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이 맺어준 커플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메뉴로는 고기를 강력 추천한다. 고기에는 ‘사랑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신경전달
물질
‘페닐에틸아민’을 만드는 ‘페닐알라닌’이 잔뜩 들어 있다. 도톰한 스테이크부터 보글보글 끓는 샤브샤브 요리, 바삭바삭 탕수육을 먹으면 상대의 심장도 조금 더 두근거릴 것이다.여자라면 맛있는 ... ...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삶을 위해 환경을 파괴해 왔다. 그렇다고 기후를 되돌리기 위해 성층권에 햇빛을 가릴
물질
을 쏟아내고 계속 온실기체를 배출하는 게 정당할까.20 예기치 못한 결과과학자들은 복잡한 기후 상호 작용들을 모두 설명할 수 없고, 예측할 수도 없다. 그 누구도 지구공학으로 인해 어떤 결과가 나타날지 ... ...
‘상어는 색맹’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호주의 서호주대와 퀸즈랜드대 공동연구팀은 광학현미경을 이용해 아주 작은 양의
물질
을 분석하는 현미분광측광법으로 상어의 망막을 조사했다. 17종의 상어를 조사한 결과 10종의 망막에는 색을 구별하는 원추세포가 없었다. 나머지 7종류는 고래와 돌고래, 물개 같은 해양 포유류처럼 파장이 긴 ... ...
콜레라균 잡아내는 특별한 설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전망이다. 미국 센트럴플로리다대의 연구팀은 설탕속에 들어 있는 ‘덱스트란’이라는
물질
로 코팅한 산화철 나노입자를 이용해 콜레라 균을 탐지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1월 12일 밝혔다.덱스트란이란 포도당으로 구성된 다당의 일종으로, 복잡한 사슬 모양으로 생겼다. 연구팀은 이 나노입자를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등 다양한 방법을 써서 만든다. 페인트칠 기법은 전투기 표면에 발라둔 전파흡수
물질
의 두께 역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컴퓨터와 로봇팔을 이용해 매우 정밀하게 작업한다.두 번째는 전투기의 몸체를 전자파를 흡수할 수 있는 소재와 모양(RAS·전자파흡수구조)으로 만드는 일이다. 비행기 몸체 ... ...
퇴행성 관절염의 스위치를 찾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때 히프투알파의 활성이 떨어져 기능을 제대로 못하게 되는지 살펴보고 있다.그러나 이
물질
이 이미 없어진 연골 조직에 연골 세포를 새로 만들어 채워 넣는 것은 아니다. 이 치료제는 단지 연골 세포가 더 이상 없어지지 않게 막아 병이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팀은 퇴행성 ... ...
그림자도 지우는 숨기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알려져 있다. 왕세줄나비 애벌레가 살고 있는 복숭아나무에는 ‘알데히드’라는 화학
물질
이 들어 있다. 알데히드의 양은 계절에 따라 변하는데 봄에서 여름이 될 때 증가한다. 이른 봄에는 애벌레가 적은 양의 알데히드를 섭취해 새 순의 잎처럼 연한 녹색을 띠지만, 여름에 비교적 많은 양의 ... ...
새처럼 노래하는 쥐, 있다?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만들었답니다.연구팀은 ‘진화 쥐 프로젝트’ 실험의 하나로, 일부러 쥐가 유전정보
물질
인 DNA를 잘못 복제하도록 해서 돌연변이 쥐를 만들었어요. 그런 다음 돌연변이 쥐끼리 교배시켜 어떤 특성을 가진 자식 쥐가 태어나는지 관찰했지요. 새 소리를 내는 쥐는 돌연변이 가운데 우연히 발견된 ... ...
한국 우주 전파 관측망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큰 관심거리다. 은하에 속한 별이 은하 중심 주위를 도는 속도를 정확히 알면 암흑
물질
의 질량을 계산할 수 있다. 별의 속도를 정확하게 알기 위해 필요한 장치가 KVN처럼 해상도가 뛰어난 초장거리간섭계다. 동아시아 전파관측망의 중심다른 선진국의 초장거리간섭계보다 지름이 작은 단점을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뜻이다. 이는 진화의 결과다. 급격한 환경변화에 도태되지 않고 살아남으려면 원하는
물질
을 쉽게 빨리 만들어내야 한다. 연결선이 늘면 그만큼 생산 단계가 많아져 불리할 수밖에 없다. 세포는 크기와 상관없이 일정한 대사 효율을 확보해야 했고, 바이오 네트워크의 링크를 보강하는 방법으로 ... ...
이전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