상이 아닌가? 따라서 -E 해답을 디락방정식의 물리적인 해답이 아니라고도 할 수 없는 것이다.젊은 천재 디락은 자신의 방정식을 결코 포기하지 않았다. 그는 오랜 사색을 거쳐 ... ...
'제2지망'이 일생의 학문으로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국제선 항공기가 요란스럽게 이착륙하는 것을 무수히 보았다. 김포공항을 떠나
하늘
높이 어디론지 사라지는 비행기에 내마음을 함께 보낸 게 한두번이 아니었다.미지의 나라로 막연히 떠나고 싶은 심정이 현실화되기 시작한 것은 김포기상대에서 전대본부 연구평가과로 이동 발령되면서부터였다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