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핍
종족
불충분
결여
모자람
결손
미비
d라이브러리
"
부족
"(으)로 총 4,210건 검색되었습니다.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제1후보다. 지구는 인간의 왕성한 생산력을 감당하기에 역
부족
이다. 자원은
부족
하고 환경은 오염되고 교통량은 넘쳐 흐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유일의 돌파구는 '우주로의 이동'이다. 그 첫번째 도착지가 달이 될 것은 너무나도 분명하다.현재 우주개발의 최대 난점은 개발비용이다. ... ...
'과학기자재 보내기 운동'을 다시 본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것이 아니다. 그러나 명백한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실험교육강화라는 '이상'(理想)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번번히 뒷전으로 밀려야했던 것도 사실이다.이번의 '과학기자재보내기운동'은 바로 이런 현실때문에 그 의미가 더 각별할 수밖에 없다. 비록 목표로 한 모금액을 다 채우지 못한다해도 ... ...
4.7종의 기체가 대기를 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사용증가 속도를 따라 잡지 못하고 있다. 이미 해양이 이산화탄소의 균형을 잡기에는 역
부족
인 상태다. 작년 현재 이산화탄소에 의한 온실효과는 50W/㎡이고 1860년 이래 매년 1.3W/㎡씩 증가해 왔다고 한다.대기대순환모델의 예상대로 매년 1.5ppm의 이산화탄소가 증가한다면 2035년의 대기는 4백20ppm의 ... ...
세계 최초의 로봇의사 탄생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받겠다고 나선 지원자가 2, 30명에 이르고 있어, 임상실험을 할 때 흔히 겪게 되는 지원자
부족
현상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벌써부터 대단한 인기를 끌고 있는 셈이다 ... ...
멸종위기에 놓인 판다(Panda)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겨우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에는 경작지가
부족
해 성(省)정부나 농민들이 모두 대나무숲을 잘라내고 거기에 논밭을 일구어야 할 상황이다.많은 동물전문가들은 판다에게 가장 좋은 생활환경은 동물원이 아니라 야생상태라고 얘기하지만 야생판다보호회는 ... ...
중성화와 염화물이 수명을 단축시킨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인식하고 다각적인 연구를 통해 내구연한을 높인 1백년 주택을 개발 건설하고 있다.주택
부족
이 심각하고 사회가용자원이 적은 우리 현실에서 주택이 갖는 사회적 재화로서의 의의는 내구연한의 장기화로서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내구연한을 높일 수 있는 계획과 시공, 유지관리가 ... ...
동물학대와 국민의 비과학성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값비싸게 팔리고 너나없이 입맛을 다시게 된 배경에는 우리의 가난하고 영양이
부족
했던 과거가 오버랩되고 있다는 다소 동정이 가는 원인분석도 있다. 잘 못먹고 굶주려서 해친 건강을 뭔가 신비한 효능을 빌려 회복 하겠다는 바램이 담겨 있다는 것이다.하지만 요즘에는 굳이 그런 것들을 먹지 ... ...
꼬막과 피조개는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4백50㎏이나 된다. 이 종이 무척추동물 중에서 무게로서는 챔피언인 셈이다. 이매패인
부족
류 중에서 제일 큰 것은 Tridagna gigas. 인도양과 태평양의 산호초에 살며 길이가 1.5m, 무게가 보통 사람 체중의 세배가 넘는 2백25㎏이나 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이매패는 키조개(Pectina japonica)로 길이(각고 ... ...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바다의 생물, 열대우림(비가 많이 내리는 열대지방의 삼림)의 생물에 대한 연구는 극히
부족
한 실정이다. 아마도 분류학자들이 제대로 연구하기만 한다면 신종이 수두룩하게 발견될 것이다.실제로 동물에서만도 매년 1만종 이상의 신종이 발표되고 있다. 몸이 큰데다가 날아다니기까지 해서 눈에 잘 ... ...
울릉도 보물선을 건져 올려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1982년의 수색작업에는 2백m급 일본 유인잠수정까지 동원됐으나 열악한 조사 장비와 경비
부족
으로 지속적인 탐사가 이루어지지 못 했다. 울릉도 주변 해역의 해저 저층은 급경사를 이루고 있어 연안 가까운 곳에서 침몰 했다 하더라도 해류나 다른 자연환경에 의해 깊은 곳으로 내려앉았을 가능성이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